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동음이의어]][[분류:폴라리스 랩소디/지명]][[분류:동방 프로젝트/지명]][[분류:그리스어 단어]] [목차] == 개요 == || [[영어]] ||Pandemonium || || [[한국어]] ||팬더모니엄[* [[그리스어]]에서 따오긴 했지만, [[영어]] 사용자인 [[존 밀턴]]이 만든 단어이기 때문에 '''팬더'''모니'''엄'''이라 쓰는 것이 맞는다.] || || [[한자]] ||악마전(惡魔殿), [[만마전]](萬魔殿), [[복마전]](伏魔殿) || [[존 밀턴]]의 대서사시 《[[실낙원]]》에 등장하는 [[악마]]의 전당이자 [[지옥]]의 도성. 밀턴이 [[그리스어]]로 '모든 영혼이 모이는 곳(παν δαιμόνιον, pan daimonion)'이라는 말에서 따와 만들어낸 용어다. 어근을 보면 알겠지만 pan / demon / ium으로 [[데몬]]이라는 단어가 들어있다. 악마가 날뛰는 곳이란 이미지 때문에 '대혼란', '무법지대'의 의미도 포함하고 있으며, 그런 점에서는 [[불교]]의 '[[아수라장]]'과도 상통한다고 할 수 있겠다. 현대 영어에서는 오히려 '대혼란'이라는 뜻으로 사용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직접적인 관계는 없지만 의미상의 반대말은 '[[판테온]]'. === [[단테 알리기에리]]의 [[신곡]]에서 묘사된 지옥의 도성 === 여기서는 [[디스]]의 도시(City of Dis)라고 표현된다. [[스틱스]] 강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주변에서는 끔찍한 [[고문]]들이 줄줄이 자행되고 있다. 디스 본성으로 들어가기 위해서는 수많은 지역을 거치지 않으면 안된다. 어쨌든 끔찍한 곳임에는 틀림없는데, 얄궂게도 독실한 [[청교도]]였던 밀턴이 눈이 먼 뒤에 지었던 유명한 [[실락원]]에서 디스 시는 판데모니움이란 이름을 얻고 엄청난 모습으로 탈바꿈한다. [[사탄]]과 그 일파는 신과의 싸움에서 패배해 땅 끝까지 떨어졌으며 그 곳은 지옥이라 부르기에 마땅한 곳이었으나, 그들은 실망치 않고 이 세상 그 어떤 궁전도 명함도 내밀지 못할 최고의 궁전을 짓고, 안은 세계의 모든 보물로 꾸몄다. 거대한 성은 마치 하나의 도시와도 같은 규모와 웅장함을 지녔다고 한다. == 작품 == === 소설 [[프래그먼트]]의 후속작 [[판데모니움(소설)]] === [[파일:external/www.warrenfahy.com/pan_coverx.jpg]] [[워렌 페이]]가 [[프래그먼트]] 이후의 이야기를 그린 소설. 미국 기준으로 2013년 2월 출간. 2023년 아직까지도 한국에서는 출판 소식이 없다. [include(틀:스포일러)] 전체적인 줄거리는 프래그먼트에서 나왔던 주인공 일행이 우랄산맥 지하에 있던 밝혀지지 않은 동굴을 탐사하고 그 곳에서 '''[[헨더스 섬]] 토착종 못지 않은 [[전투종족]]을 만난다는 이야기(...).''' 이 줄거리는 프래그먼트의 모델이 된 동굴에서 따온 듯 싶다. 저자가 프래그먼트의 서두에서 고립된 동굴 생태계에서 프래그먼트의 아이디어를 따왔다고 밝혔다. 다행히도 헨더스 섬에서 '''살아있는 채로''' 밀반출된 헨더스 섬 생물체는 없었던 모양이다. --대처 박사가 땅콩 넣어놓은 병인 줄 알고 뒤적거렸던 '''전등'''에서 나온 말벌까지 포함해서-- 홈페이지에 공개된 자료에 의하면 판데모니움 동굴의 생명체들은 모두 생물발광을 하는 것 같다. 그리고 '''헨더가 다시 나온다!''' 또한 헨더의 동족들도 이름이 생긴 듯. 콘셉트 아트 중 헨더의 동족 일러스트가 있는데 '쿠즈(Kuzu)'라는 이름이 붙은 것 같다. 거기에 노트북을 들고 있는 걸로 봐선 컴퓨터도 쓸 줄 아는 모양이다. === [[xi]]의 [[BMS]]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Pandemonium)] === [[비디오 게임]] === Toy for Bob에서 제작한 비디오 게임. 1996년에 발매되었으며 국내에는 '''팬더모니엄'''이라는 이름으로 소개되었다. 