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철도 용어 == [[파일:KTX-I 전신.jpg]] 20량 1편성으로 운행하는 [[KTX(차량)|KTX]] [[파일:ITX-Saemaeul(11).jpg.jpg]] [[파일:_MG_8516.jpg]] 6량 1편성으로 운행하는 [[ITX-새마을]]과 [[수인분당선]] [[한국철도공사 351000호대 전동차|전동차]] [[파일:의정부경전철.png]] 2량 1편성으로 운행하는 [[의정부 경전철]] 철도에서 복수의 열차들을 묶어서 운용하는 단위이다. 보통 2량 이상의 열차들로 편성을 구성하지만 용인 경전철과 같이 1량 1편성으로 운용하는 극단적인 경우도 있다. 편성 내의 객차를 교체할 일(예: 전동차 추돌 사고)이 생기면 차량기지 내에서 교체하는 것이 원칙이며 [[중련]] 등의 [[복합열차]]가 분기역에서 연결을 해제할 때도 역시 편성단위로 이루어진다. === 차종 분류 === 편성 구조를 설명할 때는 연결되어있는 차량의 종류에 따른 기호를 사용한다. || 기호 || 차종 || 비고 || || M || 동력차 || Motor car || || T || 무동력차(부수차, 객차) || Trailer car || || Mc || 동력제어차 || Motor Control Car || || Tc || 무동력제어차 || Trailer Control Car || || L || 기관차 || Locomotive || || ' || 팬터그래프 || (작은 따옴표) || 예를들어, 무동력제어차-동력차-집전장치가 있는 동력차 - 무동력제어차 구조의 편성을 설명할 때는 Tc-M-M'-Tc로 나타낸다. 또 이 때 동력차와 무동력차의 비율인 MT비는 M칸과 T칸의 개수를 센 후 비율로 나타내면 된다. 예시된 편성의 MT비는 1:1이다. === 열차별 편성 정보[* 양방향 동력차 차량 위주] === ==== [[간선철도]] ==== * [[KTX(차량)|KTX]] - 20량 1편성 * [[KTX-산천]], [[SRT]] - 10량 1편성 * [[KTX-이음]] - 6량 1편성, 8량 1편성 * [[ITX-새마을]] - 6량 1편성 * [[ITX-마음]] - 4량 1편성, 6량 1편성 * [[ITX-청춘]] - 8량 1편성 * [[누리로]] - 4량 1편성 * [[RDC 디젤동차|RDC]] - 3량 1편성 ==== [[수도권 전철]] ==== * [[수도권 전철 1호선|1호선]] 특급/급행/완행: 10량 1편성, [[수도권 전철 1호선/광명셔틀|광명셔틀]]: 4량 1편성 * [[서울 지하철 2호선|2호선]] 순환선: 10량 1편성, [[성수지선]]: 4량 1편성, [[신정지선]]: 6량 1편성 * [[수도권 전철 3호선|3호선]] - 10량 1편성 * [[수도권 전철 4호선|4호선]] 급행/완행: 10량 1편성 * [[수도권 전철 5호선|5호선]] - 8량 1편성 * [[서울 지하철 6호선|6호선]] - 8량 1편성 * [[수도권 전철 7호선|7호선]] - 8량 1편성 * [[서울 지하철 8호선|8호선]] - 6량 1편성 * [[서울 지하철 9호선|9호선]] 급행/완행: 6량 1편성 * [[인천국제공항철도|공항철도]] 직통/일반: 6량 1편성 * [[인천 도시철도 1호선|인천 1호선]] - 8량 1편성 * [[인천 도시철도 2호선|인천 2호선]] - 2량 1편성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경의·중앙선]] 본선 급행/완행: 8량 1편성, 서울역 급행/완행 및 임진강 셔틀: 4량 1편성 * [[수도권 전철 경춘선|경춘선]] 