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 [[퍼즐특급]]의 역대 게임을 정리한 문서. * 역대 게임 목록은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와 복사 주문으로 확인했다. == 방음실 게임[* 1회(1993년 10월 18일 방송분)~77회(1995년 4월 24일 방송분).] == * 대표 게임[* 1993년 송년 특집 - 퍼즐 왕중왕전(1993년 12월 27일 방송분)에서만 진행된다. 1회(1993년 10월 18일 방송분)~55회(1994년 11월 7일 방송분)까지 진행.], 단체 게임[* 4회(1993년 11월 8일 방송분)~77회(1995년 4월 24일 방송분)까지 시행.](◎)으로 진행하며 정답을 알면 수화기를 들고 대답해서 맞히면 해당 점수 획득과 함께 탈출할 수 있다.[* 이 때, 마지막 정답 팀 이전 맞힌 팀의 경우 시청자들도 풀 수 있게 묵음 처리했으며 발음하는 부분을 입모양 그래픽으로 가렸다.][* 예외로 감점이 될 때엔 종종 입모양 그래픽을 생략했다.] * 3인 이상의 팀일 경우 대표로 2명까지 들어갈 수 있다. * 배점: 100점부터 -30점(정답 공개 및 탈출 실패)까지 10점씩 내려간다.[* 1993년 송년 특집 - 퍼즐 왕중왕전(1993년 12월 27일 방송분), 1994년 추석 특집 퍼즐 왕중왕전(1994년 9윌 19일 방송분) 2라운드에서는 두 배의 점수(200점부터 -60점(정답 공개 및 탈출 실패))가 주어지며 20점씩 내려간다.] * 10회(1993년 12월 20일 방송분)에는 최장 시간 전원 -30점을 두 문제를 기록하는 불명예(?)를 세웠다. * 60회(1994년 12월 12일 방송분)에는 서세원이 정답을 못 맞혔는데 방음실에서 돌발 탈출하는 사고를 저질렀다. === 다중촬영 퍼즐 === * 1회(1993년 10월 18일 방송분)~8회(1993년 12월 6일 방송분)에 했던 게임. 현미경 확대, 열화상카메라, CT촬영, 끝부분 접사촬영으로 촬영한 물건을 맞힌다. * 이 게임은 이후 [[장학퀴즈/진행 방식/1~475회|장학퀴즈 X영역]], 가족오락관의 '줌 인 카메라' 코너에 차용했다. === 인물 퍼즐 === * 1회(1993년 10월 18일 방송분)~6회(1993년 11월 22일 방송분)에 했던 게임. 어린이가 그린 주인공의 원본 사진을 낙서한 그림과 어른들의 이야기를 토대로 연상하는 연예인을 맞힌다.[* 마지막에 정답 공개할 때 주인공이 최우수작으로 뽑힌 어린이에게 선물을 주었다.] === 동전 퍼즐 === * 1회(1993년 10월 18일 방송분)~20회(1994년 2월 28일 방송분)에 했던 게임. 동전 속의 초성을 추리해서 어떤 사물, 상황인지 맞힌다. === 퍼즐! 말과 말!◎ === * 1회(1993년 10월 18일 방송분)~40회(1994년 7월 18일 방송분)에 했던 게임. 어떤 상황극과 영상을 보고 공통되는 문구를 맞힌다. * 1회(1993년 10월 18일 방송분)~20회(1994년 2월 28일 방송분)에는 감탄을 나타내는 문장을 찾아 맞힌다. * 21회(1994년 3월 7일 방송분)~40회(1994년 7월 18일 방송분)에는 의성어, 의태어 가운데 물음표에 들어갈 공통 글자를 찾는다. === 만화 퍼즐 === * 9회(1993년 12월 13일 방송분)~44회(1994년 8월 15일 방송분)에 했던 게임. 만화 속에 숨겨진 내용이 무엇인지 맞힌다. === 칸칸 퍼즐 === * 81칸(9*9)으로 구성된 글자판에 무작위로 글자가 배치된다. * 가로, 세로, 대각선으로 이루어지는 단어가 서서히 지워진다. * 지워지는 단어를 보고 연상되는 단어를 맞힌다. === 집중! 3D퍼즐◎ === * 45회(1994년 8월 22일 방송분)~64회(1995년 1월 23일 방송분)에 했던 게임. 어떤 물체의 단면도, 서로 다른 각도에서 촬영한 걸 컴퓨터그래픽으로 보여준다. === 퍼즐! 숫자는 말한다◎ === * 41회(1994년 7월 25일 방송분)~55회(1994년 11월 7일 방송분)에 했던 게임. 다음 숫자의 정의가 무엇인지 의미를 맞힌다. === 퍼즐! 나라면?◎ === * 56회(1994년 11월 14일 방송분)~77회(1995년 4윌 24일 방송분)에 했던 게임. 앙케트 설문 내용을 토대로 문제를 출제해서 특정 순위의 내용을 맞힌다. 마지막으로 진행한 방음실 게임. == 옥떨메 퍼즐 == * 화면을 보고 초가지붕 안에 메주가 5개 걸리며, 왼쪽에 문제가 나타낸 후, 각 메주에는 문제의 해당된 정답이 하나씩 들어있다. 문제가 떨어지기 전에 그 정답을 대답하면 해당 점수가 주어진다. == 알쏭달쏭 퍼즐 == * 전반부에는 알 / 쏭 / 달 / 쏭 중 1세트를 선택하여 그림을 본 다음, 알쏭과 달쏭에 있는 그림 조각 6개를 선택해서 그림을 완성시키는 퍼즐 형식이며, 1조각 일치 때마다 10점씩 주어지며, 모두 일치하면 100점이 주어진다. * 후반부에는 영상에 나온 정답그림과 다른 3곳을 찾아내는 퍼즐 형식이며, 한 팀에게 영상에 나온 정답그림과 다른 1곳을 찾아내면 30점씩 주어진다. == 머리회전을 위한 오프닝 퍼즐 == * 두뇌 회전을 판단하기 위해서 알아차리는 추리력과 상상력에 의해 정답을 정확하게 맞히는 퍼즐 게임. 이때 정답을 맞힌 팀이 정답에 대한 설명을 정확히 해야 30점을 받을 수 있다.[* 객관식 문제로도 출제되었다.] == 시선집중 퍼즐 == * 1기 형식[* 1회(1993년 10월 18일 방송분)~10회(1993년 12월 20일 방송분).]: 광고, 신문 기사 내용 중 오류 3가지[* 1994년 추석 특집 퍼즐 왕중왕전(1994년 9월 19일 방송분)은 5가지.]