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로스터)] ||
'''{{{#fd5a1e 패트릭 베일리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1라운드 지명선수)] ---- ||
'''{{{#fd5a1e 패트릭 베일리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fd5a1e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fd5a1e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등번호 14번}}}''' || || [[오스틴 윈스]][br](2022~2023) || {{{+1 →}}} || '''패트릭 베일리[br](2023~)''' || {{{+1 →}}} || 현역 ||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F.PatrickBailey.jpg|width=100%]]}}} || ||<-2>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No.14''' || ||<-2> '''{{{#ffffff {{{+2 패트릭 베일리}}}[br]Patrick Bailey}}}''' || ||<|2> '''출생''' ||[[1999년]] [[5월 29일]] ([age(1999-05-29)]세) || ||[[노스캐롤라이나|노스캐롤라이나 주]] 그린즈버러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학력''' ||웨스리언 크리스찬 아카데미 - [[노스캐롤라이나 주립대학교]] || || '''신체''' ||183cm / 95kg || || '''포지션''' ||[[포수]] || || '''투타''' ||[[우투양타]] || || '''프로입단''' ||--[[2017 MLB 신인드래프트|2017년 드래프트]] 37라운드 (전체 1096번, [[미네소타 트윈스|MIN]])--[br][[2020 MLB 신인드래프트|2020년 드래프트]] 1라운드 (전체 13번,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SF]]) || || '''소속팀'''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2023~)''' || || '''계약''' ||1yr / $720,000 || || '''연봉''' ||2023 / $720,000 || [목차] [clearfix] == 개요 ==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소속 포수. == 선수 경력 == ===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 ====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2023년|2023 시즌]] ==== 5월 19일, [[칼 스티븐슨]]이 DFA되고 [[엘리엇 라모스]]가 60일 부상자 명단에 올라 40인 로스터에 등재되었고 [[조이 바트]]가 10일 부상자 명단에 올라 처음 메이저 리그에 콜업되었다. 당일 [[마이애미 말린스]]전 7회초에 대수비로 출전해 메이저 리그 데뷔전을 치렀다. 5월 20일 마이애미전에서 데뷔 첫 선발 출장을 가졌고, 8회말 [[태너 스캇]]을 상대로 데뷔 첫 안타를 쳐내면서 3타수 1안타를 기록했다. 5월 21일 마이애미전에서 2회말 [[헤수스 루자르도]]를 상대로 시즌 1호 홈런을 날리며 데뷔 첫 홈런을 뽑아냈고, 6회말에도 [[앤드류 나디]]의 공에 스퀴즈 번트를 성공시키며 3타수 1안타 1홈런 2타점으로 활약했다. 