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TBS 금요 드라마]][[분류:2023년 드라마]] ||<-5> [[TBS 테레비|[[파일:TBS 테레비 로고.svg|width=45]]]] {{{#333333,#ffffff ''' [[TBS 금요 드라마|{{{#333333,#ffffff 금요 드라마}}}]] ''' }}} || || [[백만 번 말할 걸 그랬어]] [br] ,,([[2023년]] [[1월 13일]] ~ [[2023년]] [[3월 17일]]),, || → || {{{+1 {{{#fff800 ''' 펜딩 '''}}} {{{#ffffff '''트레인[br]-8시 23분, 내일 너와- ''' }}} }}} [br] ,,{{{#ffffff ([[2023년|{{{#ffffff 2023년}}}]] [[4월 21일|{{{#ffffff 4월 21일}}}]] ~ [[2023년|{{{#ffffff 2023년}}}]] [[6월 23일|{{{#ffffff 6월 23일}}}]])}}},, || → || [[트릴리온 게임#드라마|트릴리온 게임]] [br] ,,([[2023년]] [[7월 14일]] ~ [[2023년]] [[9월 15일]]),, || ||<-3>
{{{#fff800 '''[[TBS 테레비|{{{#ffffff TBS}}}]] [[TBS 금요 드라마|{{{#fff800 금요 드라마}}}]]'''[br]{{{+1 '''펜딩 {{{#ffffff 트레인 -8시 23분, 내일 너와-}}}'''}}} {{{#fff (2023)}}}[br]ペンディング{{{#ffffff トレイン―8時23分、明日 君と}}}}}} || ||<-3>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펜딩 트레인 키 비주얼.jpg|width=100%]]}}} || ||<-2> '''장르''' ||[[드라마]] || ||<-2> '''방송 시간''' ||금 / 오후 10:00 ~ || ||<-2> '''방송 기간''' ||[[2023년]] [[4월 21일]] ~ [[2023년]] [[6월 23일]] || ||<-2> '''방송 횟수''' ||10부작 || ||<-2> '''제작''' ||TBS SPARKLE, [[TBS 테레비|TBS]] || ||<-2> '''채널''' ||[[TBS 테레비|TBS]] || ||<|3> '''제[br]작[br]진''' || '''PD''' ||미야자키 마사코, 마루야마 이즈미 || || '''연출''' ||타나카 켄타, 오카모토 신고, 카토 나오키, 이무라 타이치, 하마노 다이키 || || '''극본''' ||카네코 아리사[* [[사랑은 계속될 거야 어디까지나]], [[꾸미는 사랑에는 이유가 있어]] 등을 집필하였다.] || ||<-2> '''출연''' ||[[야마다 유키(배우)|야마다 유키]], [[아카소 에이지]], [[카미시라이시 모카]], [[이노와키 카이]] 外 || ||<-2> '''스트리밍''' ||[include(틀:넷플릭스 표시)] [[https://www.netflix.com/title/81680399|▶]] || ||<-2> [[영상물 등급 제도|'''{{{#fff800 시청 등급}}}''']]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등급 제도#관련 규정|[[파일:15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width=20]] {{{#373a3c 15세 이상 시청가}}}]] || ||<-2> '''링크''' ||[[https://www.tbs.co.jp/p_train823_tbs/|[[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p_train823_tbs, 크기=20)] | [[https://www.instagram.com/p_train823_tbs/|[[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2023년]] [[4월 21일]]부터 [[6월 23일]]까지 방영한 2분기 [[TBS 테레비|TBS]]의 [[TBS 금요 드라마|금요 드라마]]. 주연은 [[야마다 유키(배우)|야마다 유키]]. == 시놉시스 == >'''8시 23분''', 평소와 다름없는 아침. 