를 찾는 형식이다. * 배점: 50점, 30점, 20점[* 가끔 10점으로 바뀔 때도 있다.] 순으로 내려가는 형식이다. * 2기 형식: 글자판에서 가로, 세로, 대각선으로 숨겨져 있는 단어를 맞히는 형식이다. * 배점: 단어당 20점 == 책벌레 안구운동 퍼즐 == * 8개의 구멍 속에 순간포착으로 보여지는 글자를 보고 조합해서 문장을 맞힌다. * 배점: 50~10점으로 10점씩 내려간다.[* 1993년 송년 특집 - 퍼즐 왕중왕전(1993년 12월 27일 방송분)에서는 두 배의 점수: 100~20점으로 20점씩 내려간다.] == 퍼즐! 빙글빙글! == * 빙글빙글 돌아가는 글자판에 숨겨진 단어를 맞히는 게임. * 배점: 30~50점에서 시간이 지날수록 10점씩 내려간다. == 퍼즐! 구사일생! == * 4가지 분야 중 하나를 선택하며 어떤 주제를 주고 주제와 관련된 10개의 단어 폭탄을 하나씩 제시한다. * 팀원이 교대로 풀어야 하며, 제시어가 주제와 관련이 있다면 '받어!', 관련이 없으면 '엎드려!'를 외친다.(제한시간: 3초, 배점: 문제당 10점) * 폭탄이 터질 때마다 정재환[* 200회 특집, 추석 특집(1997년 9월 15일 방송분)에서는 최승돈] 캐릭터가 갈수록 망가지는 재미를 볼 수 있다. * 1개 터진 후: 한쪽 눈이 멍든다. * 2개 터진 후: 양쪽 눈이 멍들고 쌍코피를 흘린다. * 3개 터진 후: 한쪽 눈에 안대를 차고 한쪽 팔 깁스를 한다. * 4개 터진 후: '''찼던 안대에 피가 물들고''', 양팔과 양다리 깁스를 한다. 이때부터 달리지 못하고 간신히 걸어가게 된다. * 5개 터진 후: 머리가 헝클어지고 몸통 전체에 붕대를 감는다. 그리고 '''목발에 의지해서 가게 된다.''' * 6개 터진 후: 머리에 붕대를 감는다. * 7개 터진 후: '''두 눈을 제외하고 온몸을 붕대로 꽁꽁 감는다.''' 대신 어째선지 찼던 안대는 다시 벗는다. * 8개 터진 후: 안대를 찼던 한 쪽 눈에 붕대를 감는다. 그리고 '''목발도 없어 기어가게 된다.'''[* ~~나머지 2개마저 터지면 어떻게 되는 거지? 사망할 수 있다.~~] == 퍼즐! 문학관 == * KBS에서 방송되었던 TV문학관을 자료를 토대로 빈칸에 들어갈 단어를 맞힌다. * 금칙사항을 언급할 때 쓰는 말인 '삐리리~'라는 말이 여기서 유래되었다. * 배점: 문제당 30점(초기에는 50점), 2~4문제 출제 == 퍼즐! 그때 그 장면[* 후기에는 '영상 퍼즐'로 제목이 변경되었다.] == * 96회(1995년 9월 4일 방송분)부터 퍼즐! 문학관에서 이름이 바뀌었으며 추억의 영화, KBS에 방송되었던 추억의 프로그램을 감상한 후 빈칸에 들어갈 단어를 맞힌다. * 1997년 하반기에는 삐리리 문제와 영상을 보고 상황을 맞히는 문제를 출제했다. * 정선희가 인기스타를 찾아가는 프로퍼즐도 비슷한 형식. * 배점: 문제당 30점(후기에는 50점), 2~3문제 출제 == 영상 퍼즐, 보이네~(삐리리 퍼즐) == * 각 글자의 힌트 화면을 보고 첫글자를 조합해 단어를 만드는 문제(배점: 30점). == 쌍쌍퍼즐 == * 21, 24조각의 그림판이 배치되며 같은 그림을 찾는 게임이다.[* 78회(1995년 5월 1일 방송분)~98회(1995년 9월 18일 방송분)에는 순간포착으로 모든 그림을 보여줬다.] * 두 팀씩 대결하며 같은 그림을 찾으면 한 번 더 기회를 가진다. * 같은 그림을 찾을 때마다 사자성어 해당 글자의 그림, 글자를 보여준다. * 배점: 같은 그림 1쌍은 10점씩[* 200회 특집(1997년 9월 15일 방송분)은 20점씩 주어졌다.], 사자성어 50~10점으로 10점씩 내려간다. * 특수칸으로 복(福)과 꽝도 하나씩 있다. 복 칸을 열 경우 보너스로 아무 번호 하나를 선택하면 그 그림의 짝이 자동으로 제거된다. 물론 꽝 칸을 열면 자동으로 실패로 처리되어 차례가 넘어간다. 복 칸을 먼저 열고 꽝 칸을 열어도 실패로 처리된다. * 이 게임은 가족오락관 '텔레파시 노래방' 코너에도 차용되었다. == 개미와 베짱이 퍼즐 == * 175회(1997년 3월 24일 방송분)~182회(1997년 5월 12일 방송분)까지 진행된 쌍쌍퍼즐의 응용 버전으로, 10개의 개미 세트와 베짱이 세트에 있는 번호를 선택해서 주제와 관련된 단어를 완성하는 형식이다. * 단어는 두 글자 이상의 단어 9개[* 2글자: 5개, 3글자: 3개, 4글자: 1개]가 둘로 나뉘어 앞부분은 개미 세트에, 뒷부분은 베짱이 세트에 섞여 있다. * 먼저 개미 세트에 있는 번호를 선택한 후 개미 세트에서 선택한 칸이 열리면 베짱이 세트에 있는 번호를 선택한다. * 두 팀씩 대결하며 각 팀당 총 5번의 기회가 주어진다. 성공 시 기회를 계속 이어가며, 실패 시 기회가 넘어간다. * 단어 글자수에 따라 한 문제 당 20~40점이 주어지며, 두 팀이 9개의 단어를 모두 찾았을 경우 두 팀 모두 보너스 50점이 주어진다. * 양쪽 세트에 꽝이 하나씩 섞여 있는데, 175회(1997년 3월 24일 방송분)~177회(1997년 4월 7일 방송분)까지는 개미 세트에서 꽝을 고를 경우 10점이 감점(-10점)되며, 베짱이 세트에서 꽝을 고를 경우에는 20점이 감점(-20점)된다. == 쥐돌이 퍼즐 == * 11회(1993년 12월 27일 방송분)부터 했던 게임으로 '''퍼즐특급열차의 역전 낱말퍼즐과 양대산맥을 이뤘던 최장수 게임이다.'''[* 훗날 같은 방송사에서 방송한 [[여걸 시리즈]]의 잡아라 쥐돌이(쥐를 잡자 찍찍찍)와의 관계는 불명.] * 이 코너에서는 후기(187회-1997년 6월 16일 방송분)부터 237회(마지막회)-1998년 6월 7일 방송분까지 [[터보(그룹)|터보]]의 [[검은 고양이(터보)|검은 고양이]]의 후주를 사용했다.