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토니 스콧 감독 장편 연출 작품)] ||<-2>
{{{#ffffff {{{+2 '''펠햄 123'''}}} (2009)[br]''The Taking Of Pelham 123''}}}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705FA184A1F7E706D.jpg|width=100%]]}}} || ||<-2> {{{#ffffff,#c39029 {{{#!wiki style="margin: -5px -10px" {{{#!folding 북미 포스터 ▼ [[파일:taking_of_pelham_one_two_three_ver4_xxlg.jpg|width=100%]]}}}}}}}}} || || {{{#ffffff '''장르'''}}} ||[[스릴러]], [[액션]], [[범죄]] || || {{{#ffffff '''감독'''}}} ||[[토니 스콧]] || || {{{#ffffff '''제작'''}}} ||토드 블랙[br]제이슨 블루멘탈[br]스티브 티치 || || {{{#ffffff '''원작''' }}} ||존 고디 - 영화 《지하의 하이젝킹》[* 국내 개봉명.] || || {{{#ffffff '''각본'''}}} ||브라이언 헬겔랜드 || || {{{#ffffff '''출연'''}}} ||[[덴젤 워싱턴]][br][[존 트라볼타]][br][[존 터투로]][br][[루이스 구즈만]][br]마이클 리스폴리[br][[제임스 갠돌피니]][br]라몬 로드리게즈[br]존 벤자민 히키[br]빅터 고즈카즈[br]로버트 바타즈[br]알렉스 카주스키[br]겐가 아킨너베 외 || || {{{#ffffff '''음악'''}}} ||[[해리 그렉슨윌리엄스]] || || {{{#ffffff '''촬영'''}}} ||토비아스 A. 스칠러 || || {{{#ffffff '''편집'''}}} ||크리스 레번존 || || {{{#ffffff '''제작사'''}}}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컬럼비아 픽처스]][br][[메트로 골드윈 메이어]][br]릴러티비티 미디어[br]스콧 프리 프로덕션[br]이스케이프 아티스츠 || || {{{#ffffff '''수입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소니 픽처스 코리아]] || || {{{#ffffff '''배급사'''}}}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컬럼비아 픽처스[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소니 픽처스 코리아 || || {{{#ffffff '''개봉일'''}}}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2009년]] [[6월 12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09년]] [[6월 11일]] || || {{{#ffffff '''화면비'''}}} ||2.39 : 1 || || {{{#ffffff '''상영 타입'''}}} ||[[2차원|[[파일:영화 2D 로고.png|width=20]]]] || || {{{#ffffff '''상영 시간'''}}} ||106분 || || {{{#ffffff '''제작비'''}}} ||'''1억 달러''' || || {{{#ffffff '''북미 박스오피스'''}}} ||$65,452,312 (최종) || || {{{#ffffff '''월드 박스오피스'''}}} ||$150,166,126 (최종) || || {{{#ffffff '''2차 시장'''}}} ||$35,468,987 ([[2009년]] [[11월 8일]] 출시) || || {{{#ffffff '''국내 총 관객수'''}}} ||354,865명 (최종) || || '''{{{#ffffff 국내 등급}}}'''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s-2.1|[[파일:영등위_15세이상_2021.svg|width=25]]]]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s-2.1|{{{#000000 15세 이상 관람가}}}]]''' || || '''[[영상물 등급 제도/미국|{{{#ffffff 북미 등급}}}]]''' ||[[파일:R등급 로고.svg|width=27]] || [목차] [clearfix] == 개요 == 토니 스콧의 2009년 영화로 1974년 동명 영화[* 원제는 본작과 같지만, 국내에선 '지하의 하이재킹'이라는 제목으로 알려졌다.]를 리메이크한 작품이다. == 시놉시스 == PM1:23 뉴욕 지하철이 멈춰 섰다! 뉴욕 도심 한복판, 펠햄역에서 오후 1시23분에 출발하는 열차 ‘펠햄123호’가 납치당한다. 