다만 9회초 [[존 버티]]의 땅볼에 송구실책을 저질러 점수를 내준 것은 옥의 티로 남았다. 5월 22일 미네소타전에서 4타수 무안타 1삼진으로 부진했다. 5월 23일 미네소타전에서 0:3으로 뒤진 6회초 2사 만루의 중요한 상황에서 [[조바니 모란]]에게 스트레이트 볼넷을 골라내면서 팀의 첫 득점을 만들어냈다. 팀이 4:3으로 경기를 뒤집은 8회초 1사에서 [[그리핀 잭스]]를 상대로 내야안타로 출루하면서 안타도 하나 기록했다. 5월 25일 밀워키전에서 3타수 무안타 1삼진에 그치다가 8회초 [[타이슨 밀러]]를 상대로 적시 2루타를 쳐냈고, 포수로써도 뛰어난 리드로 불펜데이임에도 팀의 5:0 무실점 승리를 이끌었다. 5월 26일 밀워키전에서 2회초 [[프레디 페랄타]]를 상대로 적시타를 쳐내고, 3회초에도 1루수 [[오웬 밀러]]를 맞고 튀는 행운의 내야안타를 쳐내 또 다시 타점을 기록, 5회초에도 [[엘비스 페게로]]를 상대로 안타를 날리며 3타석 연속 안타를 기록했다. 6회초에는 [[이선 스몰]]에게 2루수 땅볼로 물러났으나, 8회초 팀의 15득점을 완성시키는 적시 인정 2루타를 쳐내며 5타수 4안타 3타점으로 타율을 .364, OPS를 .982까지 올리면서 데뷔 이래 최고의 하루를 보냈다. 하지만 5월 27일 밀워키전에서는 4타수 무안타 3삼진에 그쳤다. 수비에서도 3회말 [[조이 위머]]를 포일로 출루시키고 도루도 2개나 허용하는 등 영 아니었지만 어쨌든 팀은 3:1로 승리하면서 베일리 콜업 이후 7승 2패의 상승세를 이어갔다. 5월 29일 피츠버그전에서 2회말 [[리치 힐]]을 상대로 결승 2타점 적시 2루타를 쳐내고, 7회말에는 [[코디 볼튼]]을 상대로 시즌 2호 홈런을 날린 데 이어 8회말에도 마운드에 올라온 야수 [[크리스 오윙스]]의 공을 놓치지 않고 안타로 연결시키면서 5타수 3안타 4타점으로 맹활약해 팀의 4:14 대승에 기여했다. 오늘 경기로 타율을 .355, OPS를 1.020까지 끌어올리면서 본인의 생일을 스스로 자축했다. 하지만 5월 30일 피츠버그전에서는 4타수 무안타 2삼진으로 부진하면서 팀의 2:1 패배에 기여했다. 5월 31일 피츠버그전에서 2회말 [[미치 켈러]]를 상대로 [[https://twitter.com/SFGiants/status/1664002280641929219|선제 적시타]]를 때려내 4타수 2안타 1타점을 기록했지만 팀은 9:4로 대패했다. 6월 2일 볼티모어전에서 3타수 무안타 2삼진에 그치고 9회말 [[마이클 콘포토]]와 교체되었다. 5회초 1사에서 [[호르헤 마테오]]를 타격방해로 출루시켰으나, 곧바로 마테오의 도루를 저지하며 [[결자해지]]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6월 3일 볼티모어전에서 3타수 무안타에 그치다가 7회말 마지막 타석에서 [[브루스 짐머맨]]을 상대로 안타를 기록하며 3할 타율을 지켜냈다.(.304) 6월 4일 볼티모어전에서 4타수 무안타 2삼진으로 부진해 3할 타율과 OPS 0.8대가 무너졌고, 팀도 8:3으로 패하며 베일리 콜업 이후의 상승세가 점점 꺾이는 중이다. 6월 6일 콜로라도전에서 3회초 [[디넬슨 라멧]]을 상대로 데뷔 첫 3루타를 터트리는 등 5타수 3안타 1타점으로 활약하며 팀의 10:4 대승에 기여했다. 6월 7일 콜로라도전에서 7회말 [[윌머 플로레스]]의 대수비로 출장해 4:4 동점이 된 8회초 1사 1, 3루의 중요한 찬스에서 타석에 들어섰고, [[저스틴 로렌스]]를 상대로 스퀴즈 번트를 성공시키면서 팀의 결승점을 뽑아냈다. 6월 9일 컵스전에서 1회초부터 [[닉 마드리갈]]과 [[스즈키 세이야]]의 도루를 모두 저지하는 쾌조의 출발을 했고, 타석에서는 2타수 무안타 1볼넷 1삼진 기록 후 9회말 [[J.D. 데이비스]]와 교체되었다. 