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고려의 관직]][[분류:조선의 관직]] [목차] == 개요 == [[삼사(관청)|삼사]]의 수장. == 역사 == [[고려시대]] 삼사의 [[판사(관직)|판사]]직으로 재상의 겸직이다. [[공민왕]] 5년(1356) 폐지됐던 삼사가 공민왕 11년(1362) 복구되면서 판삼사사는 정1품 독립 관직이 됐으며 [[우왕]] 때 판삼사사 위에 [[영삼사사]]가 생겼다. [[조선시대]] 초기에는 삼사의 종1품 벼슬로 [[정도전]] 등이 거쳤다. [[태종(조선)|태종]] 원년(1401)에 삼사를 사평부로 바꾸면서 이름이 판사평부사로 바뀌었고, 태종 5년(1405) 사평부를 [[호조(조선)|호조]]에 병합하면서 사라졌다. == 역임 인물 == * 류석 - 본관은 [[류(성씨)|정주]]로 [[1095년]] 5월 판삼사사를 역임한 후 10월 [[숙종(고려)|숙종]] 즉위 후 수사공(守司空)에 가하여졌다. * 이권 - 이권의 본관은 [[연안 이씨|연안]]이며 판삼사사를 지낸 문신이자 연성군, 오원부원군이다. * [[이제현]] * [[이수산]] * [[이색(고려)|이색]] * [[최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