급행/완행: 8량 1편성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수인·분당선]] 급행/완행: 6량 1편성 * [[신분당선]] - 6량 1편성 * [[수도권 전철 경강선|경강선]] - 4량 1편성 * [[수도권 전철 서해선|서해선]] - 4량 1편성 * [[서울 경전철 신림선|신림선]] - 3량 1편성 * [[의정부 경전철]] - 2량 1편성 * [[용인 에버라인|용인 경전철]] - '''1량 1편성''' *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우이신설선]] - 2량 1편성 * [[김포 골드라인]] - 2량 1편성 *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 - 2량 1편성 ==== [[동남권 광역철도]] ==== * [[부산 도시철도 1호선|1호선]] - 8량 1편성 * [[부산 도시철도 2호선|2호선]] - 6량 1편성 * [[부산 도시철도 3호선|3호선]] - 4량 1편성 * [[부산 도시철도 4호선|4호선]] - 6량 1편성 * [[동해선 광역전철|동해선]] - 4량 1편성 * [[부산김해경전철]] - 2량 1편성 * --[[양산 도시철도]][* 2026년 개통 예정] - 2량 1편성-- * --[[사상하단선]][* 2024년 개통 예정] - 3량 1편성-- ==== [[대구 도시철도]] ==== * [[대구 도시철도 1호선|1호선]] - 6량 1편성 * [[대구 도시철도 2호선|2호선]] - 6량 1편성 * [[대구 도시철도 3호선|3호선]] - 3량 1편성 * ~~[[대구권 광역철도|광역전철]][* 2023년 개통 예정] - 2량 1편성~~ ==== 기타 ==== * [[광주 도시철도]] * [[광주 도시철도 1호선]] - 4량 1편성 * [[대전 도시철도]] * [[대전 도시철도 1호선]] - 4량 1편성 == 방송용어 == 방송 프로그램의 송출 순서. 지상파 3사가 사실상 방송의 전부였던 시절에는 '6시 애니메이션 - 7시 교양 프로그램 - 8시 연속극 - 9시 뉴스 - 10시 미니시리즈'와 같은 편성 공식이 있었으나, 케이블과 종편의 시대로 넘어오면서 이러한 규칙은 많이 깨진 편이다. 그럼에도 시청 타겟층의 [[시청률]] 확보를 위해서는 아무렇게나 할 수 없는 요인. === 편성비율 === [[방송법]]상 규정된 프로그램 편성 비율. ==== 외주제작비율 ==== 철도의 [[철도 상하분리|상하분리]]처럼, '방송국은 송출을, 외주제작사는 제작을 전문으로 하자'는 취지로 1994년 방송법이 개정됨에 따라 생긴 법률.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1&aid=0003788421|기사]] 지상파 3사와 [[종합편성채널]]에 일정비율 외주제작사(독립프로덕션)의 방송프로그램을 편성할 의무를 부여하였다. 지상파라는 송출 플랫폼 자체가 무의미해지는 시대에 다소 낡은 규제로 여겨지기도 한다. ==== [[지역방송]] 편성비율 ==== [[문화방송]] 계열의 [[문화방송 계열 지상파 방송사]]와 지상파로 송출되는 [[지역 민영방송]]에 대해, 일정비율 이상으로 서울 본사/키국(SBS)의 방송을 재전송하지 못하는 법률. SBS 계열은 주요 프로그램 본방시간에 지역 자체편성을 하는 경우가 극히 드무나, [[MBC]]의 경우는 2010년대 중반까지만 하더라도 [[공감토크쇼 놀러와]]나 [[마이 리틀 텔레비전]] 등 주요 프로그램의 본방송시각에 지역방송 편성시간을 할당하여 지역 시청자들의 큰 항의를 야기했다. 