[include(틀:경기도의 공동주택)] [include(틀:고양시의 고층아파트)]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킨텍스 꿈에그린.jpg|width=100%]]}}}|| ||<-3> [[포레나|[[파일:포레나 흰색 BI.svg|height=20]]]] || ||<-3>{{{#!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포레나 킨텍스, 너비=100%)]}}} || ||<-2> '''명칭''' || '''포레나 킨텍스''' || ||<-2> '''영문 명칭''' || FORENA KINTEX || ||<-2> '''종류''' || [[주상복합]][br]([[아파트]], [[오피스텔]], [[사무실|오피스]]) || ||<-2> '''브랜드''' || [[포레나|[[파일:포레나 BI.svg|width=100]]]] || ||<-2> '''주소''' ||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킨텍스로]] 240 || ||<-2> '''입주''' || 2019년 2월 || ||<|3> '''동수''' || '''아파트''' || 6개동 || || '''오피스텔''' || 3개동 || || '''오피스''' || 1개동 || ||<-2> '''층수''' || 지하 5층, 지상 38~49층 || ||<-2> '''높이''' || 최고 166.5m^^GIFC^^ || ||<|2> '''세대수''' || '''아파트''' || 1,100세대 || || '''오피스텔''' || 780실 || ||<|2> '''면적''' || '''아파트''' || 116㎡, 117㎡, 129㎡,[br] 209㎡, 210㎡, 214㎡ || || '''오피스텔''' || 84㎡ || ||<|3> '''주차대수''' || '''아파트''' || 1,550대 (세대당 1.4대) || || '''오피스텔''' || 938대 (세대당 1.2대) || || '''오피스''' || 620대 || ||<-2> '''시공사''' || [[한화건설|[[파일:한화건설 로고.svg|height=25]]]]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150401121012351.jpg|width=100%]]}}}|| || {{{#ffffff '''투시도'''}}} || [[대한민국]]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한류월드]]에 위치한 [[주상복합]] 단지. 1,100세대로 구성된 [[대단지 아파트]]와 780실의 [[오피스텔]], 상업시설과 38층 높이의 오피스인 GIFC로 구성되어있다. == 역사 == * 원래 이 킨텍스 꿈에그린 부지는 [[킨텍스]] 지원단지 사업에 따른 [[마천루]]를 지을 예정이었으나[* 브로멕스 킨텍스 타워는 [[한류월드]] 부지 내로 아니고, 대략 300m 안팎의 [[금융]]산업 지원 마천루였다.] [[대침체]]에 사업자가 도산해버리고 [[부동산]] 경기가 좋지 않아 사업이 무산되었다. 결국 [[고양시]]가 [[최성(정치인)|최성]] 시장 들어온 이후 이 부지에 [[아파트]]를 지을 수 있도록 완화하고 [[한화건설]]에 매각하면서 [[아파트]] 및 [[오피스텔]]이 있는 [[주상복합]]단지로 바뀌어 착공하게 된 것이다. * [[2015년]] [[5월]] 말에 [[분양]]하였고, [[미분양]]분 없이 [[2015년]] [[6월]]에 전부 완판을 찍었다. 