[* 원곡에서는 주영훈이 소리를 냈으나, 여기에서는 여자가 소리를 냈다.][* 172회(1997년 3월 3일 방송분)~186회(1997년 6월 9일 방송분)은 다른 음악을 사용했다.] * 초창기에는 속담 위주로 구성되었다가 후에는 4가지 주제 중 하나를 선택해서 진행한다.[* 선택판의 경우 처음에는 음식 메뉴들로 나왔으나 그 후로 해당 출연자에 대한 라임으로 맞추어 나온다.(예: 용수철, 서류철, 고철, 박철)] * 10칸으로 구성된 문장으로 쥐돌이가 왔다갔다 하다가 '★★~ 야옹!'[* 중간에는 문제를 선택하면 주제와 동물이 함께 나오며 쥐가 아닌 다른 동물이 나오면 그 동물의 울음소리로 외친다.]을 외치면 쥐돌이가 멈춘 자리에 글자가 공개된다. * 고양이 그림이 그려져 있는 함정도 있지만 띄어쓰는 부분을 알 수 있어 도움은 된다.[* 중간에는 행운의 쥐돌이를 잡으면 20점을 살릴 수 있으며 2번의 기회가 더해진다.][* 1993년 송년 특집 - 퍼즐 왕중왕전(1993년 12월 27일 방송분)과 1994년에는 슬러시(/)와 마침표(.) 기호도 나왔는데 슬러시는 중간이 생략된 부분이다.] * 배점: 100점부터 10점까지 10점씩 내려간다. 기회는 총 10번. * 178회(1997년 4월 14일 방송분)~182회(1997년 5월 12일 방송분)까지는 연상 퀴즈 형태로 변경되었다. * 187회(1997년 6월 16일 방송분)~213회(1997년 12월 15일 방송분)까지는 우주선을 타는 쥐돌이 캐릭터로 변경되었다. * 이 게임은 이후 가족오락관 노래방 코너에 잠깐 차용했다.[* 1999년에는 공룡알 깨트리기 버전, 2002년 '월드컵 노래방'에서 차용했다.] * 초창기에는 1→2→3→4등 순서대로 진행하며, 홀수 달 방송분에는 왼쪽부터 오른쪽 방향까지 순서대로, 짝수 달 방송분에는 오른쪽부터 왼쪽 방향까지 순서대로 진행한다.[* 1993년 송년 특집 - 퍼즐 왕중왕전(1993년 12월 27일 방송분)에서는 반시계 방향으로 진행한다.] * [[퍼즐특급열차]] '97 추석 특집 - 200회 특집(1997년 9월 15일 방송분)에서는 민요 가사를 푸는 '쥐돌이 떡방아'라는 이름으로 진행되었으며, 개그맨 [[박준형(코미디언)|박준형]]과 [[박성호(1973)|박성호]]가 돌아다니면서 떡방아로 풍선을 터뜨려서 글자를 공개하는 수동 형식으로 진행되었다. 정답 공개 이후에는 민요단이 노래를 불러준다. * 이 게임에서 기가 막힌 방송사고(?)가 하나 나왔으니... 정답 속담은 "서당개 삼년이면 풍월을 읊는다"였다. 그런데 출연자들이 쥐돌이를 잡아 처음 알아낸 글자는 "년". 사회자(아마도 정재환)는 "년!"을 외쳤고 여기서부터 분위기가 좀 이상해졌다. 그 다음에 쥐돌이가 빠진 글자는 바로 옆의 "이"... 사회자는 "년이!"를 외쳤는데... 문제는 다음에 쥐돌이가 빠진 글자가 바로 "개" 였던 것. 사회자는 도저히 "개년이!"를 외칠 수 없었던 터라 스튜디오는 뒤집어졌다고 한다. 또한 15회(1994년 1월 24일 방송분)에는 김한국&최연제 팀이 마지막 기회에 쥐를 잡지 못하자 얼떨결에 정답을 공개하는 NG가 발생됐다. * 1997년 말부터 1998년 초까지는 모종의 이유로 사라지기도 했다. == 쪽쪽 퍼즐 == * 46회(1994년 8월 29일 방송분)~49회(1994년 9월 26일 방송분)에 했던 게임. * 단어헥사 게임으로 주제와 관계된 단어 10개를 가로, 세로, 대각선으로 연결하는 게임. * 구호는 '왼쪽', '오른쪽', '땡겨!', '뒤집어!'를 외친다. * 제한시간 60초, 배점: 문제당 10점 == 좌우지간 퍼즐 == * 78회(1995년 5월 1일 방송분)~95회(1995년 8월 28일 방송분)에 했던 게임으로, 왼쪽, 오른쪽에 5개의 단어가 하나씩 열리며 가운데에 들어갈 한 글자를 맞힌다.[* 왼쪽은 앞 단어, 오른쪽은 뒤 단어다.] * 배점: 50~10점으로 10점씩 내려감. * 이 형식은 [[우리말 겨루기]]에서 2003~2004년의 한 유형으로 차용되었다. 그리고 가족오락관 1164, 1165회에 빙산의 일각 후반전 문제로 차용되었다.[* 이 때 문제화면은 위, 아래로 단어가 배치되었다.] ==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 * 9마리의 개구리가 서로 다른 표정을 짓는다. * 서로 얼굴을 마주보고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를 3번 외친다. * 다른 표정을 지은 개구리를 찾으면 50점이 주어지며 그렇지 않으면 다른 팀에게 기회가 주어진다.(정답 시 30점, 오답 시 -10점)[* 전기에는 두 번의 기회가 주어졌다.] == 퍼즐! 빙고빙고! == * 1기 형식: 143회(1996년 8월 12일 방송분)~154회(1996년 10월 28일 방송분)에 진행된 게임으로 두 팀씩 대결하며 9칸으로 구성된 빙고판에 숨겨진 단어를 번갈아 얘기한다.(총 기회는 10번, 제한시간 7초) * 단어의 난도에 따라 배점이 달라진다. * 배점 칸 수: 10점(6칸), 30점, -10점, -30점 각각 한 칸[* 148회부터는 -10점이 두 칸으로 변경됐다.] * 빙고에 성공한 팀에겐 보너스 50점이 주어진다. * 이 게임의 BGM은 The Grid의 Texas Cowboys. [[https://www.youtube.com/watch?v=TmFLzBp_laQ|듣기]] 시선집중 퍼즐의 2차 형식에도 사용되었다. * 2기 형식: 222회(1998년 2월 22일 방송분)~237회-마지막회(1998년 6월 7일 방송분)에 진행된 게임으로 네 팀이 동시에 대결하며 릴레이식으로 특정 글자로 끝나는 단어를 하나씩 얘기한다.