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青空少女隊 일본의 [[만화]]. 원제는 청공소녀대. 작가는 시미즈 토시미츠(清水としみつ). 전 3권. 청공소녀대의 외전 에피소드와 시미즈 토시미츠의 다른 단편을 같이 수록한 '청공소녀대 외전'이라는 책도 있다. 신장판 청공소녀대 ~ReBirth~는 전 2권. 한국에서는 2001년 [[서울문화사]]에서 '파일럿 소녀대' 라는 제목으로 정식 발매했다. 외전까지 정식 발매했다. [[자위대]]에서 이미지 홍보를 위해서 세계 최초로 여성 파일럿만 있는 여성 곡예비행대 "801st TTS'를 결성한다는 가상의 설정을 도입하고 여기에 정비사를 하는 주인공 이스루기 타쿠야와 여성 비행사 하네다 미유키, 미타카 아리사의 삼각관계를 중심으로 [[러브 코미디]]를 접목시켰다. 그래서 [[기동경찰 패트레이버]] + [[타카하시 루미코]] 같은 작품이라는 평을 많이 받았으며 당대에 꽤 인기가 있었다. 작가가 [[밀덕]]이라 실존하는 전투기가 나온다. 당시로서는 획기적인 [[밀리터리]]와 미소녀를 접목시킨 작품으로 [[스트라이크 위치스]]와 [[걸즈 앤 판처]] 같은 작품군의 조상님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자위대는 전투기는 남성만 조종해야 한다는 이유로 2014년까지 여성 파일럿을 뽑지 않았기 때문에 이 작품의 내용은 완전히 픽션이었으나 [[저출산]]으로 인해 이 정책을 유지할 수 없다고 판단해서 2015년 최초로 여성 파일럿 이토 미사(伊藤美紗)를 뽑았다. [[SHIROBAKO]]에 나오는 [[극중극]] '[[SHIROBAKO/작중작 #s-2|제3비행소녀대]]'는 이 작품의 패러디이다. == 등장인물 == * 이스루기 타쿠야 (성우: [[미키 신이치로]]) 주인공. 전투기 [[오타쿠]]에 파일럿이 되고 싶어 자위대에 들어왔고 시험도 합격했으나 몸을 다쳐 꿈을 이루지 못한다. 그래도 전투기를 포기 못해 정비사로 일하게 된다. 전투기 이외에도 폭 넓은 오타쿠라서 서브컬쳐에도 관심이 깊고 피규어를 수집한다. * 하네다 미유키 (성우: [[히사카와 아야]]) 성실하고 원칙을 중시하는 성격의 히로인. 미타카와 사이가 좋지 않다. * 미타카 아리사 (성우: [[오리카사 아이]]) 마이 웨이에 뾰족한 성격의 히로인. 갈색 피부. 조종 실력은 하네다보다 뛰어나고 하네다와 사이가 좋지 않다. 하네다가 이스루기랑 분위기가 좋은 게 마음에 안 들어서 이스루기를 유혹하고 헛소문을 퍼뜨려서 하네다를 괴롭히려고 했다가 이스루기와 진짜 사랑에 빠지고 만다. 매우 강해 보이지만 연약하기도 하다. 메인 히로인인 하네다보다 인기가 높았다고 한다. * 사기노미야 사쿠라 (성우: [[이노우에 키쿠코]]) TTS의 최연장자이지만 미녀. 과거 최고의 여성 파일럿이었다고 한다. 남편은 사고로 순직했다. 도박을 좋아한다. 패트리어트라는 나이든 개를 키운다. * 시모렌자쿠 요코 (성우: [[유카나]]) 동안으로 중학생으로 보이지만 성인. 술을 마시면 성격이 더러워진다. 조종 실력이 좋지 않다. 애완용 박쥐를 키운다. * 코니시 미츠루 (성우: [[와카모토 노리오]]) TTS대의 대장. 사기노미야의 죽은 남편과 친구로 같은 기체에 2인승하고 있었으나 운 좋게 혼자 살아남았다 사기노미야를 사랑했고 청혼까지 했지만 일이 꼬여서 사기노미야는 친구랑 결혼해버렸다고 한다. == 등장 전투기 == * [[가와사키 T-4]] * [[F-15J]] * [[F-16]] * [[DC-3]] * [[F-14]] * [[Tu-95]] * [[A6M]] * 그 외 다수 == 미디어 믹스 == === 애니메이션 === ||<-2>
