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ederico Fernández.jpg|width=100%]]}}} || ||<-2> '''{{{#ffffff 알 두하일 SC No. 24}}}''' || ||<-2> '''{{{#EE1C25 {{{+1 페데리코 페르난데스}}} [br] Federico Fernández}}}''' || ||<|2> '''{{{#fff 출생}}}''' ||[[1989년]] [[2월 21일]] ([age(1989-02-21)]세) || ||[[아르헨티나]] 트레스 알가로보스 || || '''{{{#fff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아르헨티나)] || || '''{{{#fff 신체 조건}}}''' ||190cm, 83kg || || '''{{{#fff 포지션}}}''' ||[[센터백]] || || '''{{{#fff 주발}}}''' ||오른발 || || '''{{{#fff 소속 클럽}}}''' ||[[에스투디안테스]] (2008~2011) [br] [[SSC 나폴리]] (2011~2014) [br]→ {{{-1 [[헤타페 CF]] (2013 / 임대)}}} [br] '''[[스완지 시티 AFC]] (2014~2018)''' [br] '''[[뉴캐슬 유나이티드 FC]] (2018~2022)''' [br] [[엘체 CF]] (2022~2023) [br] [[알 두하일 SC]] (2023~) || || '''{{{#fff 국가 대표}}}''' ||[[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파일: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2성)엠블럼.svg|width=25]]]] 32경기 3골 ^^([[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아르헨티나]] / 2011~2014)^^ || [목차] [clearfix] == 클럽 경력 == 아르헨티나의 축구선수. 포지션은 센터백이다. === [[에스투디안테스]] === 페르난데스는 2008년 9월 14일, [[벨레스 사르스필드]]와의 아페르투라[* 전기리그] 경기를 통해 데뷔한다. 3시즌 동안 [[에스투디안테스]]에서 주력 센터백으로 뛰며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1회 우승과 [[아르헨티나 프리메라 디비시온]] 아페르투라 1회 우승을 이끌었다. === [[SSC 나폴리]] === 2011년 7월, 250만 유로에 [[SSC 나폴리]]로 이적한다. 하지만 [[파올로 칸나바로]], [[우고 캄파냐로]], 살바토레 아로니카, [[미겔 브리토스]] 등 많은 경쟁자 틈에 끼어 페르난데스는 출장수에 제한을 받게 되었다. 그러나 챔피언스리그 조별예선에서 거함 [[바이에른 뮌헨]]을 상대로 헤더로만 두골을 집어넣으며 자신의 존재를 알렸으나 결국 주전자리를 차지하는데는 실패한다. ==== [[헤타페 CF]] (임대) ==== 결국 2012-13시즌에도 별다른 변화가 없자 2013년 1월에 스페인의 [[헤타페 CF|헤타페]]로 임대이적을 선택했으며 성공적인 임대생활을 보냈다. ==== 2013-14 시즌 ==== 임대를 마치고 나폴리로 복귀해 브리토스가 부상으로 빠진 자리를 메우며 [[라울 알비올]]과 함께 나쁘지 않은 활약을 보였다. === [[스완지 시티 AFC]] === 2014년 8월 20일, [[스완지 시티 AFC]]로 이적하였다. 계약기간은 4년간이며 이적료는 공개되지 않았다. 2014-15 시즌엔 [[애슐리 윌리엄스(축구선수)|애슐리 윌리엄스]]와 함께 주전 센터백으로 나오며 무난한 활약을 보였다. 그러나 2015-16 시즌 초반에 어이없는 실수를 남발했다. 사실 수비력 자체는 나쁘지 않은 편이다. 그런데 가끔 무리한 오버래핑이나 패스미스등 어처구니없는 실수로 팀에게 재앙을 몰고오곤한다. 즉 태클과 클리어링에서는 뛰어난 모습을 보이지만 빌드업에 있어서는 상당히 불안한 선수다. 31R, [[브래드 구잔]]의 펀칭미스를 그대로 우겨넣어 득점을 만들어냈다. === [[뉴캐슬 유나이티드 FC]] === 2018-19 시즌을 앞두고 강등된 스완지를 떠나 뉴캐슬로 이적하였다. [[기성용]]과 또 같은 팀에서 만나게 되었다. 2019-20 시즌 11라운드 웨스트햄전에서 [[예트로 빌럼스|빌럼스]]의 얼리크로스를 머리에 맞추며 추가골을 기록했다. 16라운드 소튼전에서 롱스태프의 중거리슛이 골키퍼 맞고 흘러나온것을 밀어넣으며 역전골을 기록했다. 35라운드 왓포드전에서 코너킥을 헤딩 슛으로 날린 것을 게일이 밀어넣으며 어시스트를 하나 기록했다. 21-22시즌, 시즌 초반 스티브 브루스 체제에서 5경기에 선발 출전했으나 에디 하우 부임 이후 2022년 3월 현재, 1경기 선발, 1경기 교체출전이 전부일 정도로 백업 자원으로 밀려났다. 기량은 둘째치고 계속되는 잔부상으로 거의 출전을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 [[엘체 CF]] === 현지 시각 2022년 9월 1일, [[엘체 CF]]로 이적했다. 1년 계약. == 플레이 스타일 == 최후방에서 좋은 집중력과 침착함을 바탕으로 공을 끝까지 보고 클리어링해내는 데 일가견이 있다. 긴 다리를 바탕으로 하는 슬라이딩 태클은 물론 측면에서의 크로스를 헤더로 처리하거나, 골키퍼가 자리를 비웠을 때 몸을 던져 실점을 막아내는 등 걸레수비도 자주 보여준다. 또한 빌드업 상황에서도 이러한 저돌적인 성향 때문에 전진패스를 자주 시도한다. 다만, 전진패스 성공률이 많이 떨어지는 편이고, 무엇보다 순간 속도가 너무 느려서 발이 빠른 공격수를 만나면 매우 고생한다. 또한 잔실수도 많은 편이라, 좋은 날과 안 좋은 날의 기복이 심한 편. == 국가대표 경력 == 2009년 아르헨티나 U-20 대표로 베네수엘라에서 열린 남미 청소년 선수권 대회에 출전하였다. 2011년 4월 20일, [[에콰도르 축구 국가대표팀|에콰도르]] 전에서 아르헨티나 A대표로 데뷔하였다. 같은 해 5월 25일 [[파라과이 축구 국가대표팀|파라과이]]와의 친선 경기에서 A매치 첫 골을 기록하였다. 2014년 5월, 브라질에서 개최되는 [[2014 FIFA 월드컵|월드컵]]의 23인 엔트리에 이름을 올렸다. 그리고 2:1로 승리한 본선 1차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축구 국가대표팀|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와의 경기에서 선발로 출전하며 월드컵 데뷔전을 치렀다. == 같이 보기 == [include(틀:엘체 CF)] [각주] [[분류:1989년 출생]][[분류:부에노스 아이레스 주 출신 인물]][[분류:아르헨티나의 축구선수]][[분류:에스투디안테스/은퇴, 이적]][[분류:SSC 나폴리/은퇴, 이적]][[분류:헤타페 CF/은퇴, 이적]][[분류:스완지 시티 AFC/은퇴, 이적]][[분류:뉴캐슬 유나이티드 FC/은퇴, 이적]][[분류:엘체 CF/현역]][[분류:알 두하일 SC/현역]][[분류:아르헨티나의 FIFA 월드컵 참가 선수]][[분류:2014 FIFA 월드컵 브라질 참가 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