[* 시작 전에 그림 힌트를 순간포착으로 보여준다.](배점: 단어당 10점, 빙고 한 줄당 30점씩) == 속닥속닥 퍼즐 == * 102회(1995년 10월 16일 방송분)~112회(1995년 12월 25일 방송분)에 했던 게임. 아역배우 출신 윤동원[* [[젊은이의 양지]]의 남태풍 역으로 유명한 사람으로, 이후 강호동이 사업하는 고깃집에 점장으로 활동 중.]이 리포터로 출연했으며 길거리에 있는 시민을 찾아가 속담을 전달하며 뒤로 갈수록 이상하게 변한다. * 처음에 전달한 속담이 무엇인지 맞히며 뒤로 갈수록 속담이 온전하게 변한다. * 배점: 100점부터 10점까지 10점씩 내려간다. == 카멜레온의 그림자 == * 102회(1995년 10월 16일 방송분)~103회(1995년 10월 23일 방송분)에 했던 게임. 카멜레온이 이리저리 움직이면서 그림이 나타난다. * 보여지는 그림이 무엇인지 맞힌다. * 배점: 50~10점으로 10점씩 내려감. * 이 게임은 가족오락관 '쥐돌이 노래방' 코너에도 차용되었고, 브레인 서바이버의 '밤손님 용만이' 문제에도 차용되었다. == 조각 그림 퍼즐(몸풀기 퍼즐) == * 4회(1993년 11월 8일 방송분)~45회(1994년 8월 22일 방송분)에 했던 게임. 8조각[* 1994 추석 특집 퍼즐 왕중왕전(1994년 9월 19일 방송분)은 9조각으로 반복되는 애니메이션 그림으로 보여줬다.]으로 이루어진 그림을 한 팀씩 시계 방향으로 돌아가면서 두 조각씩 교체한다.[* 1993년 송년 특집 - 퍼즐 왕중왕전(1993년 12월 27일 방송분)에서는 8조각으로 이루어진 그림을 한 팀씩 반시계 방향으로 돌아가면서 두 조각씩 교체한다.] * 그림을 정확히 맞출 때마다 10점씩 추가되며, 완성한 팀에게 30점이 주어진다. * 이 게임은 이후 [[브레인 서바이버]]에 차용했다. == 폭탄 퍼즐 == * 초성으로 이루어진 단어를 맞히는 퀴즈 (총 5문제) * 배점: 문제 당 10점씩, 한 문제라도 맞히지 못하면 거대한 풍선 폭탄이 터진다. --만점을 했을 때도 축하의 의미로 풍선이 터진다.-- == 긴급 복구 퍼즐 == * 꼴찌들에게 주는 게임으로 파이프가 빙글빙글 돌아갈 때 구호를 외치면 지정된 파이프가 연결된다. * 본인 팀의 이름이 적힌 곳에 걸리면 50점 획득, 다른 팀이 걸리면 당첨된 팀에게 30점이 부여된다. == 퍼즐! 스트라이크 == * 98회(1995년 9월 18일 방송분)~119회(1996년 2월 26일 방송분)까지 진행된 우리가 흔히 아는 [[숫자야구]] 게임. * 배점: 100점부터 30점까지 10점씩 내려가며 한 팀이 맞힐 때까지 진행된다. == 퍼즐! 손들어! == * 99회(1995.09.25 방송분)~101회(1995.10.09 방송분)까지 맨 처음에 진행한 퍼즐이자 시청자 아이디어로 탄생한 퍼즐. * 문제를 풀기 전에 각자 서로 다른 그림판을 지급한다. * 3가지의 그림을 보고 연상되는 단어를 맞힌다. * 모르면 도우미의 그림 힌트를 보여주고, 만약에 도전했다 실패하면 실패한 팀이 가지고 있는 그림을 보여준다. * 배점: 100점부터 10점까지 10점씩 내려감 == 앞말잇기 퍼즐 == * 120회(1996년 3월 4일 방송분)~174회(1997년 3월 17일 방송분)에 했던 게임. 우리가 흔히 아는 [[앞말잇기]] 게임. * 개인전으로 진행되며, 서바이벌 형식으로 진행. * '○○○의 ○를 맨끝으로 보내면 → ○○~ ○○의 ○를 맨끝으로 보내면'하면서 노래를 하면서 잇는다. * 인명이나 중복 단어는 사용할 수 없다. * 자리 배치는 1 → 2 → 3 → 4 → 1 → 2 → 3 → 4로 구성된다. * 배점: 1등 50점, 2등 30점, 3등 20점, 4등 10점. 만약 1, 2등이 같은 팀원일 경우 최대 80점까지 획득할 수 있다.[* 158회(1996년 11월 25일 방송분)에선 1등 50점, 2등 35점, 3등 25점, 4등 15점. 만약 1, 2등이 같은 팀원일 경우 최대 85점까지 획득할 수 있고, 159회(1996년 12월 2일 방송분)에선 1등 45점, 2등 35점, 3등 25점, 4등 15점. 만약 1, 2등이 같은 팀원일 경우 최대 80점까지 획득할 수 있으므로 주어졌다.] * 172회(1997년 3월 3일 방송분)~174회(1997년 3월 17일 방송분)까지는 8~2등에게는 10~70점까지 주어지며, 1등에게는 100점이 주어진다. 만약 1, 2등이 같은 팀원일 경우 최대 170점까지 획득할 수 있다. * 그 뒤 [[스타골든벨]]에서 '맨끝으로 보내면'이라는 게임에서 이 형식을 차용하였다. == 사다리 퍼즐 == * 164회(1997년 1월 6일 방송분)~177회(1997년 4월 7일 방송분)까지 진행된 기본 점수를 획득하는 몸풀기 게임으로 60~120점의 점수가 적혀있는 자리를 찾는다. * 그 자리에 멈춘 해당 점수가 기본 점수로 된다. == 빵빵 퍼즐 == * [* 빵을 먹으면서 푸는 퍼즐(정재환 曰), 빵집에서 인기가 많은 퍼즐(박미선 曰)이다!] * 124회(1996년 4월 1일 방송분)~193회(1997년 7월 28일 방송분)에 했던 게임으로 빵으로 가려져 있는 4개 주제 중 하나를 선택한다. * 빵으로 가려진 주제와 관련된 10개의 단어를 50초[* 172회(1997년 3월 3일 방송분)~174회(1997년 3월 17일 방송분)까지는 30초, 175회(1997년 3월 24일 방송분)~193회(1997년 7월 28일 방송분)까지는 40초.] 