6월 12일 세인트루이스전에서 3회말 [[조던 워커]]의 도루를 저지해내고, 타석에서도 3:3으로 맞선 8회초 1사에 [[크리스 스트래튼]]을 상대로 2루타를 치고 이어진 [[브랜든 크로포드]]의 적시타 때 결승득점을 올리면서 3타수 2안타 1볼넷 활약으로 팀의 4:3 승리에 기여했다. 6월 13일 세인트루이스전에서 5회초 [[잭 플래허티]]를 강판시키는 적시타를 쳐내고 6회초에도 [[헤네시스 카브레라]]를 상대로 시즌 3호 홈런을 날리면서 5타수 2안타 1홈런 2타점으로 활약, 타율을 .323, OPS를 .938로 끌어올렸다. 6월 14일 세인트루이스전에서 1회초 [[조던 몽고메리]]를 상대로 적시타를 쳐내 5타수 2안타 1타점을 기록하면서 오늘도 멀티히트를 쳐냈다. 6월 16일 다저스전에서 타석에서는 4타수 무안타 1사구 1삼진에 그쳤지만 9회말 1사 1, 2루의 절체절명의 위기에서 [[무키 베츠]]의 3루 도루를 저지해냈다. [[카밀로 도발]]이 계속 흔들려 [[윌 스미스(1995)|윌 스미스]]에게 볼넷을 내준걸 생각하면 사실상 팀을 패배에서 건져낸 도루저지인 셈이다. 이후 11회초 [[브랜든 크로포드]]의 적시타에 결승득점을 올렸다. 6월 17일 다저스전에서 7회초 [[닉 로버트슨]]을 상대로 2타점 적시 2루타를 날리고 5타수 1안타 2타점 2삼진을 기록했다. 6월 19일 샌디에이고전에서 1회초부터 [[페르난도 타티스 주니어]]의 3루 도루를 저지[* 이후 [[후안 소토]]의 홈런이 나오며 투런이 솔로포로 변했고, 1실점을 덜 한 덕에 팀이 이후 9회말 동점을 만들어 연장전 끝에 승리했으니 사실상 경기의 결과에 큰 영향을 준 도루저지가 되었다.]했고, 4:3으로 뒤진 9회말 1사 1, 3루 찬스에 [[드류 칼튼]]을 상대로 동점 희생플라이를 만들어내며 3타수 1안타 1타점으로 팀의 4:7 역전승에 기여했다. 6월 20일 샌디에이고전에서 4회초 [[김하성]]을 견제로 잡아내고, 타석에서는 3:1로 뒤진 7회말 무사 만루의 결정적인 찬스를 [[팀 힐]]을 상대로 3루수 병살타를 쳐 날려먹었지만 3:3 동점이 된 9회말 1사 1루에 [[닉 마르티네스]]를 상대로 안타를 때려내며 팀의 끝내기 승리에 기여했다. 6월 21일 샌디에이고전에서는 9회초 수비 강화 목적으로 [[블레이크 세이볼]]의 대수비로만 출장해 [[카밀로 도발]]과 함께 경기를 마무리하면서 팀의 10연승을 완성시켰다. 6월 22일 샌디에이고전에서 2타수 2안타를 기록하면서 팀이 10:0으로 대패하는 와중에 홀로 활약하고 7회초 [[블레이크 세이볼]]과 교체되었다. 6월 23일 애리조나전에서 4회초 2사 2루에 [[알렉 토마스]]의 땅볼에 송구실책을 저질러 점수를 내줬지만 5회말 [[조 맨티플리]]를 상대로 시즌 4호 홈런을 날리고 3타수 2안타 1홈런 2타점 1볼넷으로 맹활약해 OPS를 .921까지 올리면서 팀의 5:8 승리에 기여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FxxndvecHbQ|[[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6월 24일 애리조나전에서 2회말 [[메릴 켈리]]를 상대로 안타를 쳐내고 4타수 1안타를 기록했다. 6월 25일 애리조나전에서 3타수 무안타 1삼진에 그치다가 4:2로 뒤진 8회말 2사 1, 2루 찬스에 [[스캇 맥거프]]를 상대로 3루수 내야안타를 때려냈지만 2루주자 [[블레이크 세이볼]]이 주루사를 당하면서 결국 팀은 5:2로 패했다. 6월 27일 토론토전에서 5회초 1사 3루 찬스에 [[케빈 가우스먼]]을 상대로 적시 2루타를 쳐냈고, 이것이 결승타가 되어 팀은 3:0으로 승리했다. 2회말에는 [[위트 메리필드]]의 도루를 저지했다. 6월 28일 토론토전에서 7회초 [[보우덴 프란시스]]를 상대로 2루타를 쳐내며 4타수 1안타 1삼진을 기록했다. 6월 29일 토론토전에서 5회말 [[돌튼 바쇼]]의 도루를 저지하고 0:2로 뒤진 9회초에는 [[조던 로마노]]를 상대로 2루타로 출루하고 [[블레이크 세이볼]]의 적시타에 득점하며 팀의 마지막 희망을 되살렸지만 세이볼이 도루 실패로 아웃당하면서 팀은 결국 1:2로 패했다. 6월 30일 메츠전에서 3타수 무안타 