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튀르키예의 항공사)] [include(틀:항공사/유럽/저가 항공사)] |||||||| [[파일:FlyPGS.png|width=100%]]|| ||||||||<#4C4C4E> '''{{{#ffffff 페가수스 항공[br]Pegasus Hava Taşımacılığı A.Ş.[br]Pegasus Airlines}}}''' || || '''[[IATA]]'''[br]PC || '''[[ICAO]]'''[br]PGT || '''[[보잉/커스터머 코드|BCC]]'''[* Boeing Customer Code, 보잉사 고객코드] [br] 2R || '''[[항공사]] [[호출 부호]]'''[br]SUNTURK || ||<-2> '''설립년도''' ||<-2>1990년 || ||<-2> '''허브 공항''' ||<-2>[[사비하 괵첸 국제공항]] || ||<-2> '''포커스 시티''' ||<-2>아다나 공항[br][[안탈리아 공항]][br]에르잔 공항[* 북키프로스 레프코샤에 위치한 공항이다.][br][[에센보아 국제공항]][br][[아드난 멘데레스 국제공항]] || ||<-2> '''보유 항공기 수''' ||<-2>73 || ||<-2> '''취항지 수''' ||<-2>103 || ||<-2> '''항공동맹''' ||<-2>무소속 || ||<-2> '''링크''' ||<-2>[[http://www.flypgs.com|홈페이지]] || || [[파일:PGS BOEing.jpg|width=100%]] || || [[보잉]] [[보잉 737 NG|737-800]] || || [[파일:Pegasus A320.jpg|width=100%]] || || [[에어버스]] [[A320|A320-200]] || [목차] == 개요 == 튀르키예 이스탄불 펜딕에 본사를 둔 튀르키예의 [[저비용 항공사]]이다. 튀르키예 제2 공항인 [[사비하 괵첸 국제공항]]을 허브로 삼고 있고, 39개국 103개의 도시에 취항한다. 2013년과 2014년 2년 연속으로 유럽 최고의 저비용 항공사상을 수상했다. 저비용 항공사 치고 항공기 연령이 9.1년으로 별로 높지 않다. == 서비스 == [[스카이트랙스]] 평가에서 별 2개를 받아 '''기피해야 할 항공사'''에 선정되는 불명예를 경험했다. 기내식으로는 보통 샌드위치를 주는데 상당히 딱딱하다. 기내식도 돈을 내면 먹을수 있지만 먹지 않는 걸 추천한다. Pre-order hot meal은 먹어보니까 가성비가 좋다! (국내선/국제선이 동일 메뉴라도 결제를 리라화/유로화로 따로 하게 되는데 리라화 가치가 하락한 2020년 기준 가성비가 상당히 좋다. 국제선이라면 그다지 추천하지는 않는다.) 게다가 몇몇 기종의 경우 [[라이언에어]], [[스피릿 항공|스피릿에어]] 마냥 좌석이 아예 재껴지지 '''않는다!''' 승무원들의 외국어 실력도 낮아 [[튀르키예어]]를 모르면 타기 힘든 항공사다. 기내 와이파이를 제공하는 기종의 경우 접속해서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다. 2018년 10월 기준으로는 무료로 제공하고 있다. 연착도 상당히 심각하다. 30분 늦게 도착 하는 건 기본에 심하면 4시간 이상까지 연착한다. 특히 겨울철 오전비행기라면 더더욱. 비단 페가수스 뿐만 아니라 튀르키예에서는 이 계절에 안개때문에 활주로 자체가 안 보이는 경우가 자주 있다. == 취항지 == [[아시아]], [[유럽]], [[아프리카]] 3대륙에 취항한다. 한국인이라면 [[국내선]]을 탈 경우를 빼고는 탈 일이 거의 없다. [[아테네]] 노선은 놀랍도록 저렴한 운임과 짧은 비행시간으로 나름대로 타 볼 만하다. 