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c0,#070><-2> '''{{{+1 팽나무}}}(둥근잎팽나무)[* 포구나무(남부 방언)][br]East asian hackberry'''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450px-Celtis_sinensis.jpg|width=100%]]}}} || ||<#abf200,#456105> '''학명''' || ''' ''Celtis sinensis'' '''[br]Pers., 1805 || ||<-2><#dbff12,#5b6b01>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s-3.2|{{{#000,#fff '''계'''}}}]] ||[[식물|식물계]] || || [[생물 분류 단계#s-3.3|{{{#000,#fff '''문'''}}}]] ||피자식물문(Magnoliophyta)|| || [[생물 분류 단계#s-3.4|{{{#000,#fff '''강'''}}}]] ||목련강(Magnoliopsida) || || [[생물 분류 단계#s-3.5|{{{#000,#fff '''목'''}}}]] ||쐐기풀목(Urticales) || || [[생물 분류 단계#s-3.6|{{{#000,#fff '''과'''}}}]] ||팽나무과(Celtidaceae) || || [[생물 분류 단계#s-3.7|{{{#000,#fff '''속'''}}}]] ||팽나무속(Celtis) || || [[생물 분류 단계#s-3.8|{{{#000,#fff '''종'''}}}]] ||팽나무(sinensis) || [목차] [clearfix] == 개요 == 쐐기풀목 팽나무과[*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 분류 기준이며, 느릅나무과(Ulmaceae)로 분류하기도 한다.]의 나무. 이름에 대해서는 이삭이 패다, 꽃이 피다 라는 데서 왔다고 하며 다산과 풍요를 비는 신목의 기능을 했던 데 주목한 어원설도 있고[[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430752&cid=46694&categoryId=46694|출처]], 여름에 팽나무 열매를 대나무 꼬챙이에 꽂아 탁 치면 아래쪽의 팽나무 열매가 날아가는데,[* 이것을 [[팽총]]이라고 한다.] 이때 날아가는 소리가 팽이라고 나서 팽나무라고 불리게 되었다는 민간어원설도 있다. [[팽이버섯]]이 팽나무에서 주로 난다고 해서 팽나무버섯이라고도 불리지만, 실제로는 참나무나 뽕나무 그루터기에서도 잘 자란다. [[풍게나무]]와 비슷하게 생겼으나 열매를 보면 구분하기 쉽다. 풍게나무 열매는 익으면 검은색을 띄고, 팽나무 열매는 황색이다. 목재는 가볍고 단단하며 잘 갈라지지 않아서 가구나 목조 가옥을 만들 때 사용한다. 잔가지와 나무껍질은 한의학에서 박유지(朴楡枝) 또는 박수피(朴樹皮)로 부르는 약재로 사용한다. == 기타 == [[부산광역시]] [[북구(부산)|북구]] [[구포동(부산)|구포동]]에는 500여 년 가까이 마을의 당산나무로 여겨졌던 고령의 팽나무가 있다. 이 나무는 [[1982년]]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천연기념물]] 제309호로 지정되었으나 현재는 주변 개발과 생활하수 침투 등으로 뿌리가 썩다가 2017년에 결국 고사했다.[* 다만 천연기념물은 유지했는데, 지정 당시에는 '팽나무'가 중심이었지만, 이후에는 주변 당숲으로 확대 지정했다.] 그래도 매년 정월대보름이면 마을 주민들이 모여 꾸준히 제사를 지내고 있다고는 하지만, 천연기념물이 바로 옆에 있는 줄 모르는 사람들이 더 많아 안타깝다. 이 팽나무의 종자목 3그루 중 가장 좋은 상태인 하나를 골라 후계자로 키울 생각이라고 한다. [[경상북도]] [[예천군]] 용궁면 금남리에는 천연기념물 제400호에 등재된 황목근이라는 팽나무가 있는데, 국내에서 가장 많은 토지를 소유한 나무라고 한다. 지방세를 전혀 체납하지 않은 모범납세목(...)이라고... 예천군에는 이외에도 '석송령'이라는 이름의 납세하는 [[소나무]]가 있다.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의 중원로터리에 나이가 1200살 전후인 것으로 추정되는 팽나무가 있었으나, 1950년대 중반에 수명을 다하고 고사했다. 당시 크기는 수관직경 약 30m, 높이 15m에 달했으며 한국 기록사상 최고령의 팽나무였다. 현존하는 최고령목은 [[제주시]] [[애월읍]]에 있는 900년이 넘는 나이의 팽나무이다.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대산면(창원)|대산면]] 북부리 동부마을에 있는 팽나무는 [[ENA]] 드라마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에 등장하면서 유명해졌다. 500살로 추정되는 이 나무는 극중에서 가상의 지명인 소덕동 팽나무로 불리며 '주연급' 역할을 하고 극중에서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천연기념물]]로 지정되는 것으로 나온다. 하지만 방영 당시에는 실제 천연기념물은 아니었으며 창원시 보호수로 지정되어 있었다. 드라마 방영 후 문화재청은 이 나무에 대한 천연기념물 지정조사에 착수했고,[[https://www.segye.com/newsView/20220725507816|#]] 결국 2022년 10월 7일자로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https://www.yna.co.kr/view/AKR20220929142300005|#]] == 천연기념물 지정 == || '''구분''' || '''명칭''' || '''지정일''' || '''주소''' || ||<|3> 1주 ||예천 금남리 황목근(팽나무)[* 같은 예천군에 있는 석송령처럼 자기 재산을 갖고 있는 나무이다]||1998년 12월 23일||[[경상북도]] [[예천군]] [[용궁면]] 금남리 696번지|| ||고창 수동리 팽나무||2008년 5월 1일||[[전라북도]] [[고창군]] [[부안면]] 수동리 446번지|| ||창원 북부리 팽나무||2022년 10월 7일||[[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대산면(창원)|대산면]] 북부리 102-1번지|| ||<|4> 숲 ||무안 청천리 팽나무와 개서어나무 숲||1962년 12월 7일||[[전라남도]] [[무안군]] [[청계면]] 청천리|| ||함평 향교리 느티나무·팽나무·개서어나무 숲||1962년 12월 7일||[[전라남도]] [[함평군]] [[함평군/행정#대동면|대동면]] 향교리 산948-2번지|| ||제주 성읍리 느티나무 및 팽나무 군||1964년 1월 31일||[[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표선면]] 성읍리|| ||보성 전일리 팽나무 숲||2007년 8월 9일||[[전라남도]] [[보성군]] 화전면 전일리 385번지|| [[분류:나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