도심으로 향하는 [[수도권 신도시 철도 츠쿠바 익스프레스|전철]]에는 [[SNS]]를 확인하거나 동영상을 보거나 하는 둥, 대부분의 승객이 [[스마트폰]]을 보고 있었다. ''''어제와 같은 오늘을 맞이한다'''', 모두가 그렇게 생각하고 있었다. > >하지만, [[아키하바라역|도심]]으로 향하던 '''[[수도권 신도시 철도 TX-2000계 전동차|지하철]] 한 칸이 갑자기 낯선 [[미래]]의 황폐한 세계로 던져져 버린다.''' SNS는 커녕 스마트폰 자체가 도움이 되지 않는 세계로 갑자기 도착한 승객들. > >[[우연]]인지 [[운명]]인지... >[[합승]]한 사람들과 '''살아남기 위한 [[서바이벌]]'''이 시작된다. > >같은 전철에 우연히 합쳐 보지 못한 승객들이 갑자기 전대 미문의 사건에 휘말려 [[전파]]가 통하지 않는 데다 [[물]]도 [[식량]]도 없는 [[극한]]의 어려움을 앞에 두고 '''어떻게 [[생존]]할 것인가'''를 묻는 예측불능의 휴먼 엔터테인먼트. == 마케팅 == === 포스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펜딩 트레인 키 비주얼.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펜딩 트레인 3인.jpg|width=10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111063, #111063)" {{{#fff800 '''공식 포스터'''}}}}}} || === SP 인터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XumLAmftk0M, width=100%)]}}} || || {{{#fff800 '''[[야마다 유키(배우)|{{{#fff800 야마다 유키}}}]] 공식 인터뷰 영상'''}}}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ErmNGEsn0Hk, width=100%)]}}} || || {{{#fff800 '''[[아카소 에이지|{{{#fff800 아카소 에이지}}}]] 공식 인터뷰 영상'''}}} || ===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iRR515EART0)]}}}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azefgzBs3NI)]}}}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C3qUGxPeyZc)]}}} || ||<-4> {{{#fff800 '''예고편'''}}} || == 등장인물 == [include(틀:스포일러)] === 인물 관계도 === [[파일:펜딩 트레인 인물 관계도.jpg|width=100%]] === 주요인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카야시마 나오야.jpg|width=100%]]}}} || || '''배역명 / 배우''' || || {{{#111063 {{{+1 '''카야시마 나오야[br]萱島直哉'''}}}[br]([[야마다 유키(배우)|{{{#111063 야마다 유키}}}]] 분)}}} || ||나오야는 [[미디어]]에서도 활약하는 카리스마 [[미용사]]. 일하는 모습과 [[커뮤니케이션]] 능력은 높지만, '''어딘가 파악할 수 없고, 무엇을 생각하고 있는지 모르는 위험한 성적 매력'''을 느끼는 일면을 가지고 있다. 거기에는, 나오야가 지금까지 경험해 온 복잡한 [[과거]]가 있는데···. 어딘가 마음을 닫고, 표면의 밝기와 전설함으로 나날을 보내고 있던 나오야가, [[극한]]의 상황에 처하게 되었을 때, 과연 무엇을 생각해, 어떤 행동을 취할까···.||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시라하마 유토.jpg|width=100%]]}}} || || '''배역명 / 배우''' || || {{{#111063 {{{+1 '''시라하마 유토[br]白浜優斗'''}}}[br]([[아카소 에이지|{{{#111063 아카소 에이지}}}]] 분)}}} || ||심성이 올곧고 남자다운 열혈 [[소방관]]. 아직 경험은 별로 없지만 여차하면 몸을 던져서 남을 돕고, [[극한]]의 상황에서도 [[리더]] 격으로서 동요하는 [[승객]]들을 진정시키고 '''한 사람이라도 더 많은 [[목숨]]을 구하려고 분투한다.''' 