2삼진에 그치다가 2:4로 뒤진 8회초 1사 1, 2루 찬스에 [[데이비드 로버트슨]]을 상대로 시즌 5호 홈런을 역전 쓰리런으로 장식했고, 9회말 1사 1루에서도 [[스탈링 마르테]]의 도루를 저지하는 결정적인 수비로 팀의 5:4 역전승을 이끌었다. [[https://www.youtube.com/watch?v=nHMYNTD__0s|[[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7월 1일 메츠전에서 9회초 1사에 [[애덤 오타비노]]를 상대로 볼넷을 골라내고 3타수 무안타 1볼넷을 기록했다. 7월 2일 메츠전에서 5타수 1안타 4삼진으로 부진했고 팀도 4:8로 패했다. 7월 4일 시애틀전에서 1회초 [[제러드 켈닉]]의 도루를 저지하며 이닝을 끝냈지만 2회초 [[톰 머피(1991)|톰 머피]]를 타격방해로 출루시켜 무사 만루를 만들었고, [[키튼 윈]]의 폭투를 잡지 못하며 실점하는 등 좋지않은 모습을 보였다. 타석에서도 3타수 무안타 1삼진에 그치고 팀도 [[로건 길버트]]에게 완봉승을 내주며 6:0으로 패했다. 7월 5일 시애틀전에서 3타수 1안타 1사구를 기록하고 팀은 0:2로 승리했다. 7월 7일 콜로라도전에서 3타수 1안타를 기록해 3할 타율을 사수했지만 팀은 5:2로 패했다. 7월 8일 콜로라도전에서 4회말 [[코너 시볼드]]를 상대로 2루타를 날려 4타수 1안타 2삼진을 기록하고 이후 [[블레이크 세이볼]]의 적시타에 결승득점을 올렸다. 7월 9일 콜로라도전에서 3회말 1사 1, 2루에 [[카일 프리랜드]]를 상대로 유격수 병살타를 치는 등 4타수 무안타로 부진하며 3할 타율이 무너졌지만 포수로써 [[로건 웹]]의 완봉승을 이끌었다. 7월 14일 피츠버그전에서 3회말 [[투쿠피타 마르카노]]의 도루를 저지, 타석에서 5타수 1안타 1삼진에 그쳤지만 그 1안타가 3:4로 뒤진 7회초 1사 2, 3루 찬스에서 [[콜린 홀더맨]]을 상대로 때려낸 역전 적시타[* 2루주자 [[J.D. 데이비스]]가 우익수 [[헨리 데이비스]]의 실책으로 득점했다 기록되어 1타점이 되었다.]였고, 이후 데뷔 첫 도루까지 성공시키고 [[루이스 마토스(2002)|루이스 마토스]]의 적시타에 득점을 올리며 팀의 6:4 승리를 이끌었다. 하지만 7월 15일 피츠버그전에서 4타수 무안타 4삼진으로 극악의 모습을 보이면서 결국 3할 타율과 0.8대 OPS가 모두 무너졌다. 7월 16일 피츠버그전에서 8회말 [[블레이크 세이볼]]의 대수비로 출장, 3:3으로 맞선 9회초 [[데이비드 베드나]]에게 삼진으로 물러났지만 6:3 역전에 성공한 10회초 2사 1, 2루 찬스에 [[예리 데 로스 산토스]]를 상대로 2타점 적시 2루타를 쳐냈다. 7월 17일 신시내티전에서 4타수 무안타 1사구 1삼진을 기록했다. 팀은 우천으로 서스펜디드 게임이 선언되는 끝에 연장 10회초 2득점으로 4:2로 승리. 7월 18일 신시내티전에서 7회말 [[블레이크 세이볼]]의 대수비로 출장한 후 11:10으로 앞선 8회초 2사 1, 2루의 경기에 완전히 쐐기를 박을 찬스에 [[토니 산티얀]]을 상대로 중앙 쪽 큰 타구를 날려보냈으나 중견수 [[TJ 프리들]]의 호수비에 걸려들고 말았다. 7월 20일 신시내티전에서 1회말 [[엘리 데 라 크루즈]]의 도루를 저지했지만 3타수 무안타 1삼진에 그치며 OPS가 .756까지 떨어졌고, 팀도 1:5로 완패했다. 7월 21일 워싱턴전에서도 4타수 무안타 2삼진에 그치며 OPS가 .738까지 떨어졌고, 팀도 3:5로 패했다. 7월 23일 워싱턴전에서 병살타만 2개를 치는 등 4타수 1안타에 그치고 수비에서도 [[레인 토마스]]에게만 도루를 4개나 내줬고, 팀은 1:6으로 패하며 워싱턴 3연전 스윕을 당했다. 7월 24일 디트로이트전에서 2회말 [[아킬 바두]]의 도루를 저지하고 타석에서도 3타수 1안타 1볼넷 1삼진을 기록했지만 팀은 1:5로 패하며 6연패 늪에 빠졌다. 7월 25일 오클랜드전에서 