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미국의 훈장]] [include(틀:상위 문서, top1=훈장(상훈)/미국)] [include(틀:미국 관련 문서)] ---- ||<-2> {{{+1 Purple Heart}}} || ||<-2> 상이군인훈장([[퍼플 하트]]) || ||<|5> 형상 || || 정장 || || [[파일:Purple Heart.png|width=30%]] || || 약장 || || [[파일:800px-Purple_Heart_ribbon.svg.png|width=30%]] || || 제정 || [[1932년]] [[2월 22일]] || || 상위 훈장 || 동성훈장 || || 하위 훈장 || 국방근무공로훈장 || == 개요 == 여타 미군을 다룬 드라마나 영화에 자주 언급되어 익숙할 훈장으로, 말 그대로 [[금색]] 테두리로 [[보라색]] [[하트]]를 감싼 형상이다. 하트 안에 새겨져 있는 [[인물]]은 [[조지 워싱턴]] 초대 [[미국 대통령]], 하트 위의 월계수로 감싸진 [[방패]]의 문양은 그의 이름을 딴 도시이자 미국의 수도인 [[워싱턴 D.C.]]의 시기이다. 수여조건은 전투 작전 중 적의 공격에 의해 사망, 부상, 실종 된 미군 군인에게 수여된다. 부상일 경우 적의 공격으로 인해 직접적 혹은 간접적[* 적의 공격으로 인한 차량/항공기 손상 때문에 결과적으로 사고를 당하거나, 피아 식별이 어려운 상황에서 적을 파괴하려는 목적으로 한 공격에 잘못 맞아 아군 오사가 발생하는 경우 등.]으로 발생했어야 하고, 군의관에게 치료받은 기록이 있어야 한다. 또, 복수수훈시에는 별이 추가되는데 2회수훈부터 동별을 갯수별로 달며 6회 수훈(즉 5회 중복 수훈)시 [[은]]별 1개로 대체된다. == 역사 == [youtube(NVA-7TqQT9w)] [[미군]]에서 복무 도중 전사했거나 부상을 입은 상이군인들에게 수여하는 상이군인훈장(傷痍軍人勳章)이다. [[조지 워싱턴]]이 대륙군을 이끌 때 직접 제정하고 수여한 유서깊은 미군 최초의 훈장이며, 그 당시 훈장은 메달이 아닌 뱃지 형태였고 이름은 Badge of Military Merit였다. 이는 일반 군인에게는 최초로 수여된 훈장이다. 그 이전까지 유럽에선 고위장교나 귀족들만이 훈장을 받을 수 있었다. 그리고 150년동안 수여하지 않다가 오늘 날 형태로 바뀌어서 상이군인들에게 수여한 것은 1932년 이후부터이다. [[미합중국 육군]][[원수(계급)|원수]] [[더글러스 맥아더]] [[장군]]이 훈장을 만드는데 기여했고, 그 자신이 첫번째로 퍼플 하트를 받았다. 상이군인훈장으로 바뀌면서 [[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등을 거치는 동안 약 180만명이 퍼플 하트를 받았다.[* 명예로운 훈장이지만 저걸 처음부터 받고 싶어하는 사람은 드물 것이다. 하지만 [[제2차 세계 대전]] 때 퍼플 하트를 3개 이상 받은 [[장병]]들은 [[전역]]할 수 있다는 이야기가 있어서 2번 받은 수훈자들이 하나 더 받기를 내심 기대했다고 한다.] 한편 연합군이 [[태평양 전쟁]] 막바지에서 [[몰락 작전]]을 준비하면서 이 훈장도 사상자 예상수치인 50만명분의 퍼플 하트를 찍어냈는데, 다행히 [[일본 제국]]이 항복하자 그게 다 재고가 되어서 지금까지 아직도 12만개가 창고에 있다고 한다. [[6.25 전쟁]], [[베트남 전쟁]], [[그레나다 침공]], [[파나마 침공]], [[걸프 전쟁]], [[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 [[이라크 전쟁]], [[테러와의 전쟁]]을 거친 데다가 관리 부실로 폐기한 수천개를 제외하고도 재고가 남았다는 건 몰락 작전이 시행되었을 경우 적어도 큰 전쟁을 5번은 치러야 나올 사상자를 감수하고 있었다는 것이다. 몸을 아끼지 않고 헌신한 군인에게 내려지는 명예로운 훈장일 수록 오히려 재고가 남아야 좋은, 역설적인 전쟁의 현실을 잘 보여주는 훈장이라고도 할 수 있다. --영원히 창고에 남아 있어야 한다.-- 수훈 초기에는 부상자가 아니더라도 전공을 세우면 수훈받을 수 있었으나 42년 이후로는 동성훈장(Bronze Star Medal) 등 여러 훈장이 등장하여 비사상자에겐 수여하지 않았다. 