그런 면에는 과거의 [[후회]], 그리고 어느 선배와 한 약속이 크게 관련되어 있는데... 앞날이 보이지 않는 가운데 [[희망]]을 잃지 않고 모두를 이끌어가는 유토는 늘 [[마이페이스]]에 상황을 조용히 지켜보는 나오야와는 대조적이다. 결국 두 사람은 무슨 일이 있을 때마다 [[대립]]하고 마는데...|| === 그 밖의 인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하타노 사에.jpg|width=100%]]}}} || || '''배역명 / 배우''' || || {{{#111063 {{{+1 '''하타노 사에[br]畑野紗枝'''}}}[br]([[카미시라이시 모카|{{{#111063 카미시라이시 모카}}}]] 분)}}} || ||고등학교 체육교사. 경험이 많지 않아 열정과 기합을 잘 발휘하지 못하고 겉도는 경우가 있어 항상 다른 사람의 시선을 신경쓰고 있다. 감정을 겉으로 드러내지 않고 안으로 숨기는 편이며 여차할 때는 주변 사람들이 깜짝 놀랄 정도로 결단을 내리기도 한다. 예전부터 유토에게 호감을 가지고 있었지만, 그런 그녀의 마음을 알아채는 것은 나오야인데...||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카토 쇼다이.jpg|width=100%]]}}} || || '''배역명 / 배우''' || || {{{#111063 {{{+1 '''카토 쇼다이[br]加藤祥大'''}}}[br]([[이노와키 카이|{{{#111063 이노와키 카이}}}]] 분)}}} || ||일본 굴지의 명문대학원 농학부 생명과학과 대학원생. 온화하고 상냥한 성격인 듯 보이나 사실은 까다로운 성격이라 친구가 별로 없어 혼자서 시간을 보내는 것을 더 좋아한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와타베 레나.jpg|width=100%]]}}} || || '''배역명 / 배우''' || || {{{#111063 {{{+1 '''와타베 레나[br]渡部玲奈'''}}}[br]([[후루카와 코토네|{{{#111063 후루카와 코토네}}}]] 분)}}} || ||네일리스트. 원하는 것을 손에 넣기 위해서는 수단을 가리지 않고 타인을 희생하기조차 하는 개인주의적 성향이 강하다. 타임슬립을 하고 나서도 제멋대로 자기 본위의 행동을 하는 바람에 무리의 평화를 깨는 주범이지만, 그런 그녀에게도 과거에 콤플렉스가 있었는데...||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요네자와 다이치.jpg|width=100%]]}}} || || '''배역명 / 배우''' || || {{{#111063 {{{+1 '''요네자와 다이치[br]米澤大地'''}}}[br]([[후지와라 죠이치로|{{{#111063 후지와라 죠이치로}}}]] 분)}}} || ||칸사이 출신으로 게임, 일러스트, 만화 등 대중문화를 공부하는 전문학교 학생으로 언변이 뛰어나다. 타임슬립을 하고 나서도 여전히 밝고 명랑한 태도로 좋아하는 라이트 노벨이나 만화 속 설정에 대해 이야기하며 여러 가지 가설을 세우는 등 다른 사람들을 혼란시키기도 하지만 그러한 긍정적인 성격 덕분에 다른 사람들의 마음을 누그러뜨리기도 하여 승객들 중 가장 사랑받는 캐릭터.||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에구치 카즈마.jpg|width=100%]]}}} || || '''배역명 / 배우''' || || {{{#111063 {{{+1 '''에구치 카즈마[br]江口和真'''}}}[br]([[휴가 와타루|{{{#111063 휴가 와타루}}}]] 분)}}} || ||의대를 지망하는 명문 고등학교 수험생. 항상 냉정한 태도를 취하며 어른들도 설득할 수 있을 정도의 논리로 이야기한다. 어렸을 때부터 유명한 의사인 아버지와 주변의 인간관계를 보고 자랐기 때문에 부모님이나 교사 등 어른들에 대해 강한 경계심을 품고 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사토 코하루.jpg|width=100%]]}}} || || '''배역명 / 배우''' || || {{{#111063 {{{+1 '''사토 코하루[br]佐藤小春'''}}}[br]({{{#111063 카타오카 린}}} 분)}}} || ||카즈마의 연인이자 소꿉친구로 같은 학교에 다니고 있다. 