저비용 항공사 주제에 [[코드셰어]]도 맺고 있는데, [[아제르바이잔 항공]], [[KLM 네덜란드 항공]], 그리고 자회사인 이즈에어와 [[코드셰어]] 협정을 맺고 있다. || 튀르키예 || ||[[아다나]], 알라냐, 메르지폰, [[앙카라]], [[안탈리아]], 발르케시르, 바트만, 보드룸, 데니즐리, [[디야르바크르]], 엘라즈으,에르진잔, 에르주룸, [[가지안테프]], [[이스탄불]], [[이즈미르]], 카흐라만마라쉬, 카르스, 카스타모누, 카이세리, [[콘야]], 퀴타햐, [[말라티아]], [[마르딘]], 무쉬, 네브셰히르, 삼순, [[샨르우르파]], 시으르낙, [[시바스]], [[트라브존]], [[반(도시)|반]] || || 서아시아 || ||[[퀸 알리아 국제공항|암만]], [[바레인 국제공항|바레인]], [[헤이다르 알리예프 국제공항|바쿠]], 개밸래, [[트빌리시]], [[베이루트]], [[도하 하마드 국제공항|도하]], [[두바이 국제공항|두바이]], [[아부다비 국제공항|아부다비]], 에일라트, [[벤 구리온 국제공항|텔아비브(벤 구리온)]], 아르빌, [[테헤란]], [[쿠웨이트 국제공항|쿠웨이트]], [[예레반]] || || 중앙아시아 || ||두샨베, [[알마티 국제공항|알마티]], 비슈케크, 오쉬 || || 남아시아 || ||[[인디라 간디 국제공항|델리]] || || 서유럽 || ||[[암스테르담 스키폴 국제공항|암스테르담]], 런던 ([[개트윅 공항|개트윅]] + [[스탠스테드 공항|스탠스테드]]), 맨체스터, 리옹, 셍테티엔, 마르세유, 니스, 파리 ( + [[파리 오를리 공항|오를리]]), [[브뤼셀 자반템 공항|브뤼셀]], [[베를린 브란덴부르크 국제공항|베를린]], 브레멘, [[함부르크 국제공항|함부르크]], 뮌헨, 뒤셀도르프, [[프랑크푸르트 암마인 국제공항|프랑크푸르트]], [[하노버 공항|하노버]], 뮌스터, 뉘른베르크, 자르브뤼켄, 슈투트가르트, [[코펜하겐 카스트루프 국제공항|코펜하겐]], 바젤, [[제네바 국제공항|제네바]], [[취리히 국제공항|취리히]], [[빈 국제공항|빈]] || || 북유럽 || ||[[스톡홀름 알란다 국제공항|스톡홀름]] || || 남유럽 || ||[[아테네 엘레프테리오스 베니젤로스 국제공항|아테네]], [[바르셀로나 엘 프라트 국제공항|바르셀로나]], [[마드리드 바라하스 국제공항|마드리드]], 볼로냐, 밀라노 ([[말펜사 국제공항|말펜사]] + 베르가모), [[레오나르도 다 빈치 국제공항|로마]], 베오그라드, 스코페, 프리슈티냐, 티라나, 사라예보, 니코시아 || || 동유럽 || ||부다페스트 , 부쿠레슈티, 리비우, 자포리지아, [[프라하 바츨라프 하벨 국제공항|프라하]] || || 러시아 || ||첼랴빈스크, 그로즈니, 크라스노다르, 크라스노야르스크, 마하치칼라, 미네랄니예, 니즈니노브고로드, 노보시비르스크, 페름, 사마라, 소치, 볼고그라드, 예카테린부르크 || || 아프리카 || ||라바트, 후르가다, 샬름 엘 셰히크 || == 기타 == * 2018년 1월 3일, 이스탄불 사비하 국제공항을 출발하여 [[트라브존 공항]]에 착륙하던 페가수스 항공 8622편이 활주로를 오버런하여 절벽에 겨우 걸처진 사고가 일어났다. 다행히 사상자는 없었다. 자세한건 [[페가수스 항공 8622편 활주로 이탈 사고]] 참고. * 2020년 2월 5일, 이즈미르 공항을 출발하여 [[사비하 괵첸 국제공항]]에 착륙하는 페가수스 항공 2193편이 착륙하다 미끄러져 기체가 세 동강 나고 탑승자 183명(승객 177명, 승무원 6명) 중 3명이 사망한 사고가 일어났다. 이 사고가 페가수스 항공의 '''처음이자 유일한 사망 사고'''다. [[페가수스 항공 2193편 활주로 이탈 사고]] 참고. * '''페가스(Pegas) 항공'''이라는 이 회사와 비슷한 이름을 가진 러시아의 항공사가 있다. 러시아 [[노드윈드 항공]](Nordwind Airlines)의 계열사이며 이 회사랑은 관련이 없다. 또한 페가수스와 다르게 광동체를 가지고 있다. [[분류:튀르키예의 항공사]][[분류:저비용 항공사]][[분류:1990년 설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