이에 [[한화건설]]에서 [[2015년]] [[6월]]부터 공사에 들어가 [[2019년]] [[3월]]에 입주를 시작하였다. * [[2015년]]에 [[모델하우스]]에서 완판을 찍어 모델하우스의 존재가치가 사라졌음에도 [[2016년]] [[7월]]까지 모델하우스를 철거하지 않고 놔두고 있었다. 물론 내부로 들어가지 못하게 막아두고 있었다. * 정문 건너편에 미래를 위한 땅이라고 하는[* 안내판에는 그렇게 붙어있지만 사실은 주차장이다. 원래 이 부지는 일산 차이나타운을 지으려다가 [[프라임그룹]]이 사세가 기울어버리면서 사업을 포기한 곳이다. 차이나타운 부지는 [[고양시]]에 반환되어 있으며, 추후 5성급 [[호텔]]을 지을 예정이다.] 거대한 모래벌판이 있다. 원마운트와 킨텍스 꿈에그린 사이에 위치하며 크기는 약 50,000제곱미터로 약 40,000제곱미터인 킨텍스 꿈에그린보다 조금 더 크다. 2020년 10월 이후에는 꽃밭을 임시로 설치하였다. * 이 사진은 2018년에 [[네이버 지도]]에서 촬영한 사진으로 킨텍스 꿈에그린 공사가 진행중인 모습이다. [[파일:벌판킨텍스.jpg]] * 2022년 12월 기존 킨텍스 꿈에그린에서 '''포레나 킨텍스''' 로 단지명을 변경하였다. 하지만 오피스텔 쪽은 단지명을 변경하지 않아서 한 단지에 꿈에그린과 포레나가 공존하는 상태이다. == 특징 및 시설 == === 상업시설 === 2019년 11월 기준으로는 기본적인 상가시설 정도는 갖추어져 있는 상황이다. (신규 상권치고 상가들이 빠르게 들어서고 있다. GTX 초역세권을 미리 선점하려는 듯...) 2019년 12월 기준으로 식객촌 소속 13개 업체가 동시 오픈하였다. (가메골, 무명식당, 한옥집, 교동짬뽕, 유천 칡냉면, 르사이공, 젤라젤라, 마카롱, 빵정, 로지함박, 따순기미, 국대 닭곱새, 꽃담은소) 이 외에 상가 1층에 본다빈치[[https://bondavinci.com/|#]](아트 뮤지엄)와 리틀 다빈치(키즈카페)가 들어왔다. 대피소인 아파트 20층은 엘리베이터를 통해서 갈순 없지만, 계단을 통해서는 갈수 있다. [[영화관]]은 걸어서 5분 거리에 '''[[메가박스 킨텍스]]'''가 있다. 꿈에그린 입주가 시작되면서 파리만 날리던 킨텍스점 이용객이 부쩍 늘고 있다. == 주변 환경 == 2020년 7월 현재는 구축아파트 들이 있는 곳에 비해서는 건물들이 많이 없지만, 소방서가 지어지고 [[소노캄]] 고양이 생기면서 활기를 찾아가고 있다. 커뮤니티 센터도 문을 열었다. 일산 신도시 내에서 가장 최근에 조성된 쇼핑몰들에 둘러싸여 소위 슬세권이라 부를만 하다. 도보 3분 - 현대 모터 스튜디오 고양(자동차 박물관)[[https://motorstudio.hyundai.com/goyang/ko/ln/main.do;jsessionid=frmpSvwrec3HZHXVPPsaJQNN1tLfsG3dZUq0SDXVXr9DRJ1g4q1XnM1UxjS1OAK5.gachpwsp01_servlet_engine1|#]] 도보 5분 - [[현대백화점 킨텍스점]], 레이킨스몰[[http://www.lakins.co.kr/|#]]([[메가박스 킨텍스]], 홈플러스, 모던하우스, 식당가 등), 소노캄 호텔([[스타벅스]], [[테슬라]] 슈퍼차저 충전기) 도보 9분 - [[원마운트]][[http://onemount.co.kr/|#]](실내 워터파크, 실내스케이트장/눈썰매장, 롤러장, 식당가, 의류상가, [[테슬라]] 슈퍼차저 충전기등), 일산 호수공원 가로수길[[https://blog.naver.com/river0703/221385060398|#]](식당가) 도보 10분 - 한화 아쿠아플라넷[[http://www.aquaplanet.co.kr/ilsan/index.jsp|#]] 도보 12분 - [[일산호수공원]], [[킨텍스]] 도보 13분 - 라몬테이탈리아노[[http://lamonteitaliano.com/#main.htm|#]](명품 전문 브랜드몰) 도보 15분 - [[트레이더스 홀세일 클럽 킨텍스점|이마트 타운]](이마트, [[트레이더스 홀세일 클럽 킨텍스점|이마트 트레이더스]], [[일렉트로마트]], 식당가 등) [youtube(AcFtWckc3Xc)] 아직 입주 전인 2018년 5월의 모습이다. 