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2 '''École d'économie de Paris'''}}}[br]Paris School of Economics || ||<-2> [[파일:파리경제학교.png|width=120]] || || {{{#white 개교}}} ||[[2006년]] || || {{{#white 국가}}} ||[[프랑스]] || || {{{#white 이사장}}} ||장피에르 당틴 (Jean-Pierre Danthine) || || {{{#white 총장}}} ||장올리비에 에로 (Jean-Olivier Hairault) || || {{{#white 위치}}} ||[[프랑스 파리]] || || {{{#white 학생 수}}} ||연구원 140명, 박사과정 200명^^(2019년)^^ || || {{{#white 웹사이트}}} ||[[https://www.parisschoolofeconomics.eu|[[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파일:Campus_Jourdan.jpg|width=450]] '''PSE Campus Jourdan 캠퍼스 내 정원''' [[파일:Campus_Jourdan_outside.png|width=450]] '''PSE Campus Jourdan 건물 외부''' [[https://www.parisschoolofeconomics.eu/en/about/jourdan-campus/pictures/|다른 사진들]] [목차] == 개요 == 파리 경제학교는 2006년 [[토마 피케티]] 교수의 주도하에 여러 [[그랑제콜]]들과 [[파리 제1대학교 팡테옹 소르본]]의 연합으로 탄생한 프랑스와 유럽의 경제 엘리트 학교 중의 하나이다. 파리경제학교는 [[경제학]]과 관련되지 않은 과정은 제공하지 않으며 [[석사]], [[박사]] 학생들의 육성과 경제학 연구를 주 목적으로 설립된 기관이다. == 역사[* [[https://fr.wikipedia.org/wiki/%C3%89cole_d%27%C3%A9conomie_de_Paris|불문위키]] 출처] == 파리 경제학교의 전신인 경제연합연구기관(DELTA)의 설립은 1988년이지만 파리 경제학교 라는 이름 그리고 명성을 갖추게 된것은 [[토마 피케티]] 교수의 주도로 프랑스 정부의 지원 하에 여러 학교들과 연구소들의 연합이 이루어진 2006년으로 여겨진다. 다음과 같은 연구기관, 대학, 그리고 [[그랑제콜]]들이 모여 파리 경제학교가 설립되었다. * 고등사회과학연구학교(EHESS, École des Hautes Études en Sciences Sociales) 1947년 설립, 사회과학의 선구적 연구기관이다. * 사회과학개발연구원(IRD, Institut de Recherche pour le Développement) 1943년 설립 * 응용경제연구센터(CEPREMAP, CEntre Pour la Recherche EconoMique et ses APplications) 1967년 설립 * 고등사범학교[* 각 분야에 걸쳐 14명의 노벨상 수상자, 11명의 필즈메달 수상자, 2명의 아벨상 수상자를 배출했다.](ENS, École Normale Supérieure, [[파리 고등사범학교]]) 1794년 설립, 자연과학과 인문학 분야 최고의 학교이다. * 국립고등교량도로학교[* 국립토목학교로도 불린다. 물리학과 경제학 분야에서 노벨상 수상자를 2명 배출 했다. [[그랑제콜]] 문서 참고](ENPC, École Nationales des Ponts et Chaussées) 1747년[* 프랑스 최초의 그랑제꼴] 설립, 여러 공학분야의 최고의 학교중 하나이다. * [[파리 제1대학교 팡테옹 소르본]](Université Paris I Panthéon-Sorbonne) 1253년 설립 (프랑스 제5공화국 교육제도 개혁을 기준으로는 1971년) == 석사 과정 == PSE의 석사과정들은 모두 영어로 가르치고 있기 때문에 비 영어권 학생들 또는 비 영어권에서 학사 과정을 졸업한 학생들은 최소 [[IELTS]] 6.5점 또는 [[TOEFL]] 90점을 취득해야 한다. PSE는 법적으로 연구기관이기 때문에 "대학교"로 인정되지 않는다. 때문에 PSE 졸업장은 실제로는 [[수료]]증의 성격을 띈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대학과정으로서 작용하고 있는 바 이를 법적으로 뒷받침 하기 위해 모든 과정이 대학교로 인정받는 다른 유명 교육기관 중 한 곳 또는 여러 곳과 함께 진행된다. 