{{{#373a3c,#dddddd '''{{{+1 청공소녀대}}}''' (1994~1996)[br]青空少女隊[br]801 T.T.S. Airbats}}}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청공소녀대_애니(재).jpg|width=100%]]}}} || ||<-2> {{{#373a3c,#dddddd {{{#!wiki style="margin: 0px -11px" {{{#!folding 작품 정보 ▼ ||
'''{{{#373a3c,#dddddd 원작}}}''' ||시미즈 토시미츠(清水としみつ) || || '''{{{#373a3c,#dddddd 감독}}}''' ||<|2>[[모리야마 유지]] || || '''{{{#373a3c,#dddddd 캐릭터 디자인}}}''' || || '''{{{#373a3c,#dddddd 미술 감독}}}''' ||나카자와 요지(中座洋次) || || '''{{{#373a3c,#dddddd 촬영 감독}}}''' ||타카하시 아키히코(高橋明彦)[br]→우즈하타 타카시(宇津畑 隆) || || '''{{{#373a3c,#dddddd 편집}}}''' ||코지마 토시히코(小島俊彦) || || '''{{{#373a3c,#dddddd 음향 감독}}}''' ||[[이와나미 요시카즈]] || || '''{{{#373a3c,#dddddd 음악}}}''' ||야마나카 노리마사(山中紀昌)[br][[나가오카 세이코우]] || || '''{{{#373a3c,#dddddd 애니메이션 제작}}}''' ||스튜디오 판타지아(スタジオファンタジア) || || '''{{{#373a3c,#dddddd 제작}}}''' ||일본 빅터(日本ビクター) || || '''{{{#373a3c,#dddddd 발매 기간}}}''' ||1994. 10. 21. ~ 1996. 08. 21. || || '''{{{#373a3c,#dddddd 편당 러닝타임}}}''' ||30분 || || '''{{{#373a3c,#dddddd 화수}}}''' ||전6화 + 번외편 1화 || || '''{{{#373a3c,#dddddd 국내 심의 등급}}}''' ||심의 없음 || }}}}}}}}} || 1994년부터 나온 [[OVA]]. 감독, 캐릭터 디자인은 [[모리야마 유지]]. 총 7화 성우 캐스팅은 당시 신인들이 많았지만 출연 성우 대부분이 훗날 유명해졌다. 작가가 생각한 캐스팅하고는 좀 달랐다고 한다. ==== 주제가 ==== ||<-2>
'''{{{#373a3c,#dddddd 청공소녀대 여는 노래}}}'''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5stkSssFXnI, width=100%)]}}} || ||<-2> '''{{{#373a3c,#dddddd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 width=100%)]}}} || ||<-2> '''{{{#373a3c,#dddddd Full ver.}}}''' || || '''제목''' || 무지개가 되고 싶어(虹になりたい) || || '''노래''' || MAYAKA || || '''작사''' || - || || '''작곡''' || - || || '''편곡''' || - || || '''오프닝 영상 제작''' || [[모리야마 유지]]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 ==== 회차 목록 ==== ||
