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신일본 프로레슬링]] ||<|12> [[파일:파워스트러글2023.jpg|width=100%]] || ||<-5> 파워 스트러글 ~슈퍼 주니어 태그 리그 2023~[br]Power Struggle ~Super Jr. Tag League 2023~ || || '''개최''' ||<-4> [[신일본 프로레슬링|{{{#white 신일본 프로레슬링[br]New Japan Pro Wrestling}}}]] || || '''제공''' ||<-4> 간단초™ || || '''일시''' ||<-4> 2023년 11월 4일 오후 5시^^JST^^ || || '''중계''' ||<-4> [[신일본 월드|[[파일:신일본 월드3.png|width=70]]]] [[테레비 아사히|[[파일:테레비 아사히 로고.svg|width=70]]]] || || '''장소''' ||<-4> [[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오사카 [[오사카부립 체육회관|{{{#white 오사카 부립 체육회관}}}]] (에디온 아레나 오사카)[br]大阪・大阪府立体育会館(エディオンアリーナ大阪)[br]Osaka Prefectural Gymnasium (EDION Arena Osaka), Osaka || || '''관중수''' ||<-4> 4,046 || ||<-5> 신일본 프로레슬링 대회 순서 || || [[디스트럭션 2023|{{{#000000 디스트럭션}}}]] || ▶ || '''파워 스트러글[br][[슈퍼 주니어 태그 리그 2023|{{{#000000 슈퍼 주니어 태그 리그}}}]]''' || ▶ || [[월드 태그 리그 2023|{{{#000000 월드 태그 리그}}}]] || ||<-5> 해당 대회의 순서 || || [[파워 스트러글 2021|{{{#000000 2021}}}]] || ▶ || '''2023''' || ▶ || 미정 || [목차] == 개요 == 신일본 프로레슬링에서 11월 4일에 개최하는 대회이다. 지난 해는 50주년을 맞아 [[배틀 어텀 2022]] 시리즈가 개최되었고, 2년만에 [[파워 스트러글]] 시리즈가 개최된다. 또한 4년만에 파워 스트러글 기간에 [[슈퍼 주니어 태그 리그]]가 함께 개최된다.[* 2020년에는 [[코로나19]]의 영향으로 개최되지 않았고, 2021년에는 [[섬머 스트러글 2021]]기간에, 2022년에는 [[월드 태그 리그 2022]]와 동시에 개최되었다.] 주요 메치업으로는 우미노 쇼타와 윌 오스프레이의 IWGP US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매치가 성사되었고, 오스프레이가 챔피언전 조건으로건 그레이트-O-칸과 존 목슬리의 싱글매치도 성사되었다. 또한 베스트 오브 슈퍼주니어에서 부상 결장한 이시모리 타이지가 복귀해 타카하시 히로무의 IWGP 주니어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에 도전, TMDK의 잭 세이버 주니어, 셰인 헤이스트, 마이키 니콜스가 오카다 카즈치카, 이시이 토모히로, 타나하시 히로시의 NEVER 6인 태그팀 챔피언십에 도전한다. == 대진표 == ||<-2> 제0경기[br]20분 단판 승부[br]'''FRONTIER ZONE''' || || '''[[타구치 류스케|{{{#000000 타구치 류스케}}}]]'''[br]더 DKC[br][[올렉 볼틴|{{{#000000 올렉 볼틴}}}]] || 스트롱 머신 J[br]카토 요시키[br]~~모치즈키 주니어~~ || ||<-2> 승자: 타구치 류스케 & 더 DKC & 올렉 볼틴 (6분 40초) || ||<-2> 제1경기[br]20분 단판 승부[br]태그 매치 || || [[나카시마 유토|{{{#000000 나카시마 유토}}}]][br]~~[[오스카 로이베|{{{#000000 오스카 로이베}}}]]~~ || '''[[제프 콥|{{{#000000 제프 콥}}}]]'''[br][[캘럼 뉴먼|{{{#000000 캘럼 뉴먼}}}]] || ||<-2> 승자: 제프 콥 & 캘럼 뉴먼 (4분 41초) || ||<-4> 제2경기[br]20분 단판 승부[br]'''주니어 스페셜 4WAY 태그 매치''' || || '''[[엘 데스페라도|{{{#000000 엘 데스페라도}}}]]'''[br][[마스터 와토|{{{#000000 마스터 와토}}}]] || [[YOH|{{{#000000 YOH}}}]][br]MUSASHI || [[클락 코너스|{{{#000000 클락 코너스}}}]][br][[드릴라 몰로니|{{{#000000 드릴라 몰로니}}}]] || [[로비 이글스|{{{#000000 로비 이글스}}}]][br]~~[[후지타 코세이|{{{#000000 후지타 코세이}}}]]~~ || ||<-4> 승자: 엘 데스페라도 & 마스터 와토 (5분 36초) || ||<-2> 제3경기[br]20분 단판 승부[br]6인 태그 매치 || || '''[[타마 통가|{{{#000000 타마 통가}}}]]'''[br][[KUSHIDA|{{{#000000 KUSHIDA}}}]][br]케빈 나이트 || [[타카기 