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창(무기)|장창]] (Pike) == 창의 일종으로 중세 말에서 근대 초기까지 두루 쓰였다. 길이가 5~6미터에 달해 이보다 전에 등장했던 여러 장창에 비해서도 매우 길다는 특징이 있다. [[파일:attachment/pikepikepikeee.jpg|width=600]] 그림의 오른쪽 [[스코틀랜드]] 병사가 든 긴 창이 파이크이고, 왼쪽의 짧은 쪽이 [[잉글랜드]]에서 많이 썼던 폴암인 [[빌#s-2|빌]]이다. 일반적으로는 파이크가 유리했지만 창대 안쪽으로 파고드는 데에 성공했다면 입장이 정반대가 되었다. 1513년 [[플로든 전투]]에서 잉글랜드의 빌과 스코틀랜드의 파이크가 맞붙은 바 있는데 전장이 언덕 지형이었던 데다 늪지대까지 있어 파이크가 제대로 활약하지 못했다. 무기의 중심이 냉병기에서 흑색화약을 이용한 [[총|화기]]로 바뀌면서 창병의 역할도 [[보병]] 방진의 핵심에서 보병 화력의 주축인 총병을 호위하는 것으로 바뀌었다. 여기에 [[갑옷]] 기술이 발달하면서 [[할버드]], [[글레이브]], [[빌#s-2|빌]] 등 이전의 폴암류 무기로 방어구를 잘 갖춘 기병을 저지하기가 어려워졌다. 이 때 차라리 기병의 [[랜스]]보다 더 긴 창을 들려주는 것이 더 효과적이라는 사실이 [[스코틀랜드]]나 [[스위스 용병|스위스 용병대]]의 전훈 등을 통해 입증되면서 중세 말부터 도입되기 시작하여 르네상스와 종교전쟁 시대가 되면 창병의 무기가 파이크로 통일된다. [[마케도니아 왕국|마케도니아]]의 [[사리사]]와 길이가 비슷하기 때문에 유사하거나 영향을 받은 무기로 생각하기 쉽지만 시간적, 공간적[* 사리사는 기원전 마케도니아에서 출현하여 발칸 반도나 중동, 넓게 봐도 북아프리카 등 헬레니즘 문화권에서 사용된 반면 파이크는 서, 중, 남유럽에서 주로 쓰였고 동쪽으로 갈수록 사용 빈도가 줄어 중동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았다.] 간극이 크다. 일단 외형부터 파이크는 이전까지 쓰인 창보다 날이 작아 아예 송곳 수준의 날만 달린 경우도 있었고, 중간을 분리할 수 있었떤 사리사와는 달리 파이크는 나무로 만든 단순한 일체형 창대에 날을 단 물건이었다. 일부 스위스 용병 등 더 쉽게 운반하고 관리하기 위해 사리사와 유사한 조립식 파이크를 사용한 경우도 있기는 했다. 따라서 영향을 받았다고 보기는 어렵고, 각자의 전장 환경에 적응하며 [[수렴 진화]]한 것에 가깝다. 용도에도 차이가 있다. 사리사 [[팔랑크스]]는 다른 병과 없이도 그 자체로 적의 공격을 받아내는 모루의 역할을 했지만 파이크 방진은 여러 보병 병과가 모여 모루의 역할을 하는 방진에서 화력을 담당하는 아퀘버스나 [[머스킷]] 총병들이 사격 후 재장전을 하는 동안 적의 보병이나 [[기병]]의 공격으로부터 보호하는 방패 겸 장애물 역할을 맡았다. 창병은 고대로부터 전장에서 창병끼리 충돌하는 경우가 많았다. 근대화 이전에는 창병 부대가 다른 병과 부대에 비해 큰 피해를 보는 경우도 매우 흔했다. 다만 파이크가 등장한 시기는 느리지만 꾸준히 화기가 보급되며 기병과 중장보병의 빛이 바래는 시기였다[* 그렇게 보급이 더뎠던 화약무기만을 가지고도 창에 상대적으로 유리한 검이나 폴암의 시대는 순식간에 끝났다.]. 갑옷도 고대에 비해 가볍고 보호범위도 줄어들게 되었는데, 이런 상황에서 장창병 방진이 전장에서 서로 마주쳐 싸우는 Push of Pike 전투가 왕왕 발생했다. 이런 전투는 일단 시작되면 양 측이 서로 막대한 피해를 감수해야 했는데, 방진을 무너트리고 도망치기 시작하면 안 그래도 큰 피해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기 때문에 서로 후퇴하지 않고 끝까지 맞붙을 때가 많았다. 