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컴퓨터 분야 자격증)] [include(틀: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 시행 자격)] [목차] == 개요 == [[https://www.ihd.or.kr/introducesubject9.do|파이썬마스터 공식 페이지]]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에서 시행하는 전문기술 분야 등록민간자격이다. 2020년 신설되어 첫 시험이 실시되었으며 1급에서 3급까지 존재한다. 본 자격은 여러 컴퓨팅 분야에 범용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Python]]의 이해와 활용 능력에 대해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같은 기관에서 시행하고 있는 [[리눅스마스터]]나 [[DIAT]]와는 달리 아직 공인되지 않은 등록민간자격이다. == 시험 과목 == 2차 시험 없이 필기와 실기를 한 번에 본다. 시험 방식은 CBT 필답형이며, 1과목(필기)과 2과목(실기)으로 나뉘어진다. 시험 버전은 [[Python]] 3.7이다. * 1과목은 컴퓨팅 사고력과 파이썬 문법 및 알고리즘에서 객관식으로 출제된다. 공통 10문항이며 1~2급은 20점이, 3급은 40점이 배점되어 있다. * 2과목은 파이썬 문법 및 알고리즘에서 주관식(작업식)으로 출제된다. 2과목의 경우 CBT 프로그램에서 코드 실행창을 제공하고 있어서, 코드를 넣고 실행해 보는 식으로 답을 찾아서 작성하면 된다. 2~3급은 문제에 빈 칸이 있는 코드가 제시되어 있어서 그 빈 칸을 채워서 정답 칸에 넣는 방식이지만, 1급은 제시된 조건에 따라 코드를 직접 짜서 정답 칸에 넣어야 한다. 1급 5문항, 2급 10문항, 3급 4문항이며, 1~2급은 80점이, 3급은 60점이 배점되어 있다. 시험 시간은 1과목과 2과목 모두 합쳐서 1급 90분, 2급 60분, 3급 40분이다. 또한, 1과목을 푸는 도중에 2과목으로 넘어갔다가 다시 1과목을 풀 수는 없고, 1과목을 다 풀고 1과목 답안을 제출한 다음에야 2과목을 풀 수 있다. 그래서 1과목에 시간을 너무 많이 쓰면 2과목을 풀 시간이 부족해지는 일이 일어나게 된다. 합격 기준은 1급은 70점 이상, 2~3급은 60점 이상이다. 단, 1~3급 공통으로 과목당 40% 미만시 과락이 적용된다. 합격자 발표는 시험일로부터 약 3주 정도 뒤에 한다. == 응시료 및 응시지역 == || {{{#000 등급}}} || {{{#000 응시료}}} || {{{#000 응시지역}}} || || {{{#000 1급}}} || 58,000원||<|2> 서울, 부산, 대구, 광주, 대전, 인천, 수원, 제주(8개시) || || {{{#000 2급}}} || 38,000원|| || {{{#000 3급}}} || 28,000원|| 전국 || 응시료는 2022년 기준이다. 응시 자격 제한은 없다. == 쓸모 == 등록민간자격이 으레 그렇듯, 자기만족 용도로 따 볼 가치는 있겠으나 실제로 써먹을 곳은 극히 적다. 다만 공식 홈페이지에 파이썬마스터 우대 기관 및 기업명단이 몇 곳 있기는 하다. 아마 이 우대를 노리고 딴 사람들도 있을 것이다. 만약 나중에 이 자격이 국가공인을 받게 될 경우, 기존에 취득한 사람들은 재시험을 치러서 합격해야 국가공인자격의 효력이 발생하게 된다. 일각에서 이 자격이 추후 상황에 따라 국가공인을 받게 될 가능성이 제기되기는 하지만, 아직 생긴지 얼마 안 된 자격이기에 실제로 공인을 받을 수 있을지는 미지수. [[분류:자격면허]][[분류:Pyth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