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파일:pyeongtaekbridge.jpg]] == 개요 == [[경기도]] [[평택시]] [[현덕면]]과 [[경기도]] [[평택시]] [[팽성읍]]을 잇는 길이 1.35km, 왕복 4차선 대교이다. 평택시가 발주해 삼안 등 4개사가 설계를 맡았다. 시공은 대림산업(현 [[DL이앤씨]]) 등 7개사가, 감리는 수성엔지니어링 등 3개사가 담당했다. [[313번 지방도]]의 연장구간으로 2013년 6월에 착공하여 2018년 12월에 개통 예정이었으나 2017년 8월 26일에 일어난 붕괴 사고로 인해 개통이 1년 넘게 미루어져 2020년 1월 22일에 개통됐다. 아산평택호를 가로지르며, [[43번 국도]]([[세종평택로]])의 신대교차로 위를 통과한다. == 붕괴 사고 == [include(틀:사건사고)] [[2017년]] [[8월 26일]] 오후 3시경 공사중이던 교각 상판 4장이 갑자기 내려앉으면서, 교량 구조물이 휘어져 붕괴했다.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11711376&code=61121211&sid1=soc&cp=nv2|#]][[https://www.youtube.com/watch?v=BIeURcHvAgg|##]] 이 사고로 인해 [[세종평택로]]가 통제되었다. [[2017년]] [[9월 9일]] 오후 2시부터 [[세종평택로]]를 재개통하였다. [include(틀:붕괴/한국)] === 문제점 === [[http://news.mt.co.kr/mtview.php?no=2017082807054998479&outlink=1&ref=https%3A%2F%2Fsearch.naver.com|평택국제대교가 무너졌는데도 불구하고 평택호에 출입 통제 조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08/28/0200000000AKR20170828073200061.HTML?input=1195m|부실시공의 가능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8011709064158747|조사 결과 기본적인 설계부터 잘못된 것으로 밝혀졌다.]] [[분류:대한민국의 교량]][[분류:부실공사]][[분류:교량 사고]][[분류:2020년 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