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Digital Dawn)] ||<-2> '''{{{+2 파란노을}}}[br]Parannoul''' || ||<-2>{{{#!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parannoul.webp|width=100%]]}}}|| || '''출생''' ||[[2001년]]|| || '''데뷔''' ||[[2020년]] [[1월 17일]][br]{{{-2 (데뷔일로부터 '''[dday(2020-01-17)]일'''째, '''[age(2020-01-17)]주년''')}}}|| || '''소속''' ||[[Longinus Recordings]]|| || '''링크''' ||[[https://parannoul.bandcamp.com|[[파일:Bandcamp 아이콘.svg|width=25]]]] | [[https://www.youtube.com/channel/UC7dSgh4tqzqk1bFxYW4If2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 [[https://parannoul.tistory.com|[[파일:티스토리 아이콘.svg|width=20]]]] | [[https://instagram.com/parannoul|[[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 [[https://m.soundcloud.com/parannoul|[[파일:사운드클라우드 아이콘.svg|width=24]]]] | [[https://linktr.ee/parannoul|[[파일:link_tree.svg|width=25]]]]|| || '''서명''' ||[[파일:파란노을 서명.svg|width=150]]|| [목차] [clearfix] == 개요 == >한국 어느 작은방에서 쏘아 올린 슈게이징의 새 미래 대한민국의 1인 인디 음악가. == 상세 == 이전에는 '끝이별'이라는 명의로 활동했었다. 2021년에 발매한 [[To See the Next Part of the Dream]]이 [[Rate Your Music]], [[스테레오검]], [[피치포크]] 등지에서 높은 평점을 받으면서 국내외 리스너들의 주목을 받기 시작했으며, 현재 한국 인디씬에서 음악적으로 최고의 평가를 받는 뮤지션 중 하나로 자리매김하였다. 2022년부터는 Mydreamfever라는 사이드 프로젝트로도 활동하였다. == 디스코그래피 == === [[파란노을/끝이별|끝이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파란노을/끝이별)] === 파란노을 === [include(틀:파란노을)] ==== 정규 ==== ===== [[Let's Walk on the Path of a Blue Cat]] ===== ||<-2>
'''{{{#white {{{+1 ''Let's Walk on the Path of a Blue Cat''}}}}}}''' || ||<-2>{{{#!wiki style="margin:-6px -10px" [[파일:a3692574322_16.jpg|width=100%]]}}}|| ||<-2> '''{{{#ffffff 발매일 : 2020. 01. 17 / 2021. 08. 23}}}''' || ||'''{{{#white 트랙}}}''' || '''{{{#white 제목}}}''' || ||01||오늘의 하늘은 맑음|| ||02||꿈속의 이명|| ||03||Path of a Blue Cat|| ||04||변해가는 의미|| ||05||Bright Dark, Lost Shoelaces, One Year of Failure|| ||06||혼자 걷는 숲|| ||07||Tone After Tone|| ||08||Reincarnation|| ||09||사라지는 의미|| ||10||The Next Day|| ===== [[To See the Next Part of the Dream]] ===== ||<-2>
'''{{{#white {{{+1 ''To See the Next Part of the Dream''}}}}}}''' || ||<-2>{{{#!wiki style="margin:-6px -10px" [[파일:600x603434343.jpg|width=100%]]}}}|| ||<-2> '''{{{#ffffff 발매일 : 2021. 02. 23 / 2021. 04. 19}}}''' || || '''{{{#white 트랙}}}''' || '''{{{#white 제목}}}''' || ||01||아름다운 세상|| ||02||변명|| ||03||아날로그 센티멘탈리즘|| ||04||흰천장|| ||05||To See the Next Part of the Dream|| ||06||격변의 시대|| ||07||청춘반란|| ||08||엑스트라 일대기|| ||09||Chicken|| ||10||I Can Feel My Heart Touching You|| ===== [[After the Magic]] ===== ||<-2>
'''{{{+1 ''After the Magic''}}}''' || ||<-2>{{{#!wiki style="margin:-6px -10px" [[파일:afterthemagic.jpg|width=100%]]}}}|| ||<-2> '''{{{#000000 발매일 : 2023. 01. 28}}}''' || ||01||북극성|| ||02||불면증|| ||03||도착|| ||04||우리는 밤이 되면 빛난다|| ||05||Parade|| ||06||스케치북|| ||07||Imagination|| ||08||Sound Inside Me, Waves Inside You|| ||09||개화|| ||10||After the Magic|| ==== 라이브 ==== ===== [[After the Night]] ===== ||<-2>
'''{{{+1 ''After the Night''}}}''' || ||<-2>{{{#!wiki style="margin:-6px -10px" [[파일:After the Night.jpg|width=100%]]}}}|| ||<-2> '''{{{#ffffff 발매일 : 2023. 03. 25}}}''' || ||01||북극성|| ||02||아름다운 세상|| ||03||아날로그 센티멘탈리즘|| ||04||그곳에는 낭만이 있다|| ||05||Imagination|| ||06||I Can Feel My Heart Touching You|| ||07||흰천장|| ||08||Into the Endless Night|| ==== EP ==== ===== [[White Ceiling / Black Dots Wandering Around (2022)|White Ceiling / Black Dots Wandering Around]] ===== ||<-2>