5회말 무사 1루에 [[켄 왈디척]]을 상대로 안타를 때려냈지만 1:2로 역전한 8회말 2사 만루의 경기에 완전히 쐐기를 박을 찬스에서 [[샘 몰]]을 상대로 유격수 땅볼로 물러났다. 7월 26일 오클랜드전에서 3타수 무안타에 그치다가 3:5로 앞선 8회말 2사 2루 찬스에 [[샘 롱]]을 상대로 적시 2루타를 날리며 경기에 쐐기를 박았다. 7월 28일 보스턴전에서 3회초 [[제런 듀란]]의 도루를 저지하고 타석에서는 4타수 1안타 1삼진을 기록했지만 팀은 3:2로 패했다. 7월 29일 보스턴전에서 타석에서는 4타수 무안타 1삼진에 그치며 OPS가 .710까지 떨어졌지만 [[카밀로 도발]]이 블론세이브를 저질러 흔들리던 9회초 무사 1루 상황에 2루 도루를 시도하던 [[롭 레프스나이더]]를 잡아내는 결정적인 도루 저지를 기록했다. 7월 30일 보스턴전에서 0:2로 앞선 6회말 1사 1루에 [[블레이크 세이볼]]의 대타로 출장했으나 [[크리스 머피(야구선수)|크리스 머피]]를 상대로 우익수 플라이로 물러났고, 3:2로 역전당한 8회말 1사 2, 3루 찬스에서는 [[조시 윈코스키]]를 상대로 투수 땅볼로 동점을 만들었다. 이후 10회말 2사 만루의 끝내기 찬스에 타석에 들어섰으나 [[크리스 마틴(야구선수)|크리스 마틴]]을 상대로 중견수 플라이로 물러났다. 7월 31일 애리조나전에서 5타수 2안타로 거의 1달만에 멀티히트를 기록했지만 4:3으로 뒤진 11회말 2사 3루의 마지막 찬스에 [[스캇 맥거프]]를 상대로 2루수 땅볼로 물러나 경기를 끝내고 말았다. 8월 1일 애리조나전에서 3:4로 앞선 8회초 [[블레이크 세이볼]]의 대수비로 출장해 [[제이스 피터슨]]이 안타를 친 후 도루를 시도하자 무릎쏴로 피터슨의 도루를 저지했고, 8회말 무사 1루 타석에서는 [[루이스 프리아스]]를 상대로 우익수 플라이에 그쳤지만 9회초 2사 1루에는 1루 주자 [[헤랄도 페르도모]]를 견제로 잡아내며 경기를 끝냈다. 두 번의 결정적인 수비로 팀의 승리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KZva2Ak2Dks|[[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8월 2일 애리조나전에서 2:2로 맞선 6회말 무사 1, 2루 찬스에 [[타일러 길버트]]를 상대로 역전의 징검다리 역할을 하는 안타를 쳐내며 4타수 1안타를 기록하고 OPS는 .699로 떨어졌다. 1회초 [[헤랄도 페르도모]]의 도루에 송구 실책을 범하며 선제 실점의 원인을 제공하긴 했지만, 그럼에도 현재 메이저 리그 포수 가운데 가장 안정적인 수비를 보여주고 있다. 8월 3일 애리조나전에서 3타수 무안타 1삼진에 그치고 6회초 2사에는 [[코빈 캐롤]]에게 도루를 내주고 송구 실책을 저질렀다. 8월 5일 오클랜드전에서 2타수 무안타 2볼넷 2삼진을 기록했다. 8월 6일 오클랜드전에서 3회초 무사 만루에 [[루이스 메디나(1999)|루이스 메디나]]를 상대로 동점 적시타를 날리고 3타수 2안타 1타점 2볼넷으로 맹활약했으나 팀은 6:8의 역전패를 당하며 최하위 오클랜드에게 2연전 스윕을 당했다. 8월 7일 에인절스전에서 4회초 2사 2루에 [[패트릭 산도발]]을 상대로 선제 적시타를 날리며 팀의 첫 점수를 만들었다. 비록 동점을 허용한 6회말 2사 1루에서 [[미키 모니악]]의 안타를 중견수 [[루이스 마토스(2002)|루이스 마토스]]가 공을 뒤로 흘리자 홈으로 달리던 [[C.J. 