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네이버 웹툰의 연재작/일요일)] ||<-2>
{{{#310506,#310506 '''{{{+1 {{{#!html 판사 이한영}}}}}}'''}}}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판이.jpg|width=100%]]}}} || || '''{{{#!html 장르}}}''' ||[[드라마#s-4]], [[회귀물|회귀]], [[법정물|법정]] || || '''{{{#!html 원작}}}''' ||이해날 《[[판사 이한영]]》 || || '''{{{#!html 작가}}}''' ||각색: 문성호[br]작화: 전돌돌 || || '''{{{#!html 출판사}}}''' ||YJ코믹스 || || '''{{{#!html 연재처}}}''' ||[[네이버 웹툰]] [[http://comic.naver.com/webtoon/list?titleId=759567|▶]][br][[네이버 시리즈]] [[https://series.naver.com/comic/detail.series?productNo=5697075|▶]] || || '''{{{#!html 연재 기간}}}''' ||2020. 11. 28. ~ 연재 중 || || '''{{{#!html 연재 주기}}}''' ||일 || || '''{{{#!html 이용 등급}}}''' ||[[15세 이용가]] || [목차] [clearfix] == 개요 == 동명의 웹소설 《[[판사 이한영]]》을 원작으로 한 한국의 [[드라마#s-4]] 웹툰. 각색은 '''문성호'''[* 만화 《[[SKT - Swallow Knights Tales/미디어 믹스#s-2|SKT+]]》, 《뱁티스트》, 《[[https://series.naver.com/comic/detail.series?productNo=66041|마탄성자]]》를 그렸다. 이후 [[웹툰]] 각색자로 활동하며 현재 《[[서울역 드루이드(웹툰)|서울역 드루이드]]》의 각색도 담당하고 있다.], 작화는 '''전돌돌'''[* 《[[안녕?! 자두야!!]]》의 작가인 [[이빈]]의 남편이다. 작가의 해당 필명은 이빈 작가의 만화 안녕?! 자두야!!의 캐릭터 돌돌이에서 따왔다. 본명은 전호진으로 이빈 작가와 같은 시기부터 활동해온 만화가이다.]이 담당했다. == 줄거리 == >법정 안에서 정의를 실현할 수 있다고 믿었던 판사 이한영은 >상관의 명령을 따르지 않고 재벌에게 실형 선고를 내렸다가 살해당하고 만다. >하지만 어렸을 적 들었던 땡중의 헛소리 때문일까? >이한영은 모든 기억을 가지고 두 번째 삶의 기회를 얻는다. >오로지 정의밖에 모르는 사법부의 이단아 이한영, >세상이 그를 필요로 한다. == 연재 현황 == ||<-2>
'''{{{#!html 역대 표지}}}'''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판사 이한영(웹툰)cover.jpg|width=100%]]}}}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판이.jpg|width=100%]]}}} || [[네이버 웹툰]]에서 2020년 11월 28일부터 매주 일요일에 연재된다. 2022년 11월 26일과 12월 3일에 작가의 코로나 19 확진으로 2주 휴재했다. == 특징 == * 조그만 언쟁의 상황에서도 등장 인물들이 입술을 뒤집고 눈을 부릅뜬다. 대화 한 번에 그런 장면이 반복되니 분노조절장애처럼 보인다. * 원작의 이한영은 조직 보스같은 인상이라고 반복해서 나오는데, 웹툰에서는 전혀 다른 이미지로 나온다. == [[판사 이한영(웹툰)/등장인물|등장인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판사 이한영(웹툰)/등장인물)] == 고증 오류 == * 법정에서 이한영이 재판받는 모습을 기자가 찍어서 방송에 보도했다. 법정 내부 촬영은 엄격하게 금지되어 있으며, 설령 찍더라 하더라도 방송에 보도[* 다만 대법원 전원합의체 사건이나 사회적으로 관심이 집중되는 사건의 경우에는 재판을 생중계하는 게 가능하긴 하다. 하지만 일개 1심재판이면 허가가 될 리 없다.]는 말도 안되는 일이다. * 백이석 법원장, 강신진 수석부장 등 윗사람들이 이한영에게 깡치 사건을 배당하도록 지시하는데, 실제로는 사건 배당은 처리의 공정성을 위하여 컴퓨터로 무작위로 배당하므로 법원장이든 누구든 특정 사건을 특정 재판부에 배당하는 일은 있을 수 없는 일이다. * 6화에서 백이석 법원장실의 명패가 '대법원장실'로 표시되어 있다. '법원장실'이면 몰라도 '대법원장실'은 명백한 오류다. * 8화에서 송나연이 재판 진행 도중 김선희의 보험 가입 관련 증서 등을 증거로 제출하는데, 형사재판의 당사자는 검찰과 피고인과 그 변호인일 뿐이므로 증거를 제출할 수 없고, 유죄의 증거라면 수사기관에게 제출하여 검사가 이를 신청하여 법정에 현출한 다음 재판부에 제출할 수 있을 뿐이다[* 원작에서는 이한영이 직권으로 유가족의 휴대폰 문자메시지를 조사하고, 그 과정에서 송나연이 미리 맡아둔 김가영의 휴대폰을 제출하였다.]. * 53화에서 분명 민사재판인데 추용진 시장을 '피고인'이라고 칭하는 오류를 범한다. 또한 "추 시장이 시장직 박탈을 앞두고 구속되었다."라고도 하는데, 지자체장은 금고 이상 형을 선고받지 않는 한 파면당하지 않으므로 이 또한 오류이다. 그러나 이 오류는 시정되지 않아 141화에서 박을석 의원은 1심 선고도 안나왔는데 자격이 박탈되었다고 기사가 뜬다. * 제국제강 재판에서 지연이자를 명시하지 않았다. == 기타 == * 작중 유세희의 아버지가 대표로 나오는 에스로펌과 같은 이름의 법무법인이 실제로 있다. [[https://instagram.com/snulaw_s?igshid=MWZjMTM2ODFkZg==|법무법인 에스 공식 인스타그램]] [[분류:웹툰/목록]][[분류:2020년 웹툰]][[분류:네이버 웹툰/연재중]][[분류:웹소설 원작 웹툰]][[분류:법정 만화]][[분류:회귀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