이런 경향은 머스킷이 완전히 보급되어 제식병기의 지위를 차지하고, [[총검]]이 개발되어 총이 창의 역할까지 대신할 수 있게 되기까지 지속되었다. [[동유럽]] 쪽에서는 잘 사용되지 않았다. 스텝 초원이 넓게 펼쳐진 동유럽에서는 기병이 활개치기 좋았기 때문이다. 때문에 보병 전술이나 보병의 무기에 대한 관심이 떨어졌다. [* 파이크 방진을 이루려면 기병의 돌격에 맞서 버티고 방진을 유지하기 위한 강도 높은 훈련이 필수인데 동유럽 귀족들은 서유럽에 비해 크게 가난한 농노들에게 굳이 시간과 돈을 들여 그런 훈련을 시키지 않았다.] 전술 역시 총을 든 보병의 화력을 중심으로 기병이 보조 역할을 하던 서유럽과 달리 기병의 속도와 돌격력을 중심으로 총을 든 보병의 화력이 기병을 지원하는 전술이었을 정도로 차이가 컸다. 폴란드의 경우 보병과 기병의 비율이 3:7일 정도로 보병에 대한 관심도가 떨어져 보병은 '''포대나 지키는 애들''' 정도로 취급했다.[* 실제로도 폴란드-리투아니아군의 주요 전술은 마차를 이용해 임시 방어벽을 만들고 그 안에서 포병과 보병이 우주방어를 하며 적 주력의 공격을 막는 동안 기병이 우회하여 적들을 격퇴하는 전략이었다.] 그래서 보병들도 대부분 화승총 등으로 무장했다. 파이크를 아예 쓰지 않았던 것은 아니지만 서유럽과 같이 집단적으로 운용하지는 않았던 것. 시간이 지나면서 아예 파이크 대신 [[버디슈]]를 쓰기도 했다. 러시아의 경우 목책으로 기병의 접근을 막거나 버디슈를 사용했지만 스웨덴 같은 군사 선진국으로부터 파이크 방진을 받아들이려는 시도도 한 적이 있다. 파이크가 호위하는 화승총이 전장에 등장하면서 상대인 기병의 전술도 변했다 [[프랑스]]의 경우 위그노 전쟁 초기만 해도 중갑 기병이 기병 전력의 주류였지만 위그노 전쟁 말기 프랑스 기병대는 피스톨을 주무장으로 삼아 [[카라콜]] 기동 [* 총으로 쏘고 퇴각했다가 장전하고 다시 돌아오는 기동]을 주 전술로 활용하게 되었다. 다만 사거리가 짧고 명중률이 낮은 피스톨을 사용하던 카라콜 전술의 효용성에 대한 의문이 커지면서 결국 다시 총 한 발 쏘고 나서 돌격하는 전술이 자리잡게 되었다. [[카라콜]] 문서 참조. 파이크의 방어능력과 공격력은 우수한 편이지만, 그 거대한 크기로 인해 세밀한 기술을 사용하기 힘들었다. 그래도 양손으로 잡기에 한손무기만으로는 위협하기 어려웠으나 장병기나 양손무기로 지레의 원리를 이용해 끝단부를 타격할 경우 조종하기가 매우 어려웠다. 이 때문에 파이크 부대간의 싸움에는 [[도펠죌트너]](양손검사)와 같이 파이크의 창대를 베거나 쳐내는 양손검을 전문적으로 다루는 병사, 검과 방패를 다루는 병사, 폴암을 다루는 병사, 동양에서는 창을 걷어내기 위한 [[당파(무기)|당파]]와 같은 무기를 다루는 병사 혹은 전시대 중무장 보병처럼 갑옷과 방패로 무장하고 파이크의 숲을 헤집는 중보병들이 상당기간 활약하기도 했다. 그러나 17~18세기가 되면서 아퀘버스 총기가 사라지고 보다 강력한 머스킷이 주력이 되면서 파이크병간 전투가 감소하게 되고, 귀찮게 따로 타겟티어(양손검-검+방패 보병)를 운용하느니 차라리 총병에게 칼을 들려주는 식의 통합적인 운영으로 바뀌면서 이러한 검보병은 사라진다. 다만 파이크 자체도 화기의 발달로 총의 신뢰도와 사거리 명중률이 늘어나고 선형진의 등장으로 쇠퇴하다 머스킷 총구에 다는 [[총검]]의 발명으로 그 지위가 흔들리기 시작하더니, 부착상태에서도 사격이 가능한 소켓형 배요넷이 등장하면서 [[전열보병]]이 파이크 방진을 완벽하게 대체해 결국 파이크는 구시대의 유물로 사라지게 되었다. 파이크를 가장 나중까지(1720-30년대) 실전 무기로 유지한 나라는 [[스웨덴]]과 [[러시아]]였다. 