크론]]을 태그하려다 2루수 [[타이로 에스트라다]]의 송구를 놓쳐버리는 포구 실책으로 역전을 내줬지만, 2:3으로 뒤진 9회초 무사 1, 2루에서 [[카를로스 에스테베즈(야구선수)|카를로스 에스테베즈]]를 상대로 역전 2타점 적시 2루타를 작렬하며[* 사실 단타로 끝났어야 했지만 좌익수 [[랜달 그리칙]]이 수비 도중 넘어져 공이 뒤로 흐르면서 2루타가 될 수 있었다.] 3타수 2안타 3타점 1볼넷 맹활약으로 팀의 8:3 역전승을 이끌었다. 8월 8일 에인절스전에서 3:6으로 뒤진 8회초 [[작 피더슨]]의 대타로 출장해 [[애런 루프]]를 상대로 안타를 날리고 [[윌머 플로레스]]의 투런에 득점을 올렸다. 8월 9일 에인절스전에서 3타수 무안타 1볼넷을 기록하고 팀은 1:4로 패했다. 8월 11일 텍사스전에서 2타수 1안타 1볼넷 1삼진으로 팀에서 유일하게 멀티출루를 했지만 팀은 2:1로 패했다. 8월 12일 텍사스전에서 1회말 2사 2루에 [[앤드루 히니]]를 상대로 동점 적시타를 때려냈지만 이후 3타석에서는 모두 범타로 물러나고 팀도 9:3으로 패했다. 8월 13일 텍사스전에서 2회초 [[에제키엘 듀란]]의 도루 시도에 2루에 송구 실책을 저질러 듀란을 3루까지 진루시켰지만, 1:1 동점이 된 9회초 2사 1루에는 듀란의 도루를 [[https://twitter.com/SFGiants/status/1690858009822699520|팝타임 '''1.71초''' 송구로 저지]][* 이번 시즌 최고 기록이다.]해내며 위기의 팀을 구해냈다. 이후 2:1로 역전당한 10회말 2사 2루의 마지막 찬스에서 [[윌 스미스(1989)|윌 스미스]]를 상대로 '''역전 끝내기 투런'''을 날리면서 스윕 위기에 몰려있던 팀을 구해냈다. [[https://www.youtube.com/watch?v=O8KjC5qZrhU|[[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8월 14일 탬파베이전에서 4타수 무안타 1삼진으로 부진했고, 팀도 10:2로 대패했다. 8월 15일 탬파베이전에서 8회말 2사 2루에 [[에라스모 라미레즈]]를 상대로 적시타를 날리고 3타수 1안타 1타점 1볼넷을 기록했다. 8월 18일 애틀랜타전에서 8회초 무사 1루에 [[조 히메네스]]를 상대로 안타를 쳐내고 3타수 1안타 1삼진을 기록했다. 8월 20일 애틀랜타전에서 3:2로 앞선 8회말 2사 1, 2루 위기 상황에 [[로날드 아쿠냐 주니어]]의 3루 도루에 송구 실책을 저질러 동점을 내줬고, 이어진 9회초 무사 만루 역전 찬스에 타석에 들어서며 앞선 수비 실수를 만회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졌으나 [[커비 예이츠]]에게 삼진으로 물러났다. 8월 21일 필라델피아전에서 3타수 1안타 기록 후 8회말 [[엘리엇 라모스]]와 교체되었다. 8월 22일 필라델피아전에서 4타수 무안타 1삼진에 그치고 팀도 9회말 1사 만루에 [[카밀로 도발]]이 [[트레이 터너]]에게 역전 끝내기 2타점 적시타를 맞고 3:4로 패했다. 8월 23일 필라델피아전에서 4타수 무안타 1볼넷 2삼진에 그치고 OPS가 .703까지 떨어지며 0.6 진입 직전까지 왔다. 그나마 5:5로 맞선 10회초 선두타자로 나서 [[크레이그 킴브럴]]을 상대로 볼넷을 골라내며 팀의 역전에 기여했다. 8월 26일 애틀랜타전에서 4타수 1안타 3삼진을 기록했고, 수비에서는 2회초 [[에디 로사리오]]에게, 3회초 [[로날드 아쿠냐 주니어]]에게 도루를 내줬지만 7회초에는 [[마이클 해리스 2세]]의 도루를 저지했다. 8월 27일 애틀랜타전에서 3:3으로 맞선 5회말 2사 만루 찬스에 [[콜린 맥휴]]를 상대로 싹쓸이 3타점 적시 2루타를 날리면서 팀의 5:8 승리를 이끌었다. 8월 28일 신시내티전에서 0:1로 앞선 3회말 1사 1, 2루 찬스에 [[앤드류 애보트]]를 상대로 적시 2루타를 날리고 3타수 1안타 1타점 1볼넷 1삼진을 기록했다. 8월 29일 신시내티전에서 3회말 [[브랜든 윌리엄슨]]을 상대로 시즌 7호 홈런을 날리고[* 중견수 [[TJ 프리들]]이 글러브로 공을 받아냈지만 결국 공이 글러브에서 빠져 불펜에 떨어지면서 홈런이 되었다.] 4타수 2안타 1홈런 2타점으로 활약하면서 팀의 1:6 승리에 기여했다. 8월 30일 신시내티전에서 3타수 무안타 1볼넷 2삼진으로 부진하고 수비에서도 6회초 1사 1, 