안에 맞힌다. * 배점: 문제당 10점, 통과 두 번 가능 * 172회(1997년 3월 3일 방송분)~174회(1997년 3월 17일 방송분)에선 풀지 못한 문제의 경우 나머지 3팀에게 기회가 주어지며, 맞힌 팀에게 10점이 부여된다. * 예: 주제 - [[학교|○교]] / 문제: [[지우개|○우○]] == 가나다라 퍼즐 == * 1996년 신년특집('96 전격 퍼즐쇼, 1996년 1월 1일 방송분)과 113회(1996년 1월 8일 방송분)~123회(1996년 3월 25일 방송분)까지 진행된 게임으로 화살표가 무작위로 돌다가 지목당한 팀은 제한시간 7초 동안 주제에 맞는 초성으로 시작하는 단어를 여러개 댄다. * 팀당 기회는 4번씩(초기 6번) 주어진다. * 배점: 문제당 10점 == 앙케트 베스트 5 == * 162회(1996년 12윌 23일 방송분)~163회(1996년 12월 30일 방송분)에 했던 게임으로 어떤 설문조사의 내용을 보고 특정 순위 내용을 맞히는 게임. * 배점: 문제당 30점 == 잉꼬 퍼즐 == * 96 전격퍼즐쇼(1996년 1월 1일 방송분)에서 했던 형식으로, 1위로 뽑힌 잉꼬 부부가 각각 방음실에 들어가서 MC가 하는 질문에 둘 다 같은 대답을 할 때마다 10점씩 주어진다. == 왕눈이 퍼즐 == * 164회(1997년 1월 6일 방송분)~193회(1997년 7월 28일 방송분)까지 진행된 게임으로 두 팀씩 대결하며, 빙글빙글 돌아가는 4글자 단어를 맞히는 게임. * 정답 단어는 4개가 있으며, 낚시용으로 폭탄 단어 2개가 섞여 있다.[* 폭탄 단어는 원래 단어를 약간 변형한 단어다.][* 예: 음주운전 → 음주운'''반''', 청개구리 → 청개'''나'''리, 용호상박 → 용호'''구'''박, 용호'''외'''박 등.] * 배점: 50, 30, 20, 10점 순으로 내려가며, 점수가 내려갈수록 속도가 느려진다. == 딩동딩동 퍼즐 == * 영상에 나오는 출연진들이 들려주는 힌트를 듣고 답을 맞히는 퀴즈. * 배점: 50~10점[* 초기에는 100점에서 시작되었다.] == 퍼즐! 쏘세요! == * 오른쪽에 두 개의 숫자를 더한 후 추가로 숫자를 더하거나 빼서 0, 10, 20, 30을 만드는 게임. 만든 숫자에 따라 점수가 다르다. * 파란 풍선은 더하기, 빨간색 풍선은 빼기. == 눈치코치 노래방 == * 엉뚱한 노래가 흘러나오는 영상 속에 힌트가 되는 댄스와 뮤직비디오 그리고 밑에 조금씩 보이는 글자와 단어를 보고 무슨 노래인지 맞힌다. == 복조리 퍼즐 == * 219회(1998 설날특집-1998년 1월 26일 방송분)에만 했던 게임으로 복조리 속에 단어가 들어있다. 단어를 조합해 속담을 맞히는 게임. == 이구동성 노래방 == * 219회(1998 설날특집-1998년 1월 26일 방송분)에만 했던 게임으로 4명의 합창단이 부르는 노래를 듣고 누가 어떤 노래를 불렀는지 맞히는 게임. == 열려라 뚝딱 == * 178회(1997년 4월 14일 방송분)~193회(1997년 7월 28일 방송분)에 했던 오프닝 게임으로 기본 점수 80~120점이 부여되며 도깨비 캐릭터가 등장한다. * 전반부에는 자리에서 파란불, 빨간불을 선택한 다음 보물상자에 나타난 점수를 받는다. * 후반부에는 양자택일 맞춤법 문제로 최대 4문제까지 풀 수 있으며 팀원이 번갈아가면서 푼다. 만약 도중 오답을 고르면 문제 풀이가 종료된다.(배점: 10점, 최고 150점)[* 183회(1997년 5월 19일 방송분)~186회(1997년 6월 9일 방송분)까지는 2문제가 주어지며 맞힌 문제만큼 20점씩 추가로 부여된다.] * 후기에는 도전! 600, 3종 퍼즐 2단계 형식으로 적용된 게임 방식으로 사용되었다. == 쏙쏙 퍼즐 == * 두 단어 사이에 공통적으로 들어갈 단어를 맞힌다(예: 모래( )탑 - 시계) * 총 10문제, 배점: 30점[* 자, 축, 인, 묘, 진, 사, 오, 미, 신, 유, 술, 해-12간지 문제판에 놓여진다.] * 첫 문제를 맞힌 팀부터 문제 선택의 기회가 주어지며, 꽝을 고르거나 맞히지 못할 시 옷깃차례 식으로 기회가 넘어간다.[* 만약 아무도 못 맞힐 경우에는 MC가 문제를 선택한다.] * 각 팀 당 한 번씩 찬스를 쓸 수 있으며, 성공시 60점이 주어진다.[* 이 형식은 [[우리말 겨루기/2003~2004년 진행 방식]]인 낱말 다리 놓기의 유형과 비슷하다.] == 눈치코치퍼즐 == * 1996 신년특집(1996년 1월 1일 방송분)~161회(1996년 12월 16일 방송분)까지 했던 게임으로 커다란 십자말풀이판 가운데 여러 개의 빈칸이 있으며 번호에 해당하는 공통적인 글자의 번호를 부르고 글자를 얘기한다. * 96 전격퍼즐쇼(1996년 1월 1일 방송분)에서는 버저 형식으로 진행했다. * 총 11문제 출제.[* 제한시간 40초 (초기 규칙)→50초] * 배점: 문제당 10점[* 만점 시 150점 (초기 규칙)→만점 시 110점.] == 커트라인 퍼즐(앙케이트 퍼즐) == * 96회(1995년 9월 4일 방송분)~112회(1995년 12월 25일 방송분)에 했던 앙케이트 게임으로 96회(1995년 9월 4일 방송분)~98회(1995년 9월 18일 방송분)에는 팀별로 도전하는 방식이었으며, 99회(1995년 9월 25일 방송분)~112회(1995년 12월 25일 방송분)에는 최하위 팀을 위한 특별 게임으로 진행되었다.