이후 [[영국]] 등의 몇몇 나라에서는 고참 부사관의 상징으로 사람 키보다 조금 큰 하프 파이크 등이 사용되었기도 하지만, 19세기 중반이 되면 의장용으로 물러나게 된다. == [[레이시온]]사가 개발한 유탄발사기용 레이저 유도 미사일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ike_40mm-missile 0.jpg|width=100%]]}}}|| |||| [[레이시온]] 사의 파이크 미사일 || |||| '''제원''' || || '''명칭''' || 파이크(Pike) || || '''종류''' || 미사일 || || '''구경''' || 40mm || || '''중량''' || 약 900g || || '''유도방식''' || 레이저 유도 || || '''운용 플랫폼''' || 유탄발사기[* [[M203 유탄발사기|M203]], [[K201 유탄발사기|K201]] 등의 슬라이드 장전 방식 유탄발사기는 개조 필요.] || || '''사거리''' || 약 2~2.1km 목표 타격가능[* 2015년 발사시험 기준.] || || '''살상반경''' || 약 10m || || '''발사 방식''' || 콜드 런치[* 장약으로 포구 밖으로 밀어낸 뒤 2.5~3m 높이에서 모터 점화.] || [[레이시온]] 사에서 개발한 [[40mm]] [[유탄발사기]]용 [[미사일|유도미사일]]. 보병이나 경차량 등 장갑이 얇거나 느려 터진 목표물 잡는데 안성맞춤으로 제작된 미사일로서, '''보병분대에 두명씩 있는 유탄수가 쏜다는 점'''으로 인해 만일 실전배치될 경우 맞는 입장에서는...[[충격과 공포]]가 따로 없다. 왜냐하면 '''[[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안그래도 곳곳에서 미군한테 재블린 맞고 살텐데]] 그 미군이 이젠 재블린 말고도 2km나 떨어진 곳에서 작디작은 유탄발사기 하나 몰래 들고와서 날려버리므로.''' 현재 이 미사일의 한국판이라 할 수 있는 물건을 [[LIG넥스원]]에서도 [[https://milidom.net/photo/1108803|개발 중이라고 한다.]] 단 이쪽은 탄중량이 '''두배나 된다.''' --역시 화력덕후 포방부-- == 생물 == === [[민물꼬치고기]]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민물꼬치고기)] === 파이크시클리드 === ||<-2> '''{{{#fff {{{+1 파이크 시클리드}}}[br]Pike cichlid}}}'''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파이크 시클리드.jpg|width=100%]]}}} || || [[학명|{{{#000 '''학명'''}}}]] || ''' ''Crenicichla'' '''[br]Heckel, 1840 || ||<-2> {{{#000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동물계]](Animalia) ||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척삭동물|척삭동물문]](Chordata) || || [[생물 분류 단계#강|{{{#000 '''강'''}}}]] ||[[조기어강]](Actinopterygii) || ||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키클라목(Cichliformes) || || [[생물 분류 단계#과|{{{#000 '''과'''}}}]] ||키클라과(Cichlidae) || ||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크레니키클라속(''Crenicichla'') || [clearfix] 