3루에 [[엘리 데 라 크루즈]]가 2루 도루를 시도하자 2루에 송구하는 판단 미스를 저질러 [[스펜서 스티어]]에게 홈스틸을 허용하는 등 도루를 4개나 허용하며 팀의 4:1 패배에 기여했다. 9월 1일 샌디에이고전에서 3타수 1안타 1볼넷 1삼진으로 멀티출루를 기록했지만 팀은 3:7로 패했다. 9월 2일 샌디에이고전에서 3타수 무안타 1볼넷 1삼진을 기록했고, 5회말에는 [[호세 아소카르]]의 도루를 저지했다. 9월 3일 샌디에이고전에서 4타수 무안타 3삼진의 극악의 모습을 보이며 OPS가 .704까지 떨어지고 수비에서도 [[김하성]]에게 2개,[* 여담으로 이 도루로 [[김하성]]은 한국인 메이저리거 최초로 단일시즌 30도루를 달성했다.] [[잰더 보가츠]]에게 1개씩[* 이때 송구 실책까지 저질러 [[잰더 보가츠]]가 3루까지 내달렸고, 이를 저지하려던 중견수 [[웨이드 메클러]]의 송구까지 빠지자 보가츠가 홈까지 내달렸는데 여기서 빠진 공이 덕아웃을 맞고 그대로 베일리에게 다시 향하면서 보가츠는 결국 아웃되는 촌극이 벌어졌다. [[https://twitter.com/NBCSGiants/status/1698451885219578216|당시 영상]]] 도루를 3개나 허용했다. 9월 4일 컵스전에서 3타수 무안타 2삼진을 기록해 OPS가 .696으로 떨어졌고 팀도 0:5로 완패했다. 9월 5일 컵스전에서 6:4로 앞선 7회초 2사 1, 2루 찬스에 [[블레이크 세이볼]]의 대타로 출장했으나 [[드류 스마일리]]를 상대로 삼진으로 물러났고, 9회초 [[폴 데용]]과 교체되었다. 한편 7회말 수비 도중 [[케이시 슈미트]]의 악송구를 잡으려다 홈으로 들어오던 [[제이머 칸델라리오]]와 충돌했고, 이 때문에 결국 다음날인 6일 뇌진탕 부상자 명단에 올랐다. 9월 13일 복귀했고, 당일 클리블랜드전에서 5:2로 뒤진 8회말 무사 1루에 [[일라이 모건]]을 상대로 안타를 쳐내고 이어진 [[J.D. 데이비스]]의 동점 쓰리런 때 득점을 올렸지만 9회말 2사 2루의 끝내기 찬스에서는 [[엠마누엘 클라세]]의 하이패스트볼에 삼진으로 물러났다. 그래도 10회말 [[라몬테 웨이드 주니어]]의 끝내기 희생플라이에 결승 득점을 올리고 4타수 1안타 1볼넷 2삼진을 기록했다. 9월 15일 콜로라도전에서 2회초 1사 1, 3루 찬스에 [[체이스 앤더슨]]을 상대로 투수 땅볼로 타점을 올리고, 1:1 동점이 된 9회초 2사 1, 2루 찬스에는 내야안타로 역전의 발판을 마련했지만 팀은 9회말 [[카밀로 도발]]이 [[에로리스 몬테로]]에게 끝내기 안타를 맞고 역전패했다. 9월 16일 콜로라도와의 더블헤더 1차전에서 4:9로 뒤진 9회초 1사 1루에 [[오스틴 슬레이터]]의 대타로 출장했지만 [[개빈 할로웰]]을 상대로 좌익수 플라이로 물러났고, 더블헤더 2차전에서는 4타수 2안타 1삼진을 기록하고 3회말 [[에제키엘 토바]]의 폭투 진루 시도 때 2루에 송구 실책을 저질렀다. 9월 17일 콜로라도전에서 9:5로 앞선 7회초 2사 2, 3루에 [[맷 카라시티]]를 상대로 2타점 적시 2루타를 날리고 4타수 1안타 2타점 1삼진을 기록했다. 9월 19일 애리조나전에서 4타수 무안타 2삼진을 기록하고 수비에서도 2회말 [[코빈 캐롤]]과 [[케텔 마르테]]에게 더블스틸을 허용했다. 9월 20일 애리조나전에서 4타수 무안타에 그치고 수비에서도 1회말 [[코빈 캐롤]]과 [[크리스티안 워커]]에게, 3회말 또 다시 [[코빈 캐롤]]에게 도루를 내주고 송구 실책까지 저질렀다. 9월 22일 다저스전에서 3:0으로 앞선 6회초 2사 만루 찬스에 [[라이언 야브로]]를 상대로 삼진으로 물러나는 등 4타수 무안타 2삼진을 기록했고, 수비에서도 8회말 2사 1루에 포일을 저질러 [[제이슨 헤이워드]]를 낫아웃으로 출루시켜 [[타일러 로저스]]가 결국 만루에 몰리고 1실점하는 결과로 이어졌다. 9월 23일 다저스전에서 0:1로 뒤진 3회초 1사 1루에 [[클레이튼 커쇼]]를 상대로 