이는 2020년대 지상파 3사의 광고수입 감소로 인해 평일 저녁시간에도 재방송 편성이 늘어남에 따라 의도치 않았지만 어느정도 해소되고 있다. ==== 프로그램 제작국가 비율 ==== 영화나 애니메이션 등 전문채널에 부여되는 국가별 편성비율. [[애니메이션 쿼터제]]를 위시한 애니메이션 채널의 경우로만 알려져 있으나, 편성 비율은 다를지언정 모든 장르에 동일하게 적용된다. 이에 따라 [[CMB]]시절의 [[디스커버리 채널]]이나 자체송출 시기의 [[내셔널 지오그래픽]] 등의 다큐멘터리 채널이나 [[중화TV]]나 [[CHING]] 등의 [[중국 드라마]] 채널, [[채널J]]나 [[채널W]] 등의 [[일본 드라마]] 채널에도 일정 시간 한국 프로그램이 편성된다. [[TV 동물농장]]이 대표적으로 이 편성비율 준수를 위해 자주 땜빵용으로 송출되는 편. [[틀:대한민국 애니메이션 전문 채널|애니메이션 채널]]의 경우 2010년대 초반까지만 하더라도 [[암흑 시간대]]에 [[한국 애니메이션]]을 몰아넣는 방법으로 편성비율을 준수하였으나, 2010년대 중반부터 [[CJ ENM/엔터테인먼트 부문#s-10|CJ ENM 애니메이션 사업부]]를 위시한 국내 애니메이션 경쟁력 강화로 2020년대 들어서는 채널에 따라 되려 외국 애니메이션 편성을 찾기가 더 어려운 경우까지 발생할 만큼 상황이 역전되었다. 영화 채널에도 적용되나, 영화의 경우 [[한국 영화]]시장의 성장으로 별도로 법률로 지정해주지 않아도 한국 영화와 외국 영화의 편성비율이 극단적으로 치닫지는 않는다. ===== [[애니메이션 쿼터제]] ===== 다른 장르와는 다르게, 애니메이션의 경우 편성비율 조건이 지상파와 종편에도 적용된다. 2000년대 후반 지상파 3사의 애니메이션 편성비율이 줄면서 [[원피스(애니메이션)#s-2.2.1|원피스]]와 [[포켓몬스터 DP#s-7|포켓몬스터 DP]]를 끝으로 순수 외국 애니메이션의 지상파 방영이 종료되었다. 그나마 애니메이션 방송시간이 길어 편성에 여력이 있던 [[EBS]]도 [[크로스 게임/애니메이션|크로스 게임]]을 끝으로 일본 애니메이션 신규 더빙제작은 사실상 중단되었고, 미국 애니메이션 위주로 수입하고 있다. 이 편성규제에 대해 한일합작의 경우 국산 애니메이션으로 인정되면서 [[전설의 용자의 전설#s-5.3|마법전사 라이너]]가 무수한 편집을 거쳐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등급 제도|12세 이상 시청가]]로 편성되는 촌극도 일어났다. 이마저도 2020년대 들어서는 사실상 [[프리파라]]시리즈만이 명맥을 잇고 있다. === [[편성표]] === 편성 순서를 정리하여 고시해둔 표. 2000년대까지만 하더라도 [[신문]]의 존재 의의 중 하나였으나, 컴퓨터와 스마트폰의 발달로 2010년대부터 차츰 신문에서 편성표 개재가 중단되고 있다. === [[EPG]] === 전자 프로그램 안내. [[일본의 방송|일본의 경우]] 편성이 유동적인데 반해 편성표에 대한 EPG의 정확도는 매우 높은 반면, 한국의 경우 편성은 고정적이나 편성표에 대한 EPG의 정확도는 심히 떨어지는 편. 22시에 편성된 드라마가 21:58분에 송출이 시작될 지 22:02분에 송출이 시작될 지는 송출 담당자도 당일, 심하게는 방송 시작 직전에야 알게되는 경우가 허다하다. 국내 [[방송 동호인]]들이 피눈물을 흘리는 요인. [[분류:철도]][[분류:철도차량]][[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분류:방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