즉, 파리 경제학교에서 석사과정을 졸업하면 자동으로 [[복수학위]]를 취득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파트너 교육기관들이 모두 유명한 [[그랑제콜]]이기 때문에 굉장히 큰 장점으로 작용한다.) '''APE (Analysis and Policy in Economics, 경제정책 분석)''' * '''특징''': 학문적 성향이 강한 과정으로서 경제학에 대한 관심이 많고 박사과정을 염두에 둔 학생들이 많이 지원한다. 경제 정책에 대한 심층적 연구와 분석을 위한 과정이며 이를 위해 교수진 또한 해당 분야의 세계적 석학들로 구성되어 있다. 프로그램의 취지는 경제정책의 분석과 그 효용성의 실증적 증명이다. 따라서 높은수준의 경제학의 이론적 지식을 요구한다. * '''과정''': 2년에 걸쳐 Master 1 (M1) 과 Master 2 (M2) 과정을 이수하면 석사학위를 취득한다. 인턴쉽이나 연구, 프로젝트, 논문을 포함하면 실제로는 2년 6개월 정도가 걸린다. 다른 학교의 M1 과정을 이수하거나 PSE내에 다른 M1 과정을 이수 후 M2 과정에 직접 지원할 수 있다. * '''정원''': M1 과정 60-70명 | M2 과정 기존 M1 과정 학생들 외 30-40명 | 70%가 외국인이고 30%가 프랑스인이다. * '''경쟁률''': M1 과정 합격률 약 15% | M2 과정 다이렉트 합격률 약 10% | 1월 초 부터 원서접수가 가능하고 보통 3월 초에 기한이 종료된다. * '''파트너쉽''' * '''파트너 대학교''': [[파리 고등사범학교]], 국립고등교량도로학교, 고등사회과학연구원, 파리 제1대학교 팡테옹 소르본 | 우수 학생들에겐 졸업 후 [[런던 정치경제대학교]], [[보코니 대학교]], [[예일 대학교]],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스탠퍼드 대학교]], [[캘리포니아 대학교/버클리 캠퍼스]] 에서 박사과정을 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 '''PPD (Public Policy Development, 공공정책 개발)''' * '''특징''': APE 과정과 마찬가지로 학구적인 학생들을 위한 과정이다. APE가 경제정책을 분석하고 효용성을 실증적으로 증명하는것에 초점을 두었다면 PPD는 경제정책의 설립과 그 개발을 연구하기 위한 과정이다. 따라서 데이터를 연구하는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APE보다 높은 수준의 계량경제학 지식을 요구한다. * '''과정''': 2년에 걸쳐 Master 1 (M1) 과 Master 2 (M2) 과정을 이수하면 석사학위를 취득한다 (미국의 MSc 학위와 동등하다). 인턴쉽이나 연구, 프로젝트, 논문을 포함하면 실제로는 2년 6개월 정도가 걸린다. 다른 학교의 M1 과정을 이수하거나 PSE내에 다른 M1 과정을 이수 후 M2 과정에 직접 지원할 수 있다. * '''정원''': M1 과정 30명 | M2 과정 기존 M1 과정 학생들 외 5-10명 | 50%가 외국인이고 50%가 프랑스인이다. * '''경쟁률''': M1 과정 합격률 약 5% (자리가 많지 않아서 그렇다) | M2 과정 다이렉트 합격률 약 20% | 1월 초 부터 원서접수가 가능하고 보통 3월 초에 기한이 종료된다. * '''파트너쉽''' * '''파트너 대학교''': [[파리 고등사범학교]], 국립고등교량도로학교, 고등사회과학연구원, 파리 제1대학교 팡테옹 소르본 '''SIA[* 구 EDCBA: Economic Decision and Cost-Benefit Analysis] (Sustainable Impact Analysis, 지속가능성 영향 분석)''' * '''특징''': APE와 PPD가 경제 정책을 큰 틀에서 연구/개발 하는 과정이라 한다면 SIA 과정은 경제 정책과 투자결정의 지속가능성을 양적분석하는 과정이다. APE 그리고 PPD와 다른점은 공공의 경제 정책의 연구/분석을 하는것뿐만이 아니라 기업과 금융시장의 투자결정에 따른 영향을 분석한다는 점이다. 따라서 세분화된 미시경제 과목과 APE와 PPD에서는 제공되지 않는 금융과목들이 존재한다. 유럽의 ESG경영 열풍에 힘 입어 학생들의 프로필 스펙트럼이 굉장히 다양하다. 