[* 최하위팀이 동률일 경우 동시에 도전한다.] * 제한시간 40초 안에 10개의 내용 중 8개 이상 맞히면 최하위 팀에게 점수가 부여된다. * 8개 미만일 경우 나머지 세 팀에게 각각 제한시간 10초 동안 얘기해 정답 합계가 8개를 넘으면 즉시 종료되면서 맞힌 개수만큼 점수가 주어지며 그렇지 못하면 최하위 팀이 맞혔던 개수만큼 점수 획득. * 배점: 문제당 10점 == 팡팡 퍼즐 == * [[표영호]]가 내는 영상 문제. * 디스코팡팡 위에 탑승한 시민 20명이 앉다가 중간에 떨어진 시민이 말한 글자를 조합해 어떤 문장인지 맞힌다. * 배점: 문제당 50점 == 우리끼리 퍼즐 == * 끝말잇기 스피드 퀴즈 형식으로, 본인 팀원이 맞히면 10점, 나머지 팀이 맞히면 20점 부여. == 퍼즐 독안의 수[* 이후 퍼즐 수리수리 100으로 부활했다.] == * 업&다운 게임의 변형으로, 각 팀이 돌아가면서 1~99 중 하나를 제시하면 독안의 수가 그 숫자보다 높은지 낮은지를 듣고 해당 숫자를 알아맞히는 게임이다. * 전반부에는 100점으로 시작해서 숫자를 제시할 때마다 10점씩 점수가 깎이는 방식. * 중반부부터 여러 유형으로 진행되었다. 유형 I: 각 팀 별로 5, 15, 25, 35점을 걸 수 있으며 맞힌 팀에게는 건 만큼의 점수(2배)만큼 가산, 나머지는 건 만큼 감점된다.[* 이 제도는 이후 장학퀴즈 '미다스의 손' 코너에도 도입됐다.] 유형 II: 반대로 숫자를 맞히면 안 되는 방식도 있었으며 맞힌 팀에게는 건 만큼 감점, 나머지 팀은 건 만큼 가산된다.[* 이 유형에선 시청자에게 미리 답을 공개하는 경우가 있었다.] 유형 III: 점수 걸지 않고 맞히면 50점 가산된다. * 제목은 같은 한자 음인 水(물 수)와 數(셈 수)를 이용한 언어유희로 보인다. == 도전! 600, 3종 퍼즐 == * 총 600점까지 얻을 수 있는 3종 게임으로, 한 게임마다 최대 200점이 주어진다. * 1단계: 황소개구리 팡팡 - 2인 동시에 맞출 때 10점, 2번 연속 맞추면 보너스 10점이 주어진 게임 형식이다. * 2단계: 열려라 뚝딱 - 1인이 1문제 맞힐 때 20점, 팀 당 5문제 출제. * 3단계: 마법의 수 - 해당 숫자 빈칸에 사칙연산 기호를 이용해서 정해진 숫자가 되도록 식을 완성하는 게임. ( )도 한 번 사용 가능하다.[* 만점 200점, 오차 1당 20점 감점, 오차 10 이상이면 0점. 이후 이 게임은 가족오락관에 '산수야 놀자'로 차용되었다.] == 어중간 퍼즐 == * 말과 말 사이에 있는 단어를 사전 순서에 의해 찾아낸 퍼즐 형식으로, 두 팀이 대결을 펼친다. * 정답 후보군에는 10개가 들어있으며, 팀당 기회는 6번. * 배점: 정답 후보군 단어를 맞히면 20점, 범위 바깥의 단어를 맞히면 10점, 정답 단어를 맞히면 50점. == 블랙박스 퍼즐 == * 블랙박스 안에 있는 7개의 그림을 네 창 모두 같은 모양으로 맞추는 형식이다.[* 암호 퍼즐의 비밀을 질서정연하게 같은 모양으로 정리를 한 방식이다.] * 퍼, 즐, 특, 급 중 하나를 '올려', '내려'로 얘기해서 바꾸며, 한 창에는 4개의 그림이 있다. * 후반기에는 4글자로 구성된 단어를 맞히는 형식으로 변경되었으며, 단어를 완성하지 못해도 언제든지 단어를 맞히면 성공.[* 25초가 지나면 정답 글자 중 한 글자가 녹색으로 변한다.] * 제한 시간 안에 빨리 맞춘 팀 순으로 100점, 70점, 50점, 30점[* 공동 2위가 3팀일 때는 해당 팀들에게 각각 50점씩 부여된다.][* 200회 특집은 5팀으로 100점, 80점, 60점, 40점, 20점]을 차등 지급한다.(제한시간 50초) == 시한폭탄 퍼즐 == * 96 전격퍼즐쇼(1996년 1월 1일 방송분)에서 했던 형식으로, 연관 단어와 그림을 보고 맞히는 연상 퀴즈 형식. * 60점부터 시작해서 10점씩 낮아지며, 맞히지 못하면 폭탄이 터진다. == 팔도 윷놀이 퍼즐 == * [[퍼즐특급열차]] 200회 특집(1997년 9월 15일 방송분)에서 진행되었으며, 윷에 숨어있는 4글자의 단어를 맞히는 퍼즐 형식으로 오각윷놀이로 판을 놓는 방식.(예: [[천고마비|?고마?]]) * 가려진 글자만큼 전진할 수 있으며, 두번 잡히면 탈락. * 출발한 지명에 가장 먼저 도착한 팀 순서대로 100점, 80점, 60점, 40점, 20점이 주어진다. == 도전, 200회 특집! 조각 퍼즐! == * 퍼즐 매니아들이 참여하는 코너로 시청자 퀴즈를 통해 선발된 10명의 도전자들이 모여서 가장 빠른 시간 안에 그림을 완성하는 사람에게 행운이 주어진 진행 형식. * 뽑힌 4명은 연예인 팀과 같이 참여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 == 추억속의 퍼즐 == * [[퍼즐특급열차]] '97 추석특집-200회 특집(1997년 9월 15일 방송분)으로 예전 추억의 4가지 퍼즐 게임을 선택해서 진행한다.[* 선택판의 경우, 해당 출연자에 대한 형식으로 맞추어 나온다.][* 예: 진 - 폭탄 퍼즐, 수 - 빵빵 퍼즐, 성 - 퍼즐! 구사일생!, 찬 - 쌍쌍 퍼즐.] == 춤추며 이름대기 == * 탤런트 김여랑 & [[김성희(1968)|김성희]]가 진행. * ~( )로 끝나는 말의 이름을 대고, 춤을 추는 형식. * 2인 1조로 동시에 단어를 외쳐야 하며, 일치하지 않으면 탈락. * 배경음악은 Dj.Doc와 춤을이다. == 퍼즐, 다음 빈칸을 채우시오 == == 퍼즐, 힘내라 꼴찌야~ == * 210회(1997년 11월 24일 방송분)~221회(1998년 2월 9일 방송분)에 했던 게임으로, 제한시간 20초 내에 주제와 관련된 단어를 찾는 퍼즐 형식이며, 규칙대로 4등→3등→2등→1등의 순서로 진행되며, 힌트있는 단어를 맞추면 10점, 힌트없는 단어를 맞추면 20점이 주어진다. * 4팀 기회가 끝나면 모두에게 기회를 드리며, 부저를 누르고 맞힐 시 30점씩 추가된다. == 퍼즐~ 지뢰를 찾아라 == * 207회(1997년 11월 3일 방송분)~213회(1997년 12월 15일 방송분)에 했던 게임으로 [[지뢰찾기]] 게임과 비슷한 형식. 25칸의 지뢰밭 중 5개의 지뢰가 숨어있다. 