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북한의 신문)] ||<-2> '''[[파일:평양신문.jpg]]'''||{{{#bf0a30 '''{{{+1 평양신문}}}'''[br]{{{-1 平壤新聞[br]{{{-1 Pyongyang Sinmun}}}}}}}}} || ||<-2> '''국가''' ||[[북한|[[파일:북한 국기.svg|width=20]] 북한]] || ||<-2> '''창간''' ||[[1957년]] [[6월 1일]] || ||<-2> '''본사 소재지''' ||[[평양시]] [[모란봉구역]] || ||<-2> '''소유주''' ||평양시 [[조선로동당|당]]위원회 || ||<-2> '''출판사''' ||평양신문사 || ||<-2> '''인쇄''' ||평양종합인쇄공장 (추정) || ||<-2> '''사이트''' ||불명[* 당국에서 웹페이지를 개설했다고 주장하나 아직 사이트 주소를 알지 못함.] || [목차] == 개요 == 평양신문은 [[로동신문]], [[민주조선]], [[청년전위]]와 함께 북한의 4대 일간지 중 하나로, 1957년 6월 1일에 김일성에 의해 창간했다.[* 위키피디아 국어판] == 종류 및 구성 == 1957년에 창간되었으며, 국문판과 영어판, 불어판인 『평양타임스』가 발간된다. 발간 초기에는 평양시 인민위원회의 기관지였으나, 1980년대에 북한 행정지구 명칭의 변경에 따라 현재 이름의 기관지가 되었다. 이 신문은 평양시내를 포함한 북한 전역에 배포되고 있으므로 『[[로동신문]]』·『[[민주조선]]』과 함께 중앙신문의 일종으로 취급받고 있다.--[[서울신문]]?-- 신문사의 기구는 책임주필 밑에 편집국과 혁명역사교양부·정치교양부·공업부·농업부·사회문화교양부·과학교육부·문학예술부·남조선부·국제부·대중사업부·재정경리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파일:DF52F656-D84A-4ECE-A44A-8EDB12845C12.png]] 내용은 로동신문이나 민주조선과 비슷하지만 이 신문의 특징이라면 '''광고가 있다'''는 점이며, 한때 국내에도 그때문에 화제가 된 적이 있다.[* 해당 광고는 애국편직물공장의 기능성 내의이다.] [[분류:북한의 신문]][[분류:1957년 설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