카즈마를 존경하고 있으며 여고생다운 부분과 어른스러운 부분을 모두 가지고 있다. 카즈마가 모르는 자신만의 비밀이 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width=100%]]}}} || || '''배역명 / 배우''' || || {{{#111063 {{{+1 '''타나카 야이치[br]田中弥一'''}}}[br]({{{#111063 스기모토 텟타}}} 분)}}} || ||죽은 듯 살아가는 무기력한 회사원. 가족과 직장 부하에게 무시당하며 고독한 나날을 보내고 있었지만 타임슬립을 하면서 상황이 바뀐다. 승객 중에서 가장 연장자인 덕에 자신의 주장을 가장 자유롭게 표현한다. 원래 살던 세상과의 차이에 쾌감을 느끼며 다른 승객들을 지배하려 하지만 그 탓에 더 큰 혼란을 일으키게 된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테라사키 카요코.jpg|width=100%]]}}} || || '''배역명 / 배우''' || || {{{#111063 {{{+1 '''테라사키 카요코[br]寺崎佳代子'''}}}[br]([[마츠유키 야스코|{{{#111063 마츠유키 야스코}}}]] 분)}}} || ||파견회사를 경영하는 캐리어 우먼. 회사 경영이 쉽지는 않지만 딸이 다니는 사립 명문고등학교의 학부모 모임과 동급생들 때문에 허세를 부리며 SNS에서는 잘 나가는 것처럼 포장한다. 언뜻 보면 전형적인 행복한 인생을 보내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마음에 여유가 없고 자신에게 부족한 부분을 좇는 매일을 보내고 있다.|| == 방영 목록 및 시청률 == * '''{{{#red 빨간 글자}}}'''는 '최고 시청률'을 의미하고, '''{{{#blue 파란 글자}}}'''는 '최저 시청률'을 의미한다. ||
''' 회차 ''' || ''' 방영일자 ''' || ''' 부제 ''' || ''' 연출 ''' || ''' 시청률 ''' || || {{{#fff200 '''1화'''}}} || [[2023년]] [[4월 21일]] || '''운명의 전차[br](運命の電車)''' ||<|2> 다나카 켄타[br](田中健太) || {{{#red '''7.6%'''}}} || || {{{#fff200 '''2화'''}}} || [[2023년]] [[4월 28일]] || '''살기 위한 다수결[br](生きるための多数決)''' || '''6.8%''' || || {{{#fff200 '''3화'''}}} || [[2023년]] [[5월 5일]] || '''뜨거운 눈물의 버디 탄생[br](熱き涙のバディ誕生)''' || 오카모토 신고[br](岡本伸吾) || {{{#blue '''5.1%'''}}} || || {{{#fff200 '''4화'''}}} || [[2023년]] [[5월 12일]] || '''동료냐 적이냐[br](仲間か敵か)''' || 카토 나오키[br](加藤尚樹) || '''5.9%''' || || {{{#fff200 '''5화'''}}} || [[2023년]] [[5월 19일]] || '''그것은 사랑[br](それって恋)''' || 이무라 타이치[br](井村太一) || '''5.5%''' || || {{{#fff200 '''6화'''}}} || [[2023년]] [[5월 26일]] || '''싸움의 끝… 깨달은 마음[br](戦いの果て…気づいた想い)''' || 하마노 다이키[br](濱野大輝) || '''5.4%''' || || {{{#fff200 '''7화'''}}} || [[2023년]] [[6월 2일]] || '''끌어안은 눈물[br](抱きしめられた涙)''' || 다나카 켄타[br](田中健太) || '''5.9%''' || || {{{#fff200 '''8화'''}}} || [[2023년]] [[6월 9일]] || '''살아라… 영원한 이별[br](生きろ…永遠の別れ)''' || 카토 나오키[br](加藤尚樹) || '''5.5%''' || || {{{#fff200 '''9화'''}}} || [[2023년]] [[6월 16일]] || '''돌아가고 싶었을 세계[br](戻りたかったはずの世界)''' || 오카모토 신고[br](岡本伸吾) || '''6.0%''' || || {{{#fff200 '''최종화'''}}} || [[2023년]] [[6월 23일]] || '''미래를 실은 전차[br](未来を乗せた電車)''' || 