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멸종 위기 동물)] |||| '''{{{#FFF {{{+1 파푸아수리}}}[br]Papuan eagle, New Guinea harpy eagle}}}'''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파푸아수리.webp|width=100%]]}}} || || [[학명|{{{#000 '''학명'''}}}]] || ''' ''Harpyopsis novaeguineae'' ''' [br](Salvadori, 1875) || |||| '''{{{#000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동물계]](Animalia) ||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척삭동물문]](Chordata) || || [[생물 분류 단계#강|{{{#000 '''강'''}}}]] ||[[새|조강]](Aves)|| ||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수리목(Accipitriformes) || || [[생물 분류 단계#과|{{{#000 '''과'''}}}]] ||수리과(Accipitridae) || || '''아과''' ||부채머리수리아과(Harpiinae)|| ||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파푸아수리속(''Harpyopsis'')'''|| || [[생물 분류 단계#종|{{{#000 '''종'''}}}]] ||'''파푸아수리(''H. novaeguineae'')'''|| ||<-2> '''{{{#000 멸종위기등급}}}''' || ||<-2> [[파일:멸종위기등급_취약.svg|width=240px]] || [목차] [clearfix] == 개요 == [[파일:파푸아수리비행.png]] 수리목 수리과의 [[맹금류]]. 가장 가까운 근연종들은 [[부채머리수리]], [[볏수리]], 그리고 [[박쥐수리]]이다. 이 중 부채머리수리와 볏수리에 외형적이나 생태적으로 가장 비슷한데 이들은 [[남아메리카]]에서 살기 때문에 어쪄다 태평양을 사이에 두게 되었는지는 아무도 모른다. == 소개 == 대형 맹금류이자 중대형 수리로 암컷은 몸길이 80~90cm, 익장 1.4~1.57m까지 다다른다.[* 맹금류답게 암컷이 수컷보다 더 크므로 수컷은 이 정도 크기로 성장하지 못한다.] 울창한 숲에 서식하는 다른 맹금류들과 마찬가지로 몸집에 비해 익장이 짧고 대신 날개의 폭이 넓어 복잡한 숲 속에서 급회전과 기민한 비행에 용이하다. 종아리가 매우 길며, 몸에 비해서뿐만 아니라 단순 길이로도 맹금류 중에서 가잔 긴 종아리를 가지고 있다. [[https://macaulaylibrary.org/asset/215134791|이미지]] [[뉴기니 섬]]의 [[열대우림]]에 의존하며, 일반적으로 저지대에서 해발고도 2000m까지 분포한다. 벌목되었거나 기타 원인으로 트인 공간은 피한다. 거의 모든 시간을 수관층에서 보내며, 간혹 수관층 위로 비행할 때에도 기류를 타지 않고 날갯짓에 의존한다. [[악어왕도마뱀]]과 함께 뉴기니 열대우림 수관층의 최상위포식자이며 나무타기캥거루, [[쿠스쿠스]], [[포섬]], 대형 설치류 등 중대형 포유류들을 주로 사냥한다. 대형 조류들도 사냥하며 어린 [[화식조]]를 제압한 경우도 있다. [[나무왕도마뱀]] 등 파충류들도 간혹 사냥한다. 사냥할 때는 매복에 의존하는데, 수관층 안에 숨어 있다가 빠르게 돌진해 다른 나무에 있는 사냥감을 기습하거나 나무 밑에 있는 먹이를 덮친다. 비행할만큼 공간이 없는 경우에는 나무에서 나무 사이를 점프해 다니거나 땅에서 빠르게 달리면서 먹이를 공격하기도 한다. 번식 주기에 관해 알려진 봐는 많이 없으나, 근연종들이 한번 번식하는데 2년은 걸리고, [[필리핀수리]]와 [[왕관수리]]와 같이 수렴진화한 대형 맹금류들 역시 번식주기가 2년씩은 걸리는 것을 감안하면 파푸아수리 역시 2년에 한번만 번식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이들과 마찬가지로 한번에 한 마리의 새끼만을 양육한다. 둥지는 거목의 꼭대기 바로 아래에 지어지며 매우 크다. 그 외에는 번식에 대해 알려진 봐가 전무하다. 벌목과 [[팜유]] 생산으로 의해 뉴기니 섬에서의 [[삼림파괴]]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살 수 없게 된 곳들이 급증해 개체수가 매우 빠르게 감소하고 있다. 원주민들 역시 깃털을 전통 세례에 사용하거나 사냥시 경쟁자를 죽인다는 명분으로 파푸아수리를 불법으로 사냥한다. 현재 취약종으로 분류되어 있다. [[분류:파푸아수리속]][[분류:세계자연보전연맹 적색목록/취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