이 마스터 프로그램의 핵심은 기업체 또는 공공기관의 의뢰를 받아 지도교수와 함께 지속가능성 영향력 분석을 진행하는 '''Capstone Project'''[* [[https://www.parisschoolofeconomics.eu/en/teaching/masters-program/sia-master-sustainable-impact-analysis/capstone-projects-and-internships/|설명링크]]]이다. * '''과정''': APE, PPD와는 달리 프랑스식 M1-M2 학위가 아닌 영미권식 MSc 학위로서 1년 과정이다. 인턴쉽과 연구, 프로젝트, 논문을 포함하면 실제로는 1년 6개월 정도가 걸린다. * '''정원''': 10-20명 | 80%가 외국인(비 프랑스인)이고 20%가 프랑스인이다. (일부러 외국인을 더 뽑는 경향이 있다.) * '''경쟁률''': 합격률 약 20% | 외국인 학생을 유치 하려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12월 초 부터 7월 중순 까지 수시 접수(rolling basis)로 원서를 받는다. * '''파트너쉽''' * '''파트너 대학교''': 국립고등교량도로학교 * '''파트너 기관''': World Bank, KPMG, ART (프랑스 국토교통국), 라임, [[르노]], EDF, ENGIE, [[파리(프랑스)|파리]]시청 등 == 유명동문 == * [[에스테르 뒤플로]]: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교수, 2020년 파리 경제학교 초청교수, 2010년 존 베이츠 클라크 메달 수상, '''2019년 노벨 경제학상 수상'''[* 최연소 노벨경제학상 수상자(당시 47세)] * [[토마 피케티]]: 파리 경제학교 교수, [[21세기 자본]], 자본과 이데올로기의 저자 * [[에마뉘엘 사에즈]]: [[캘리포니아 대학교/버클리 캠퍼스]] 교수, 2009년 존 베이츠 클라크 메달 수상 * 가브리엘 쥐크만(Gabriel Zucman): [[캘리포니아 대학교/버클리 캠퍼스]] 교수 * 피에르올리비에 구랭샤(Pierre-Olivier Gourinchas): [[캘리포니아 대학교/버클리 캠퍼스]] 교수 * 다비드 테스마르(David Thesmar):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Sloan 경영대학원 교수 * 질 뒤랑통(Gilles Duranton):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교수 * 에마뉘엘 파리(Emmanuel Farhi): [[하버드 대학교]] 교수 * 스테파니 스탄체바(Stefanie Stantcheva): [[하버드 대학교]] 교수 * 그자비에 가베(Xavier Gabaix): [[뉴욕 대학교]] 교수 * 토마 필리퐁(Thomas Philippon): [[뉴욕 대학교]] 교수 * 티에리 마냐크(Thierry Magnac): 툴루즈 경제학교 교수 * 파트리크 레(Patrick Rey): 툴루즈 경제학교 교수 * 엘렌 레(Helene Rey): [[런던 비즈니스 스쿨]] 교수 * 카미유 랑데(Camille Landais): [[런던 정치경제대학교]] 교수 * 쥘리아 카제(Julia Cagé): [[파리 정치대학]] 교수 * 브누아 쾨레(Benoît Cœuré): 전 유럽 중앙은행 이사회 위원 == 순위 == [[https://ideas.repec.org/top/top.econdept.html|RePEc]](Research Papers in Economics)의 2020년 순위에 따르면 경제학 연구기관으로서의 순위는 세계 5위[* 순위 책정에 중요한 경제학 논문 수가 높다.], 유럽 1위이다. 법적으로 [[대학교]]가 아니고 [[학사]] 프로그램이 없는 단일 [[대학원]](Graduate School)이기 때문에 보편적으로 많이 알려진 [[QS 세계 대학 랭킹]]의 전체 랭킹에서는 찾기가 힘들지만 [[https://www.topuniversities.com/university-rankings/university-subject-rankings/2021/economics-econometrics|2021년 QS 세계 대학 랭킹 경제학 분야]]에서는 세계 40위, 유럽 11위를 기록하고 있다. [[분류:파리의 대학]][[분류:2006년 개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