다나카 켄타[br](田中健太) || '''7.1%''' || ||<-4><:> {{{#fff200 ''' 전체 평균 시청률 ''' }}} || {{{#fff200 '''6.1%''' }}} || ||<-5><:> {{{#fff200 ''' 해당 자료는 [[일본|{{{#fff200 일본 }}}]] [[간토|{{{#fff200 간토 }}}]] 지방의 TV 시청률 기준입니다. [[https://ja.wikipedia.org/wiki/%E3%83%9A%E3%83%B3%E3%83%87%E3%82%A3%E3%83%B3%E3%82%B0%E3%83%88%E3%83%AC%E3%82%A4%E3%83%B3-8%E6%99%8223%E5%88%86%E3%80%81%E6%98%8E%E6%97%A5_%E5%90%9B%E3%81%A8|#]]''' }}} || == 주제가 == ||<-2>
'''{{{#fff200 주제가[br]TATTOO}}}''' || ||<-2>[[파일:TATTOO_Official髭男dism.jpg|width=100%]]||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oLrp9uTa9gw, width=100%)]}}} || || {{{#fff200 '''노래'''}}} || [[Official髭男dism]] || || {{{#fff200 '''작사'''}}} || [[후지하라 사토시]] || || {{{#fff200 '''작곡'''}}} || [[후지하라 사토시]] || == 여담 == * [[야마다 유키(배우)|야마다 유키]]는 [[TBS 금요 드라마]] 첫 주연을 맡았다.[* 황금 시간대[* 오후 9시~10시 시간대] 드라마 첫 주연을 맡은 작품이기도 하다.] * [[야마다 유키(배우)|야마다 유키]]는 2017년《3명의 아빠》와 《[[이토군 A to E(드라마)|이토군 A to E]]》이후로 약 6년 만에 [[TBS]] 드라마 출연이다. * [[아카소 에이지]]는 2022년 3분기 [[TBS 금요 드라마]]《[[이시코와 하네오 -그런 일로 고소합니까?-]]》에 이어 1년도 안돼서 2023년 2분기 [[TBS 금요 드라마]]에 출연하게 되었다. * [[야마다 유키(배우)|야마다 유키]]와 [[아카소 에이지]]는 [[고향]]이 [[나고야]]로 동향이며, 다녔던 [[고등학교]]까지 같은 선후배 사이다.[* 둘 다 토호 고등학교를 다녔지만 야마다 유키가 1990년생, 아카소 에이지가 빠른 1994년 생이므로 학교를 다닌 시기가 겹치진 않는다.] * [[카미시라이시 모카]]와 [[이노와키 카이]]는 드라마 《[[의붓 엄마와 딸의 블루스]]》와 《[[치무돈돈]]》에 이어 본작에도 함께 출연하게 되었다. * [[야마다 유키(배우)|야마다 유키]][* [[해적전대 고카이저]]에서 [[조 깁켄]] 역의 배우.], [[아카소 에이지]][* [[가면라이더 빌드]]에서 [[반죠 류우가]] / [[가면라이더 크로즈]] 역의 배우.], [[휴가 와타루]][* [[가면라이더 리바이스]]에서 [[이가라시 다이지]] / [[가면라이더 라이브]]와 [[카게로우(가면라이더 리바이스)|카게로우]] / [[가면라이더 이블]] 역의 배우.]는 모두 토에이 특촬 주연을 맡았던 배우들이다. 그래서 방송 5일 전, 셋이서 모여 각각 출연했던 작품에서 자신이 변신했던 라이더, 전대의 변신 포즈를 취하는 영상이 공식 트위터에 올라왔다.[[https://twitter.com/p_train823_tbs/status/1647590638840586242?s=20|.]] * 현지 시청자 사이에서는 2000년대 중반에 미국 [[ABC(미국 방송)|ABC]]에서 방영한 드라마 [[LOST(드라마)|로스트]]와 유사하다는 [[https://twitter.com/search?q=%E3%83%9A%E3%83%B3%E3%83%87%E3%82%A3%E3%83%B3%E3%82%B0%E3%83%88%E3%83%AC%E3%82%A4%E3%83%B3%20LOST&src=typed_query|평]]이 있다. 해당 내용은 일부 언론에서 [[https://news.nifty.com/article/entame/showbizd/12156-2337892/|기사]]화해, TBS 드라마의 전례를 들어 단순 유사성 수준이 아니라 표절로 봐야 한다는 논지로 비평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