아파트 주변의 백화점, 거대쇼핑몰, 테마파크, 호수공원등을 볼 수 있다. === 교통 === ==== 철도교통 ====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 킨텍스역이 확정되어 초역세권의 인프라를 갖춘다. ==== 도로교통 ==== [[한류월드로]], [[킨텍스로]] 등이 있다. ==== 버스교통 ==== * 직접연계: [[고양 버스 010]], [[고양 버스 058]], [[고양 버스 062]], [[고양 버스 080]] * 간접연계: [[파주 버스 10]], [[파주 버스 900]], [[고양 버스 039]] 이 노선들은 현대백화점이나 대화역으로 나가서 타야 된다. 킨텍스 노선들과 더불어 동에 따라서 도보권이라기엔 조금 애매한 거리. * 원마운트나 엠블호텔, 또는 킨텍스 쪽으로 5~15분 정도 걸어가면 각각 [[고양 버스 082]], [[공항버스 7300]]및 [[공항버스 7400]], [[고양 버스 089]]도 이용할 수 있다. 다만 공항버스를 이용할 것이 아니라면 그냥 089 타고 중앙로 나가서 한번 환승하자. 꿈에그린이나 엠블호텔까지 걸어가는 것보단 그게 더 편하다. 꿈에그린이나 엠블호텔까지 뛰어갈 게 아니라면 시간차이는 크지 않다. * 광역급행버스 [[M7731]]이 기존에 정차하던 킨텍스 제1전시장 외에, 인근 이마트타운 앞에 정차하기 시작했다. 이로서 킨텍스 꿈에그린/원시티는 합정역까지 성산대교 앞 미친듯한 교통체증을 포함한 수치에도 40분이면 가는 커다란 장점을 갖게 되었다. == 여담 == * 옆 단지인 [[킨텍스 원시티]]만큼은 아니지만 정치적으로 보수 성향이 강한 편이다. 21대 총선에서는 [[김현아]] 미래통합당 후보가 이곳에 위치한 대화동 제8투표소에서 56.71%로 이겼다.[* 이곳에는 상대후보였던 [[이용우(1964)|이용우]]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거주하고 있다.] * 밖에 있는 도로에서 볼 때는 다닥다닥 붙어 있는 것처럼 보여서 조망권이 상당히 나쁠 것으로 여겨지기 쉬운 단지이다. 하지만 이 문서 상단 위성사진에서 보듯 실제로는 중앙정원이 있어서 조망권은 의외로 나쁘지 않다. 1층과 지하1층은 상가 편의 시설이 2층은 조경 및 중앙 정원과 놀이터 분수대등이 있는데 입주민들만 이용 가능하게 외부와 차단되어 있다. 단지 중 몇몇 고층라인은 한강과 일산호수공원이 직접 보여 최상의 뷰를 자랑한다. 다만 앞 동을 바로 마주보고 있는 라인은 조망이 다소 아쉬운 곳도 있긴 하다. 킨텍스 꿈에그린에서 '포레나 킨텍스'로 '''아파트 쪽 단지명'''을 변경한 이유도 일종의 리브랜딩인 것으로 여겨진다. 기존 꿈에그린 '''오피스텔'''이 일산 시내에 조망권이 너무 안 좋다고 소문난 악영향도 있을 것으로 추측되는 대목이기 때문. 킨텍스역 공사중인 사거리에서 들여다보이는 다닥다닥 붙어 보이는 빌딩들은 오피스텔동이다. [[분류:일산서구의 공동주택]][[분류:2019년 건설]][[분류:대단지 아파트]][[분류:나무위키 공동주택 프로젝트]][[분류:높이 100m 이상의 마천루]][[분류:포레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