내야안타를 기록하고 3타수 1안타를 기록했다. 9월 24일 다저스전에서 2:2로 맞선 10회초 1사 만루의 결정적인 찬스에 [[엘리엇 라모스]]의 대타로 출장했지만 [[셸비 밀러]]를 상대로 쳐낸 타구가 밀러의 글러브를 맞고 유격수 [[크리스 테일러]]에게로 튀어버리며 결국 병살타를 기록했고, 10회말 [[오스틴 슬레이터]]와 교체된 후 결국 팀이 [[카밀로 도발]]이 [[크리스 테일러]]에게 끝내기 안타를 맞고 패하며 경기의 최대 역적이 되었다. 9월 25일 샌디에이고전에서 1:0으로 뒤진 6회말 2사 1, 2루 찬스에 [[블레이크 스넬]]을 상대로 삼진으로 물러났고, 8회말 1사 만루의 결정적인 찬스에서도 [[로베르트 수아레스]]를 상대로 1루수 땅볼을 치면서 이틀 연속으로 역전 찬스를 말아먹고 4타수 무안타 2삼진을 기록했다. 그나마 오늘은 다음 타자 [[마이클 콘포토]]가 역전 2타점 적시타를 터트리면서 팀은 승리했다. 9월 27일 샌디에이고전에서 4타수 무안타 2삼진에 그쳤고, 3:2로 뒤진 10회초 2사 1, 2루 위기에는 2루 주자 [[페르난도 타티스 주니어]]를 견제로 잡으려다 송구 실책을 저질러 2, 3루를 만들면서 결국 [[존 브레비아]]가 [[매니 마차도]]에게 2타점 적시타를 맞고 팀이 패하는 결과를 불러왔다. 9월 30일 다저스전에서 3타수 무안타 1삼진에 그쳤지만 1:2로 앞선 9회초 2사 1루에 [[크리스 테일러]]의 [[https://twitter.com/SFGiants/status/1708321644144689363|도루를 저지하고]] 경기를 끝내면서 오랜만에 좋은 어깨를 과시했다. 이후 최종전에는 출장없이 시즌을 마쳤다. 시즌 최종성적은 97경기 326타수 76안타 7홈런 48타점 29득점 1도루 21볼넷 100삼진 .233/.285/.359 OPS .644로, 비록 시즌이 지날수록 페이스가 떨어지긴 했지만 데뷔 첫 해부터 뛰어난 수비를 보여주면서 팀의 새 주전 포수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시즌 후 [[가브리엘 모레노]], [[J.T. 리얼무토]]와 함께 내셔널 리그 포수 부문 골드 글러브 최종 3인 안에 들었다. 다만 모레노에 밀려 수상에는 실패했다. == 플레이 스타일 == == 연도별 성적 == ||<-19>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파일:MLB 로고.svg|width=35]]]] {{{#FFFFFF '''패트릭 베일리의 역대 MLB 기록'''}}} || || 연도 || 팀 || G || PA || H || 2B || 3B || HR || R || RBI || SB || BB || SO || AVG || OBP || SLG || OPS || fWAR || bWAR || || 2023 ||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SF]] || 97 || 353 || 76 || 18 || 1 || 7 || 29 || 48 || 1 || 21 || 100 || .233 || .285 || .359 || .644 || 2.8 || 0.8 || ||<-2>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 통산'''[br](1시즌) || 97 || 353 || 76 || 18 || 1 || 7 || 29 || 48 || 1 || 21 || 100 || .233 || .285 || .359 || .644 || 2.8 || 0.8 || == 여담 == [각주] [[분류:미국의 야구 선수]][[분류:1999년 출생]][[분류:2023년 데뷔]][[분류:그린즈버러 출신 인물]][[분류:노스캐롤라이나 주립대학교 출신]][[분류:포수]][[분류:우투양타]][[분류:스위치 히터]][[분류: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