후속작까지도 나왔다. 광대 퍼거스와 마법사 니키가 저지른 짓[* 퍼거스가 니키에게 책에 있는 주문 하나를 외워보라고 해서 니키가 그걸 외웠더니 괴물이 튀어나와서 성을 통째로 삼켜버렸다(...).]을 수습하기 위해 모험을 떠나는 내용이다. == 미디어 == === [[스타크래프트]]의 [[유즈맵]]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PANDEMONIUM)] === [[유희왕]]에 등장하는 카드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팬더모니엄-악마의 소굴-)] === [[매직 더 개더링]]에 등장하는 카드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수라계)] === [[크루세이더 퀘스트]] 네크론의 초월 무기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크루세이더 퀘스트/초월무기/지팡이)] === [[은혼]]에 등장하는 생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판데모니움(은혼))] === [[던전 크롤]]의 서브 던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던전 크롤/서브 던전, 문단=9)] === [[동방 프로젝트]]의 [[동방 프로젝트/주요 지역|지역]] === [[마계]]의 창조자인 [[마신]] '[[신키]]'가 있는 장소로, 빙설세계를 거쳐서 갈 수 있는 듯하다. 이름이 이름인 만큼, 굉장히 강력한 악마들이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며, 실제로 이 곳의 [[메이드]]인 [[유메코(동방 프로젝트)|유메코]]는 신키가 직접 창조한 최강의 악마들 중 하나다. 마신이 사는 장소인 만큼 여러모로 종교적인 분위기를 풍기며, 스테인드 글라스도 있는데, 이상하게도 착시 현상인 [[루빈의 항아리]]가 새겨져 있다. 신키의 취향인 듯하다. 여담으로 [[이부키 스이카]]의 스펠 "백만귀야행"이 구 버전 영어 패치에서는 판데모니움으로 번역되었다. 의외로 [[동방감주전]]에서 데뷔한 캐릭터들인, [[지옥]]의 여신인 [[헤카티아 라피스라줄리]] 및 그 친구로 등장하는 [[순호]]와도 관계가 있다고 할 수 있는 게, 테마곡의 제목이 '''판데모닉''' 플래닛('''パンデモニック'''プラネット, '''pandemonic''' planet)이기 때문이다. === [[디아블로 시리즈]]의 판데모니움 성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혼돈의 요새)] === [[베르세르크(만화)]]에 나오는 지역 === [[팔코니아]] 내부에 위치한 사도 훈련소로, 각지에서 괴물을 잡아들여 사도들의 유희 및 훈련용으로 사용하고 있다. 팔코니아의 맨 뒤쪽에 보이는 거대한 검은 구체 같은 것이 판데모니엄이다. === [[아도니스(소설)]]에 나오는 장소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아도니스(소설)/설정)] === [[파이널 판타지 II]]의 최후의 던전 === 지옥의 길인 제이드를 통하여 내려간다. 내부는 푸른 [[수정]]과도 같은 재질로 되어 있으며, 몹시 넓고 강력한 적이 많다. 곳곳에는 최강의 아이템과 그것을 수호하는 대악마들([[아스타로트]], [[벨제브브]] 등)이 존재하며, 숨겨진 통로를 지나 [[마사무네]]를 얻을 수 있다. [[판데모니움(파이널 판타지 시리즈)|자세한 것은 항목 참조.]] === [[폴라리스 랩소디/설정#s-1|폴라리스 랩소디의 장소]]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폴라리스 랩소디, 앵커=지역 및 국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