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녹조식물문]][[분류:수산물]] [include(틀:식용 해조류)] ||<-2><#00cc00,#007700> '''{{{#FFF {{{+1 파래}}}[br]Sea lettuce}}}'''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파래.jpg|width=100%]]}}} || ||<#abf200,#456105> '''학명''' || ''' ''Ulva lactuca'' '''[br][[L.]] || ||<-2><#dbff12,#5b6b01> '''분류''' || ||<#d7ffce,#0f4a02> [[생물 분류 단계#계|{{{#000,#fff '''계'''}}}]] ||[[식물|식물계]](Plantae) || ||<#d7ffce,#0f4a02> [[생물 분류 단계#문|{{{#000,#fff '''문'''}}}]] ||녹조식물문(Chlorophyta) || ||<#d7ffce,#0f4a02> [[생물 분류 단계#강|{{{#000,#fff '''강'''}}}]] ||갈파래강(Ulvophyceae) || ||<#d7ffce,#0f4a02> [[생물 분류 단계#목|{{{#000,#fff '''목'''}}}]] ||갈파래목(Ulva Lactuca) || ||<#d7ffce,#0f4a02> [[생물 분류 단계#과|{{{#000,#fff '''과'''}}}]] ||갈파래과(Ulvaceae) || ||<#d7ffce,#0f4a02> [[생물 분류 단계#속|{{{#000,#fff '''속'''}}}]] ||갈파래속(''Ulva'') || ||<#d7ffce,#0f4a02> [[생물 분류 단계#종|{{{#000,#fff '''종'''}}}]] ||'''가시파래(''U. lactuca'')''' || [목차] [clearfix] == 개요 == 갈파래강 갈파래목 갈파래과의 [[녹조류]]. 갈파래속의 [[모식종]]이다. [[부영양화]]된 곳을 선호하는 습성 때문에 바닷가의 [[조간대]] 상부, 특히 민물이 흘러들어오는 곳에서 잘 자라며, 조용한 조수웅덩이 따위에서 큰 군락을 이루는 경우가 많다. 11월에서 3월이 제철이다. == 상세 == 파래는 향기가 많고 맛이 독특하여 파래 자체만으로도 먹지만, 특히 [[일본]]에서는 향을 돋구는 용도로 [[야키소바]][* [[심야식당]] 시즌1 에피소드 8에서 시만토강의 아오노리가 야키소바에 올려져 등장한다.]나 [[오코노미야키]] 등에 마지막에 뿌리는 용도로도 사용한다. [[한국]]에서는 데치거나 생으로 파래무침을 해먹거나, 김처럼 말려서 파래김자반으로 먹거나, 파래[[전(한국 요리)|전]]을 부치거나 등등 다양하게 활용된다. [[조류(수중생물)#원시색소체생물계|원시색소체생물계]](녹조류, 홍조류 등)는 대략 15억 년 전에 분화됐는데 반해 단편모생물역([[동물계]]와 [[균계]])은 대략 13억 년 전에 분화했기 때문에, 녹조식물인 파래와 홍조식물인 [[김(음식)|김]] 사이의 차이는 균계인 [[버섯]]과 동물계인 [[인간]] 사이의 차이보다 생물학적으로 더 큰 차이가 있다. 식용과 별개로 [[제주특별자치도]] 해안가는 구멍갈파래가 매년 밀려들어와서 지자체, 주민, 관광객 모두가 골머리를 앓고 있다. 수거를 해도 양이 워낙 많아서 한계가 있고 파래가 밀려들어오는 거 자체도 문제지만 그 파래가 썩으면서 풍기는 악취와 해충이 꼬여들어서 정말 심각하다. [[https://www.youtube.com/watch?v=tnAunopG2zI|2016년 기사]] [[https://www.youtube.com/watch?v=z4w5ISY6RY8|2020년 기사]] [[https://www.youtube.com/watch?v=ZmyI1-lfGTo|2022년 기사]] == 관련 문서 == * [[김(음식)|김]] * [[매생이]] * [[해조류]] * [[녹조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