'''회차''' || '''제목''' || '''각본''' ||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발매일''' || || {{{-2 1}}} || {{{-2 DEFCON-I}}} || {{{-2 카와하라 유지[br](河原祐二)}}} || {{{-2 [[모리야마 유지]]}}} || {{{-2 모리야마 유지[br]미카사 오사무[br](三笠 修)}}} || {{{-2 모리야마 유지}}} || {{{-2 1994.10.21.}}} || || {{{-2 2}}} || {{{-2 DEFCON-II}}} || {{{-2 츠키무라 료우에[br](月村了衛)}}} ||<-2> {{{-2 [[요시다 토오루]]}}} || {{{-2 [[키무라 타카히로]][br]요시다 토오루}}} || || || {{{-2 3}}} || {{{-2 DEFCON-III}}} || {{{-2 야기 료이치[br](八木良一)}}} ||<|2> {{{-2 모리야마 유지}}} || {{{-2 사카타 준이치[br](坂田純一)}}} || {{{-2 모리야마 유지[br][*총작화감독 ][br][[무라타 토시하루]]}}} || {{{-2 1995.03.24.}}} || || {{{-2 번외편}}} || {{{-2 雪国少女隊[br]설국소녀대}}} || {{{-2 카와하라 유지}}} || {{{-2 미카사 오사무}}} || {{{-2 모리야마 유지}}} || {{{-2 1996.03.23.}}} || || {{{-2 4}}} || {{{-2 DEFCON-IV 隼は舞い降りた![br]매는 날아와 앉았다!}}} || {{{-2 야마구치 히로시[br](山口 宏)}}} ||<-2> {{{-2 요시다 토오루}}} || {{{-2 키무라 타카히로}}} || || || {{{-2 5}}} || {{{-2 DEFCON-V 遠すぎた箸[br][[머나먼 다리|머나먼 젓가락]]}}} || {{{-2 [[쿠로다 요스케]]}}} || {{{-2 모리야마 유지}}} || {{{-2 미사와 신[br](三沢 伸)}}} || {{{-2 모리야마 유지}}} || || || {{{-2 6}}} || {{{-2 DEFCON-VI 過去より永遠に[br]과거에서 영원으로}}} || {{{-2 藤原征矢}}} ||<-2> {{{-2 사카타 준이치}}} || {{{-2 오오시마 야스히로[br](大島康弘)}}} || {{{-2 1996.08.21.}}} || ==== 평가 ==== 모리야마 유지의 인맥으로 매키닉 작화 전문 애니메이터가 많이 참가했고 여기에 항공자위대가 협력해서 실제 전투기를 보고 참고해서 만들었다. 그래서 전투기 작화가 매우 뛰어나다. 고증 측면에서도 오히려 원작과 [[에어리어 88]]보다 앞서는 면이 있다고 평가 받는다. 애니메이터로 [[모리야마 유지]], [[코모리 타카히로]], [[쿠로다 카즈야]], [[카츠라 켄이치로]], [[타나카 유이치]], [[스즈키 슌지]], [[이시노 사토시]], [[스가누마 에이지]], [[키세 카즈치카]], [[무라타 토시하루]], [[키시다 타카히로]], [[마츠오 신]], [[타케우치 시호]], 무라나카 히로미(村中博美), [[요시다 토오루]], [[키무라 타카히로]], [[아라이 코이치]], [[마스오 쇼이치]], [[나카타니 세이이치]], 츠노다 카츠토시(津野田勝敏) 등이 참가했다. 세월이 지나서 마이너해지긴 했지만 일본에서 실존 [[전투기]]를 제대로 작화해서 만든 애니메이션은 이 작품과 [[에어리어 88]]을 제외하면 드믈기 때문에 세월이 지난 뒤로도 전투기 매니아들 사이에서 종종 회자되고 팬이 유입되는 작품이다. 서양에도 '801 T.T.S. Airbats'라는 제목으로 수입되어 인기를 끌었다. 영국 평론가 [[헬렌 매카시]]가 호평했다. 미소녀 작화로 유명한 모리야마 유지가 감독이라 미소녀 작화도 좋았고 전체적으로 호평을 받는 작품이다. 대단한 메세지나 드라마가 있는 작품은 아니지만 오락용으로는 문제 없다는 평이다. [[자위대]]를 소재로 해서 국민감정이 안 좋은 한국에서는 마이너 애니메이션이지만 한국에서도 전투기 매니아들 사이에서 종종 업급되는 작품이다. [[분류:일본 만화/목록]][[분류:일본 애니메이션/목록]][[분류:자위대]] [[분류:항공 애니메이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