신고|{{{#000000 타카기 신고}}}]][br]~~[[BUSHI|{{{#000000 BUSHI}}}]]~~[br]티탄 || ||<-2> 승자: 타마 통가 & KUSHIDA & 케빈 나이트 (10분 55초) || ||<-2> 제4경기[br]30분 단판 승부[br]태그 매치 || || [[SANADA|{{{#000000 SANADA}}}]][br]~~[[우에무라 유야|{{{#000000 우에무라 유야}}}]]~~ || [[나이토 테츠야|{{{#000000 나이토 테츠야}}}]][br]'''[[츠지 요타|{{{#000000 츠지 요타}}}]]''' || ||<-2> 승자: 나이토 테츠야 & 츠지 요타 (11분 10초) || ||<-2> 제5경기[br]30분 단판 승부 || || [[탕가 로아|{{{#000000 탕가 로아}}}]] || [[데이비드 핀레이|{{{#000000 데이비드 핀레이}}}]] || ||<-2> 승자: 데이비드 핀레이 (12분 33초) || ||<-2> 제6경기[br]30분 단판 승부 || || [[그레이트-O-칸|{{{#000000 그레이트-O-칸}}}]] || [[존 목슬리|{{{#000000 존 목슬리}}}]] || ||<-2> 승자: 무승부 (1분 7초, 양자 링 아웃) || ||<-2> 제6경기 (재경기)[br]시간 무제한 단판 승부[br]'''폴스 카운트 애니웨어 매치''' || || [[그레이트-O-칸|{{{#000000 그레이트-O-칸}}}]] || [[존 목슬리|{{{#000000 존 목슬리}}}]] || ||<-2> 승자: 존 목슬리 (14분 10초) || ||<-2> 제7경기[br]60분 단판 승부[br]'''[[NEVER 오픈웨이트 6인 태그팀 챔피언십|{{{#white NEVER 오픈웨이트 6인 태그팀 챔피언십}}}]]'''[br]4차 방어전 || || '''제26대 챔피언 팀''' || '''도전자 팀''' || || [[오카다 카즈치카|{{{#000000 오카다 카즈치카}}}]][br]'''[[타나하시 히로시|{{{#000000 타나하시 히로시}}}]]'''[br][[이시이 토모히로|{{{#000000 이시이 토모히로}}}]] || ~~[[잭 세이버 주니어|{{{#000000 잭 세이버 주니어}}}]]~~[br]마이키 니콜스[br]셰인 헤이스트 || ||<-2> 승자: 오카다 카즈치카 & 타나하시 히로시 & 이시이 토모히로 (16분 15초) || ||<-2> 제8경기[br]시간 무제한 단판 승부[br]'''[[슈퍼 주니어 태그 리그 2023|{{{#white 슈퍼 주니어 태그 리그 2023}}}]] 결승전''' || || '''리그 1위''' || '''리그 2위''' || || '''[[TJP|{{{#000000 TJP}}}]]'''[br][[프란시스코 아키라|{{{#000000 프란시스코 아키라}}}]] || [[SHO|{{{#000000 SHO}}}]][br]~~[[카네마루 요시노부|{{{#000000 카네마루 요시노부}}}]]~~ || ||<-2> 승자: TJP & 프란시스코 아키라 (16분 40초) || ||<-2> 제9경기[br]60분 단판 승부[br]'''[[IWGP 주니어 헤비웨이트 챔피언십|{{{#white IWGP 주니어 헤비웨이트 챔피언십}}}]]'''[br]7차 방어전 || || '''제93대 챔피언''' || '''도전자''' || || [[타카하시 히로무|{{{#000000 타카하시 히로무}}}]] || [[이시모리 타이지|{{{#000000 이시모리 타이지}}}]] || ||<-2> 승자: 타카하시 히로무 (20분 38초) || ||<-2> 제10경기[br]60분 단판 승부[br]'''[[IWGP US 헤비웨이트 챔피언십|{{{#white IWGP US(UK) 헤비웨이트 챔피언십}}}]]'''[br]3차 방어전 || || '''도전자''' || '''제18대 챔피언''' || || [[우미노 쇼타|{{{#000000 우미노 쇼타}}}]] || [[윌 오스프레이|{{{#000000 윌 오스프레이}}}]] || ||<-2> 승자: 윌 오스프레이 (40분 16초) || == 기타 == * 6경기가 양자 링 아웃 무승부로 종료된 뒤, [[존 목슬리]]의 주장이 받아들여져 폴스 카운트 애니웨어 매치로 경기가 다시 시작되었다. * 7경기 종료 후 [[브라이언 대니얼슨]]이 VTR로 등장해 [[오카다 카즈치카]]에게 [[레슬킹덤 18]]에서의 경기를 원한다는 메시지를 보냈고, 오카다가 이를 받아들이면서 [[포비든 도어 2023]]에 이어서 둘 간의 2차전이 성사되었다. * 9경기 종료 후 챔피언 방어에 성공한 [[타카하시 히로무]]가 [[엘 데스페라도]]를 [[레슬킹덤 18]]에서의 상대로 지명하면서 경기가 확정되었다. * 메인 이벤트 종료 후 [[데이비드 핀레이]]가 챔피언 방어에 성공한 [[윌 오스프레이]]와 [[우미노 쇼타]]의 세컨드로 등장한 [[존 목슬리]]를 공격하고 US와 UK 두 벨트를 파괴하며 도전 의사를 표명하였고, 백스테이지 인터뷰에서 오스프레이가 새로운 타이틀을 걸고 3웨이 매치를 받아들였다. == 함께 보기 == * [[슈퍼 주니어 태그 리그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