지하철 배차원 가버([[덴젤 워싱턴]])는 선로에 갑자기 멈춰선 펠햄123호와의 접촉을 시도하지만, 테러조직의 우두머리 라이더([[존 트라볼타]])와 교신이 된다. PM2:13 제한시간 한 시간, 요구사항 천만 달러! 라이더는 가버를 협상자로 선택하고, 뉴욕 시민의 목숨을 담보로 정확히 한 시간 안에 현금 천만달러를 요구한다. 그는 1분 늦을 때마다 인질을 한 명씩 죽이겠다고 협박하며 카운트다운에 들어간다. PM3:13 사상 최악의 협상, 천만달러는 미끼에 불과 했다! 뉴욕의 교통이 마비된 가운데, 제한 시간 몇 분을 남겨두고 현금 수송 차량이 추돌하는 사고가 발생하고 라이더는 약속 시간을 어겼다며 가차없이 인질을 사살해나간다. 이제 뉴욕 시민의 목숨을 구하려면 가버가 직접 지하철로 뛰어들 수 밖에 없다. 그러나 테러범들의 정체가 서서히 드러나면서 천만달러는 미끼에 불과했다는 사실이 밝혀지는데… 출처: [[네이버 영화]] ==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UGQb2WlJL7c)]}}} || ||
{{{#!wiki style="margin: -5px -10px" [kakaotv(15824834)]}}} || || {{{#ffffff '''1차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kakaotv(15824839)]}}} || || {{{#ffffff '''2차 예고편'''}}} || == 등장인물 == * 월터 가버 역 - [[덴젤 워싱턴]] [[MTA]] 소속 지하철 배차원으로 인질범들과 협상하게 된다. * 라이더[*스포일러 본명은 데니스 포드.] 역 - [[존 트라볼타]] 펠햄 123을 하이재킹한 리더격 인물. * 빈센트 카모네티 역 - [[존 터투로]] [[뉴욕 경찰국|뉴욕 경찰]] ESU 소속의 협상가로 계급은 경위. * 필 레이모스 역 - [[루이스 구즈만]] 전직 MTA 소속 지하철 기관사로, 라이더와 공범. * 존 존슨 역 - 마이클 리스폴리 MTA 지하철 운행국장으로 가버의 상관이다. * 뉴욕 시장 역 - [[제임스 갠돌피니]] * 델가도 역 - 라몬 로드리게즈 MTA 소속 지하철 배차원으로 가버의 후배 직원. * 라샐 역 - 존 벤자민 히키 뉴욕 부시장. 시장에게 하이재킹 사실을 알리는 인물이다. * 배시킨 역 - 빅터 고즈카즈 라이더와 공범으로 민머리, 큰 덩치에[* 실제로 이 배역을 연기한 빅터 고즈카즈는 198cm의 큰 키를 가졌다.] 덥수룩한 수염을 가진 인물이다. * 엠리 역 - 로버트 바타즈 라이더와 공범인 인물로 민머리에 주로 파란색 옷을 입는다. == 평가 == 로튼로마토 51%, IMDB 6.3점으로 딱 좋지도 않고 나쁘지도 않은 보통의 평가를 받았다. 초반의 상황 설정이나 소재는 좋은 평가를 받았지만 맥이 풀리는 결말은 나쁜 평가를 받았다. 실제로 결말 부분이 허무하다는 평이 대부분. 스케일 큰 액션보다 두 배우의 심리 싸움에 초점을 맞춘 스릴러 영화에 더 가깝다. 즉 스케일 큰 액션을 기대했다 실망했다는 평도 은근 보이는 편. 이 배역 때문에 100kg까지 체중을 늘린 덴젤 워싱턴의 열연과, 악역을 연기한 존 트라볼타는 좋은 평을 받았다. == 흥행 == 1억 달러의 제작비로 북미에서 6545만 달러, 해외 성적을 합쳐 총 1억 5000만 달러를 벌어들이면서 흥행에는 실패했다. 보통 제작비의 2배 정도를 손익분기점으로 측정하는데[* 본작의 제작비는 1억 달러니, 2억 달러는 벌어야 한다.] 북미에선 개봉 1주차에 [[행오버]]와 [[업(애니메이션)]]에게 밀린 박스오피스 3위로 데뷔했으며 2주차엔 5위로 밀려났다. 한국에선 35만명을 기록했다. == 여담 == * [[존 트라볼타]]는 이 영화의 프로모션 홍보에 참석하지 않았다. 당시 아들 제트 트라볼타를 사고로 잃었기 때문인데, 이 후유증 때문에 휴식기를 가졌다. * [[니콜라스 케이지]]는 라이더 역을 제의받았지만, [[베르너 헤어조크]]의 [[악질경찰]] 스케줄 때문에 거절했다. 공교롭게도 배역을 맡은 존 트라볼타와는 [[페이스 오프(영화)|페이스 오프]]에 같이 출연했다. * 이 영화 이후 2주 후에 개봉한 [[트랜스포머: 패자의 역습]]에 출연한 배우들이 3명 있다. [[존 터투로]], 라몬 로드리게즈 그리고 존 벤저민 히키로 각각 [[시모어 시몬스]], [[레오 스피즈]], [[겔로웨이 장관]] 역으로 출연한다. * 뉴욕을 배경으로 한 작품이라 실제 [[뉴욕시|뉴욕]] [[맨해튼]]에서 촬영했다. [[그랜드 센트럴 터미널]], [[월도프 아스토리아 뉴욕]] 호텔, 파크 애비뉴, [[맨해튼교]] 등에서 촬영했다. [[분류:미국의 스릴러 영화]][[분류:미국의 액션 영화]][[분류:철도를 소재로 한 영화]][[분류:소니 픽처스]][[분류:2009년 영화]][[분류:리메이크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