중앙아메리카~남아메리카에 서식하는 [[시클리드]]의 일종으로, 위의 파이크처럼 길쭉하게 생겨서 파이크를 딴 이름이 붙었다. [clearfix] === 아프리카파이크카라신 === ||<-2> '''{{{#fff {{{+1 아프리카파이크카라신}}}(브랜드노즈가)[br]African pike characin}}}'''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아프리카 파이크 카라신.jpg|width=100%]][br][* 사진은 ''H. lineatus'' ]}}} || || [[학명|{{{#000 '''학명'''}}}]] || ''' ''Hepsetus'' '''[br]Swainson, 1838 || ||<-2> {{{#000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동물계]](Animalia) ||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척삭동물|척삭동물문]](Chordata) || || [[생물 분류 단계#강|{{{#000 '''강'''}}}]] ||[[조기어강]](Actinopterygii) || ||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카라신목(Characiformes) || || [[생물 분류 단계#과|{{{#000 '''과'''}}}]] ||헵세투스과(Hepsetidae) || ||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헵세투스속(''Hepsetus'') || ||<-2> [[생물 분류 단계#종|{{{#000 '''종'''}}}]] || ||<-2> 아프리카꼬치고기(''H. cuvieri'')[br]헵세투스 킹슬레야이(''H. kingsleyae''[br]헵세투스 리네아투스(''H. lineatus'')[br]헵세투스 미크롤레피스(''H. microlepis'')[br]헵세투스 오키덴탈리스(''H. occidentalis'')[br]아프리카파이크카라신(''H. odoe'') || [[피라냐]]랑 [[골리앗타이거피시]]와 같은 카라신과에 속하는 [[열대어]]로, 또 다른 이름은 브랜드노즈가. 이름만 보면 [[가아|가피쉬]]나 [[민물꼬치고기]] 또는 [[꼬치고기속]]의 일종 같지만 전혀 다른 카라신목이다. 아프리카에 서식하며 덩치는 야생에서 60~70cm 정도로 육식성이라서 먹이로는 다른 물고기를 주로 사냥한다. 번식의 경우 암수가 거품집을 만들어 산란한 뒤 보호한다. [[골리앗타이거피시]]나 [[나일악어]] 등과 공존하며 아프리카꼬치고기의 경우 수명이 짧아서 4~5년 밖에 살지 못한다. [clearfix] == 창작물 == === [[얼음과 불의 노래]]에 나오는 성 및 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파이크(얼음과 불의 노래))] === [[리그 오브 레전드]]의 챔피언 [[파이크(리그 오브 레전드)|파이크]] === 이쪽은 스펠링이 Pyke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파이크(리그 오브 레전드))] === [[세븐나이츠]]의 [[세븐나이츠/펫|펫]]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파이크(세븐나이츠))] [[분류:동음이의어]][[분류:폴암]][[분류:보병 무기/고대~근세기]][[분류:크레니키클라속]][[분류:헵세투스속]][[분류:담수관상어]][[분류:영어 단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