또한 42년 이후부터는 전사자, 또는 부상자이기만 하면 수훈받을 수 있다. 하지만 '적의 공격으로 인한 사상자'에게만 수훈하기에 전투 현장에서 있었더라도 단순 사고나 개인 과실, 아군의 오인 공격 등으로 인한 사상자는 장례 및 의료와 [[연금]] 혜택 등은 받지만 퍼플 하트는 받을 수 없다. 또한 적의 공격으로 인한 것이더라도 [[군의관]]이 치료하여 기록을 남긴 부상이어야 하고, 현장에서 [[의무병]]이 치료하여 해결될 경상이면 마찬가지로 수여하지 않는다. 총상 혹은 파편상은 현장에서 간단한 응급 처치로 전투 지속이 가능할 정도로 해결될 가능성이 적으므로, 이런 부상이면 수여 심사시 더 많은 정상 참작을 받는다. 군인뿐만 아니라 [[군무원]]이나 군대에서 일하는 민간인들도 수훈대상으로 포함된다. 또 사람이 아니라 동물이어도 가능하다. 대표적으로 1차 세계 대전에 활약했던 미 육군 [[군견]] 스터비[* 이 실화를 바탕으로 영화 [[캡틴 스터비]]가 만들어졌다. 다만 흥행은 폭망.]나 [[6.25 전쟁]]때 활약한 미 해병대 소속 [[군마]] [[레클리스]][* 원래 서울 경마장 소속인 경주마였지만 주인이 누나에게 의족을 사주기 위해 말을 팔아서 흘러흘러 미 해병대 군마로 들어가 한국전쟁중 탄약 운반병으로 맹활약했다. 한번도 아니고 두번 수여받았는데, 첫번째 부상을 입은 후에 응급 처치를 받고 그대로 전선으로 복귀하는 대범함을 보여주었다. 이 두 부상은 모두 군의관의 처치를 받은 파편상이므로, 수여 기준에도 부합된다.] 도 이 훈장을 받았다. 심지어 공식적으로 수훈되는 건 아니지만 아예 생명체조차 아닌 [[UGV]]등 [[로봇]]에게도 이 훈장을 수여한 사례가 있다. [[밴드 오브 브라더스]]에선 야전[[병원]]에서 육군 [[장교]] 한 명이 수시로 들러 부상자들에게 퍼플 하트를 하나씩 수여하고 갔는데, 한 [[육군]] [[제101공수사단]] [[병사]]가 장교가 떠난 뒤 받은 걸 숨기고 그 장교가 돌아와 퍼플 하트가 없는 걸 보고 새 걸 놓고 가는 걸 또 챙기는 식으로 훈장을 3개 얻은 사례가 등장한다. 물론 공식 수훈은 1개이고 훈장만 2개 더 얻은 셈인데 엄밀히 말하면 이것도 가벼운 범죄지만 단순 장난으로 치고 그냥 넘어간 듯 하다. 본인도 술자리에서 --야유를 듣자 부상 부위가 세 군데니 세 개 받아야 한다고 응수하며-- [[정복(의복)|정복]]에 장난삼아 3개 달아봤을 뿐, 공식 석상에선 약장 1개만 규정과 맞게 패용했다. 이후 한 개는 같은 중대원에게 줬는데, 그는 적의 공격이 아닌 다른 중대원의 오인 총검돌격(야간 경계 교대중 독일군으로 착각했다.)으로 얻은거라 퍼플 하트 수훈 조건에 못 미쳐 못 받았다. 물론, 그도 선물로만 받고 약장으로 달고 다니진 않았다. == 주요 수훈자 == * [[카를로스 헤스콕]] - 1969년 베트남 전쟁 참전중 이동하던 [[장갑차]]가 [[지뢰]]를 밟아 화재가 생기자 동료를 구출하면서 큰 부상을 입어, 그 공훈으로 퍼플 하트를 수상했다. * [[찰스 브론슨]] * [[올리버 스톤]] * [[커트 보니것]] * [[워렌 스판]] * [[팻 틸먼]] * [[존 케리]] - 3회 수훈 * [[콜린 파월]] * [[존 매케인]] * [[크리스틴 벡]] * [[밥 돌]] - 2회 수훈 * [[태미 더크워스]] * [[존 포드]] * [[제임스 가너(배우)|제임스 가너]] - 2회 수훈 * [[대니얼 이노우에]] * [[존 F. 케네디]] * [[더글라스 맥아더]] * [[로버트 뮬러]] * [[레클리스]] - 2회 수훈 * [[제레미아 덴튼]] - 2회 수훈 == 미군 포상제도 목록 == * 훈장 * [[명예훈장]] * [[수훈십자장]] * [[은성훈장]] * [[동성훈장]] * 퍼플하트 * 휘장 * [[전투보병휘장]] * [[우수보병휘장]] == 미국의 포상제도 목록 == * [[미국 국가 예술 훈장]] * [[미국 대통령 자유 훈장]] * [[의회 명예 황금 훈장]]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퍼플 하트, version=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