그 중 3칸은 지뢰가 아닌 자리로 표시되어 있으며, 동서남북 움직인 방향을 가리켜 이동한다. * 5개의 지뢰 중 3개의 지뢰를 먼저 찾아내는 팀이 승리한다. * 토너먼트 대결로 공동 3위는 50점, 2위는 70점, 1위는 100점이 주어진다. == 월드컵 퍼즐 == * 214회(1997년 12월 22일 방송분)~221회(1998년 2월 9일 방송분)까지 했던 게임으로 퍼즐~ 지뢰를 찾아라의 업그레이드 버전 게임. * [[지뢰찾기]]의 원리를 이용하면서 동작을 사용하는 퍼즐이다. * 20칸의 빈칸 중 세로줄 한 줄 당 1개씩, 5개의 축구공이 숨어있다. * 10초 안에 이름을 부르고 축구공을 찾아내면 갈 수 있지만 못찾으면 상대로 넘어간다. * 5개의 공을 먼저 찾을 경우 슈팅 찬스가 주어진다. * 슈팅찬스: 5개 찾은 사람이 공격, 상대팀이 수비가 된다. [[참참참]]과 비슷한 방식으로, 공격팀은 머리를 왼쪽이나 오른쪽 중 한 방향을 골라 움직이고, 수비팀은 공격팀이 머리를 움직일 방향을 예측하고 공격팀이 머리를 움직이는 것과 동시에 막을 방향으로 손을 움직인다. 머리와 손이 움직이는 방향이 다르면 골, 같은 방향이면 노 골. * 배점: 공 찾으면 10점, 골인하면 50점. 노 골의 경우 수비팀에게 20점. * 골인하면 그대로 경기 종료, 노 골의 경우 기회가 상대에게 넘어가며, 상대가 기회를 놓쳐 다시 기회가 오면 공이 뒤로 한 칸씩 밀리고 5번째 공을 다시 찾아야 한다. (단, 점수는 유지된다.) == 퍼즐 수리수리100 == * 퍼즐 독안의 수와 같은 코너며, 차이점은 숫자를 중간에 공개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 유형 첫 번째 문제~두 번째 문제: 문제를 맞히는 팀이 감점되며, 나머지 팀은 득점한다.[* 정답숫자를 말하면 숫자가 나오면서 요술램프가 불타는 애니메이션이 나온다.] 세 번째 문제: 문제를 맞히는 팀이 건 점수의 2배를 획득하며, 나머지 팀은 건 점수만큼 감점된다.[* 정답숫자를 말하면 숫자가 나오며 금은보화가 나오는 애니메이션이 나온다.] == 게임퍼즐! 할 수 있다! == * 어떤 과제를 듣고 할 수 있다, 없다를 판단하는 게임. * 맞힌 사람당 50점씩. * 할 수 없다를 선택한 사람들은 할 수 있다를 선택한 사람 중에서 한 사람을 지목한다. == 역전! 낱말퍼즐! == * '''퍼즐특급열차의 쥐돌이 퍼즐과 양대산맥을 이뤘던 BEST 게임이다.'''[* 역대 게임 중 유일하게 모든 방송분에서 나온 게임이다.] * 제한시간 60초[* 172회(1997년 3월 3일 방송분)~194회(1997년 8월 4일 방송분)까지는 제한시간 50초.][* 1996년 신년 특집('96 전격 퍼즐쇼), 1997년 추석 & 200회 특집 - 제한시간 70초.], 총 10문제(힌트 없음 2문제)[* 힌트 없음 문제는 대부분 두 글자 단어로 나오며, 간혹 세 글자 단어도 나온다.][* 첫 번째 힌트 없음은 4~6번째 문제에서, 두 번째 힌트 없음은 9~10번째 문제에서 나온다.][* 극초기에는 첫 번째 힌트 없음이 2, 3번째 문제에서, 두 번째 힌트 없음이 7, 8번째 문제에도 나왔다.] * 배점: 한 문제 당 10점씩, 만점 시 200점.[* 1993년 송년 특집 왕중왕전(1993년 12월 27일 방송분), 1994년 추석 특집 퍼즐왕전(1994년 9월 19일 방송분)에서는 두 배의 점수(한 문제 당 20점씩, 만점 시 400점)가 주어졌다.][* 1996년 신년 특집 - '96 전격 퍼즐쇼(1996년 1월 1일 방송분)에서는 만점 시 300점.][* 1996년 성탄 특집(1996년 12월 23일 방송분)에서는 점수를 깎는 형태로 진행되었으며 1등→2등→3등→4등 순서대로 진행했다.] * 4회(1993년 11월 8일 방송분)~138회(1996년 7월 8일 방송분)까지 2등→3등→4등→1등으로 진행되며, 139회(1996년 7월 15일 방송분)~237회-마지막회(1998년 6월 7일 방송분)는 4등→3등→2등→1등 순으로 변경됐다.[* 1회(1993년 10월 18일 방송분)는 오른쪽부터 왼쪽 방향까지 순서대로, 2회(1993년 10월 25일 방송분), 3회(1993년 11월 1일 방송분)는 1등→2등→3등→4등으로 진행되며, 공동 순위가 있을 경우에는 도전 의사를 밝힌 팀에게 먼저 기회가 주어진다.][* 4회(1993년 11월 8일 방송분)~138회(1996년 7월 8일 방송분)까지는 공동 1등이 2팀일 때 3등 팀에게 먼저 기회가 주어졌다.][* 1993년 송년 특집(1993년 12월 27일 방송분)과 1994년 추석 특집(1994년 9월 19일 방송분)과 1997년 추석 특집 & 200회 특집(1997년 9월 15일 방송분)은 5팀으로 구성되어 1993년 송년 특집(1993년 12월 27일 방송분)과 1994년 추석 특집(1994년 9월 19일 방송분)은 3등→4등→5등→2등→1등으로, 1997년 추석 특집 & 200회 특집(1997년 9월 15일 방송분)은 5등→4등→3등→2등→1등으로 진행된다.] * 제시어는 네 글자 단어(혹은 두 글자 단어 2개)나 문장이 나온다.[* 4회(1993년 11월 8일 방송분)까지는 임의로 정해진 글자가 나왔다.][* 10회(1993년 12월 20일 방송분)는 문제 선택 화면이 한자로 나왔다.] * 1회(첫 방송 - 1993년 10월 18일 방송분)~45회(1994년 8월 22일 방송분)까지는 힌트 없음 문제를 맞히지 못할 경우 바로 정답을 공개한다.