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조선 왕세자)]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d0730, #1b0e64 20%, #1b0e64 80%, #0d0730)" {{{#ffd400 '''폐세자 이지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조선의 왕자/중종 ~ 고종)] ---- [include(틀:역대 조선 국왕 대리청정)] ---- [include(틀:허균)]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d0730, #1b0e64 20%, #1b0e64 80%, #0d0730); color: #FFD400" '''조선 광해군의 왕세자[br]{{{+1 폐세자 이지 | 廢世子 李祬}}}'''}}} || ||<|2> '''출생''' ||[[1598년]] [[12월 31일]] || ||[[한성부]][br](現 [[서울특별시]]) || || '''책봉''' ||[[1608년]] [[5월 5일]] || || '''사망''' ||[[1623년]] [[7월 22일]] (향년 24세)|| || '''능묘''' ||미상 || ||<|4> '''재위기간''' ||'''{{{#ffd400 조선 왕세자}}}''' || ||[[1608년]] [[5월 5일]] ~ [[1623년]] [[4월 11일]][br](14년 11개월 6일, 5,454일) || ||'''{{{#ffd400 조선 왕세자 | 조선 국왕 대리청정}}}''' || ||[[1619년]] [[11월]] ~ [[1620년]] [[1월]][br](2개월~3개월)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본관''' ||[[전주 이씨]] || || '''휘''' ||수(脩)[* [[http://sillok.history.go.kr/id/koa_10008020_003|참조.]]] → 지(祬)[* 지(祬)는 개명한 이름이다.[[http://sillok.history.go.kr/id/koa_10111030_005|#]]] || || '''부모''' ||부왕 [[광해군]][br]모후 [[문성군부인]] || || '''형제자매''' ||이복여동생 1명 || || '''배우자''' ||폐빈 박씨 || || '''작호''' ||왕세자 → '''폐세자(廢世子)''' || }}}}}}}}} || [목차] [clearfix] == 개요 == [[조선]]의 제15대 국왕 [[광해군]]의 [[세자]]. == 생애 == 1598년 12월에 광해군과 문성군부인 류씨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광해군의 왕 즉위 후 세자에 책봉됐다. 박자흥의 딸 폐빈 박씨와 결혼한다. 그러나 세자와 세자빈은 곧 [[인조반정]]으로 인해 폐세자 / 폐빈으로 강등당하고 유배되는데 위리안치되어 아내인 폐빈과 함께 감시를 당하고 있었다. 유배 생활 중 몰래 땅굴을 파고 폐빈과 함께 도주를 시도하다 감시병들한테 붙잡혀 감옥에 수감되었다. 결국 3일뒤에 폐빈은 목을 매 자결했고 이후 폐세자도 자결을 명받아 자결하는 방식으로 처형당하게 된다. 둘 사이에는 딸이 하나 있었으나 요절하였다.[[http://db.itkc.or.kr/inLink?DCI=ITKC_BT_1337A_0010_000_0060_2002_011_XML|#]] 그 밖에 신원 미상의 후궁[* 양민신분인 것으로 보아 궁녀출신으로 추측된다.]에게서 이아기(李娥基)라는 서녀를 낳았고, 또다른 후궁 이씨에게서 서녀 한 명을 더 낳았다.[[http://sillok.history.go.kr/id/koa_11209015_001|#]] 이아기는 의성 김씨 집안의 김문거(金文擧)에게 시집갔으나 자식이 없어 5촌 조카인 김진(金縉)을 양자로 들였다. 이씨 소생의 딸은 [[인조반정]] 이후에 [[광해군]]의 자손들에 대해 언급할 때에도 언급되지 않는 것으로 보아 요절한 것으로 추정된다. == 여담 == * 많은 문헌에서 이름이 '지' 또는 '질'로 읽히는데, '질'은 한자를 다른 글자로 오인한 데서 생긴 착오이며 '지'가 맞는 발음이다.[* 示자 부수에 至자를 쓰는데, 이 글자는 사람의 이름으로 쓰일 경우에 그 독음을 '지'로 하는 것이 원칙이며, [[조선왕조실록]]과 전주이씨세보 두 곳 모두 '질'이 아닌 '지'를 독음으로 사용하고 있다.] * 연려실기술의 기록(《공사견문》)에 의하면 숙종때 봉상 판관(奉常判官) 정유제(鄭維悌)가 왕손의 예에 따라 이지에게 봉작을 추봉(追封)하자고. 주장 했지만 조정의 의논에 막혀서 시행되지 않았다고 한다.[[http://db.itkc.or.kr/inLink?DCI=ITKC_BT_1300A_0240_010_0040_2000_005_XML|연려실기술 23권]] * 광해군이 폐위되지 않은 채 1641년에 죽었다면 자그마치 42세의 나이로 왕위를 계승하게 된다는 계산이 나온다. 이는 조선 왕조를 통틀어 [[태조(조선)|태조]](56세)에 이은 2번째 최고령 즉위이다. 그러나 실제로 광해군의 장수는 오히려 왕위에 있지 않았기 때문이라는 말도 있기 때문에 큰 의미는 없는 계산이다. * [[홍길동전]]의 저자로 알려진 [[허균]]의 친딸 소훈 허씨가 폐세자 이지의 후궁이다. 즉, 허균은 폐세자 이지의 장인이 된다. == 대중매체에서 == * 2003년 [[SBS]] 드라마 <[[왕의 여자]]>에서는 배우 [[정태우]]가 연기했다. * 2014년 [[KBS]] 드라마 <[[왕의 얼굴]]>에서는 배우 [[최승훈(2008)|최승훈]]이 연기했다. * 2015년 [[MBC]] 드라마 <[[화정]]>에서는 배우 [[이하율]]이 연기했다. * 2019년 [[KBS]] 드라마 <[[조선로코 녹두전]]>에서는 아예 존재 자체가 삭제되었다. 그렇다고 [[남주인공]]과 [[여주인공]]이 폐세자 이지와 폐빈 박씨 [[부부]]를 [[모티브]]로 한 것도 아니라서 [[드라마]]가 개연성에서 많은 비판을 받았다.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이지, version=60)] [[분류:조선의 왕세자]][[분류:1598년 출생]][[분류:1623년 사망]][[분류:조선의 자살한 인물]] [include(틀:포크됨2, title=폐세자 이지, d=2023-02-09 12:18: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