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f {{{+1 파란농어}}}[br]Bluefish}}}'''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파란농어.jpg|width=100%]]}}} || || [[학명|{{{#000 '''학명'''}}}]] || ''' ''Pomatomus saltatrix'' '''[br]Linnaeus, 1766 || ||<-2> {{{#000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동물계]](Animalia) ||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척삭동물|척삭동물문]](Chordata) || || [[생물 분류 단계#강|{{{#000 '''강'''}}}]] ||[[조기어강]](Actinopterygii) || ||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고등어목(Scombriformes) || || [[생물 분류 단계#과|{{{#000 '''과'''}}}]] ||포마토무스과(Pomatomidae) || ||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파란농어속(''Pomatomus'')''' || || [[생물 분류 단계#종|{{{#000 '''종'''}}}]] ||'''파란농어(''P. saltatrix'')''' || [[파일:파란농어1.jpg]] [목차] == 개요 == [[고등어]]목 포마토무스과에 속하는 바다 [[어류]]의 일종. == 분류 == 파란농어는 현존하는 물고기들 중 포마토무스과에 속하는 유일종이다. [[멸종]]한 친척으로는 현재, [[신생대]] [[마이오세]] 후기에 살았던 '로파르 미오카이누스(''Lophar miocaenus'')'라는 종만이 알려져 있다. 한 때 [[게르치]]를 포마토무스과로 분류했던 적이 있었지만 이후 게르치는 별개의 과로 재분류되었다. == 상세 == 아열대 환경을 선호하는 물고기다. [[대서양]]과 [[인도양]]에 널리 분포해 있지만 [[태평양]] 쪽에는 남태평양을 제외하고는 서식 개체가 많지 않다. 보통 원양과 연안 근처에서 큰 떼를 지어 살지만, 어린 물고기들은 기수 지역에서 산다. 몸길이는 최대 1.3m, 무게는 14kg까지 자라는 대형 물고기로, 이름처럼 전체적으로 푸른빛을 띠고 있는 몸 색깔이 특징이다. 이빨은 크기가 전부 비슷하며 칼처럼 날카롭다. 암컷은 한 번에 4십만 개에서 최대 2백만 개의 무지막지한 양의 [[알]]을 낳는다. 치어는 [[플랑크톤]]을 주로 섭식하며 다 자라게 되면 작은 물고기나 오징어, 갑각류 등을 닥치는대로 잡아먹는다. 수명은 최대 9년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사람과의 관계 == [[등푸른 생선]]으로 잘 알려진 파란농어는 식용으로 사용되어 상업적 가치가 크다. 입질이 강하기 때문에 스포츠 낚시의 주요 대상이 되기도 하며, [[상어]]나 새치류와 같은 대형 어류를 낚시할 때 미끼로써 사용된다. 파란농어의 이빨은 상당히 날카롭기 때문에 살아있는 개체를 취급할 때 주의가 필요하다. 파란농어를 식용으로 쓰기 위해서 손질할 때 맨 손으로 취급하다가 이빨에 물려 부상을 입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되도록이면 두꺼운 장갑을 끼고 손질하는 것이 좋다. 또한 2006년에는 [[스페인]]의 알리칸테 주 해변가에서 7살짜리 어린 소녀가 바다에서 파란농어에게 물려 부상을 입은 사례가 존재한다. [[http://elpais.com/elpais/2006/07/14/actualidad/1152865025_850215.html|관련 기사]] 상업적 가치로 인한 지나친 남획으로 인해 개체수가 많이 줄어든 적이 있었다. 현재 파란농어는 IUCN 적색목록에서 취약(VU) 등급으로 분류되고 있다. [[분류:파란농어속]][[분류:생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