[* 간혹 이후 정답이 생략된 적도 있다. 25회(1994년 4월 4일 방송분)에서 지석진 & 김수진 팀은 이미 우승이 확정된 상태에서 풀었는데 정답을 공개해도 의미가 없는 상황이라 마지막 두 문제의 정답이 공개되지 않았다.] * 46회(1994년 8월 29일 방송분)~171회(1997년 2월 24일 방송분)까지는 힌트 없음 문제를 맞히지 못할 경우 모든 팀에게 기회가 주어지며, 정답 여부에 따라 30점이 가감된다.[* 간혹 이후 바로 정답을 공개하며, 정답이 생략된 적도 있다.][* 1994년 추석 특집 - 퍼즐 왕중왕전(1994년 9월 19일 방송분)과 1996년 신년 특집 - '96 전격 퍼즐쇼(1996년 1월 1일 방송분)에서는 힌트 없음 문제를 맞히지 못할 경우 모든 팀에게 기회가 주어지며, 정답 여부에 따라 50점이 가감된다.] * 172회(1997년 3월 3일 방송분)~237회-마지막회(1998년 6월 7일 방송분)까지는 힌트 없음 문제를 맞히지 못할 경우 모든 팀에게 기회가 주어지며, 정답 여부에 따라 10점 감점으로 바뀌었으며, 힌트 없음 문제를 맞힌 팀이 나머지 세 팀 중 한 팀을 골라 50점을 가져오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간혹 이후 바로 정답을 공개하며, 정답이 생략된 적도 있다.][* 우승이 확정되어 점수를 가져오는 게 의미가 없을 때는 가져오지 않고 그대로 유지한 적도 드물게 있었다.] * 1996년 신년 특집('96 전격 퍼즐쇼)(1996년 1윌 1일 방송분), 1997년 추석 & 200회 특집(1997년 9윌 15일 방송분)에선 총 12문제(힌트 없음 3문제)가 주어졌으며, 200회 특집의 마지막 힌트 없음은 막판 뒤집기 방식인 "행운의 박타기"에서 푼다. 박 선택권은 점수가 높은 팀부터 선택하며, 문제 풀이는 점수가 낮은 팀부터 한다. 해당 팀의 남은 제한 시간 안에 답을 맞히면 200점이 주어진다.[* 터진 박에서 글자가 나온 다음, 정답이 공개된다.] * 캐릭터 변천사도 있으며 1대는 역무원(1회(첫회)-1993년 10월 18일 방송분~116회-1996년 1월 29일 방송분), 2대는 쥐돌이(117회-1996년 2월 5일 방송분~237회-마지막회-1998년 6월 7일 방송분)가 있는데 쥐돌이가 나오는 역전! 낱말퍼즐에서는 쥐돌이 대사 자막이 나왔다.[* 극초기에는 문제를 다 풀었을 때 소요 시간과 함께 '우하하 성공이다', '야! 우린 해냈다!'라는 대사 자막이 나왔다.][* 역무원은 1회(첫회)-(1993년 10월 18일 방송분)~73회(1995년 3월 27일 방송분)까지 파란색 의상으로 나왔다가 74회(1995년 4월 3일 방송분)부터 116회(1996년 1월 29일 방송분)까지 초록색 의상으로 나왔다.][* 178회(1997년 4월 14일 방송분)~182회(1997년 5월 12일 방송분)까지는 쥐돌이가 문제 선택 화면에만 나왔다.] * 문제 선택할 때 - '''골라''' * 문제 풀 때 - '''뭘까''' * 문제 모두 풀 때 - '''얏호''' * 문제 다 못 풀 때 - '''메롱''' * 타이머는 1회-첫회(1993년 10월 18일 방송분)~151회(1996년 10월 7일 방송분)까지는 게이지 형태로, 152회(1996년 10월 14일 방송분)~202회(1997년 9월 29일 방송분)까지는 풍선을 부는 소년이, 203회(1997년 10월 6일 방송분)~237회-마지막회(1998년 6월 7일 방송분)까지는 달려가는 쥐돌이가 나왔다.[* 풍선을 부는 소년이 나올 때는 문제판을 뒤집는 연출이 나왔다.][* 178회(1997년 4월 14일 방송분)~182회(1997년 5월 12일 방송분)까지는 병아리 캐릭터의 게이지 형태로 잠시 돌아갔다.][* 차이점이라면 151회(1996년 10월 7일 방송분)까지 적용된 게이지는 15초마다 큰 눈금이 표시되었지만, 178회(1997년 4월 14일 방송분)~182회(1997년 5월 12일 방송분)까지 적용된 게이지는 눈금이 2초마다 한 칸씩 채워졌다.][* 203회(1997년 10월 6일 방송분)~237회-마지막회(1998년 6월 7일 방송분)까지 달려가는 쥐돌이가 나올 때는 위와 아래에서 미닫이문처럼 여는 연출이 나왔다.] * 187회(1997년 6월 16일 방송분)~237회-마지막회(1998년 6월 7일 방송분)까지 첫 번째 힌트 없음 문제는 맞히면 50점이 주어지며, 통과할 수 있다.[* 1997년 추석 & 200회 특집(1997년 9월 15일 방송분)에서는 첫 번째, 두 번째 힌트 없음 문제 하나에 30점씩 주어졌다.] * 15회(1994년 1월 24일 방송분)에서 김한국이 다른 팀(김승환 & 조문정, 철이와 미애)의 힌트없음 문제의 답을 알려줬는데 두 문제 모두 맞힌 사고를 저질렀다. == 폭탄, 낱말퍼즐! == * '''[[퍼즐특급열차]] 역전! 낱말퍼즐''' 응용 버전의 형식 게임. * 제한시간 안에 낱말을 모두 맞혀야 하는 방식이다. 그렇지 않으면, 거대한 폭탄이 터진다. == 특별 규칙 == * 151회(1996년 10월 7일 방송분)에는 본 게임 전 외래어, 외국어 사용 시 1점씩 감점된다. * 162회(1996년 12윌 23일 방송분)에는 게임을 제대로 참여하지 못했을 경우 50점의 보너스 점수를 획득했다. * 163회(1996년 12월 30일 방송분)에는 각 팀당 1회의 찬스를 드리며 어떤 게임에 최고 득점 혹은 부저 게임에서 문제를 먼저 맞힌 한 팀에게 50점의 보너스 점수를 드리며, 실패한 팀은 50점이 감점된다.(단, 앞말잇기 퍼즐, 역전 낱말 퍼즐은 제외) [[분류:퍼즐특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