'''{{{#white {{{+1 ''White Ceiling / Black Dots Wandering Around''}}}}}}''' || ||<-2>{{{#!wiki style="margin:-6px -10px" [[파일:a1750016554_16.jpg|width=100%]]}}}|| ||<-2> '''{{{#ffffff 발매일 : 2022. 02. 23 / 2022. 03. 08}}}''' || ||01||도피처|| ||02||언젠가|| ||03||그곳에는 낭만이 있다 || ||04||흰천장 (demo)|| ||05||성장통 || ||06||Ending Credit || >안그래도 조악했던 작년 앨범에서 조차도 걸러진 비사이드 곡들을 모은 EP입니다. [[https://parannoul.tistory.com/m/32|앨범 소개]]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postrockgallery&no=687757|앨범 가사]] ==== 싱글 ==== ===== Into the Endless Night ===== ||<-2>
'''{{{#white {{{+1 ''Into the Endless Night''}}}}}}''' || ||<-2>{{{#!wiki style="margin:-6px -10px" [[파일:intotheendlessnight.jpg|width=100%]]}}}|| ||<-2> '''{{{#ffffff 발매일 : 2021. 08. 21 / 2022. 03. 29}}}''' || ||01||Into the Endless Night || ||02||Into the Endless Night (take 2) || >오랫동안 묵혀놨다가 앨범에 넣을 각이 안보여서 싱글로 발매한 곡입니다. take 2 버전은 2020년에, 완성된 버전은 2021년에 만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컴필레이션 및 콜라보 ==== ===== Downfall of the Neon Youth ===== ||<-2>
'''{{{#white {{{+1 ''Downfall of the Neon Youth''}}}}}}''' || ||<-2>{{{#!wiki style="margin:-6px -10px" [[파일:파란노을-downfalloftheneonyouth.jpg|width=100%]]}}}|| ||<-2> '''{{{#ffffff 발매일 : 2021. 10. 22}}}''' || ||01||Nails|| ||02||Insomnia|| ||03||todos os sonhos que eu tive|| ||04||Phone Ringing on Corridor|| ||05||Colors|| ||06||tons de azul|| ||07||one May Be Harming|| ||08||vento caminha comigo|| ||09||70 Seconds Before Sunrise|| ||10||Love Migraine|| >이 앨범은 4명의 다른 사람들 사이의 우정과 동료를 나타냅니다. 그것은 우리의 야망, 슬픔, 희망, 실패, 그리고 소리로 증류된 우리의 성취입니다. > >들어줘서 고맙습니다, 이건 당신들 없이는 할 수 없었을 겁니다. With. [[Asian Glow]] & [[sonhos tomam conta]] ===== [[Paraglow]] ===== [include(틀:피치포크, 링크=https://pitchfork.com/reviews/albums/asian-glow-parannoul-paraglow-ep/, 점수=7.4)] ||<-2>
'''{{{#white {{{+1 ''Paraglow''}}}}}}''' || ||<-2>{{{#!wiki style="margin:-6px -10px" [[파일:a2616544444_10.jpg|width=100%]]}}}|| ||<-2> '''{{{#ffffff 발매일 : 2022. 09. 21 / 2022. 10. 13}}}''' || ||01||손|| ||02||흰자|| ||03||늪|| ||04||운​전​대|| >파란노을과 [[아시안 글로우]]의 합작. [[https://parannoul.tistory.com/m/54|후기]] === [[Mydreamfever]]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Mydreamfever)] == 참여 == === 앨범 === * [[Della Zyr]] - 모호함 속의 너 Nebulous You[* Featuring Vocal] (2022. 12. 15) === 컴필레이션 === * Throught the Soil II - [[https://m.youtube.com/watch?v=7pE1Q0e5M4o|Lost and Found]] (2022. 06. 22) * [[Digital Dawn]] Compilation - Circumstances Telling Me Who I Am (2022. 08. 14) * the light - [[https://postcard-nowhere.bandcamp.com/track/your-place?search_item_id=1638364660&search_item_type=t&search_match_part=%3F&search_page_id=2880802514&search_page_no=0&search_rank=12&logged_out_mobile_menubar=true|Your Place]] (2022. 08. 19) * End of the Year : Red Heart / New Year : Black Heart - A Glowcord Compilation - [[https://glowcord.bandcamp.com/track/again?search_item_id=2264061912&search_item_type=t&search_match_part=%3F&search_page_id=2394062708&search_page_no=0&search_rank=23&logged_out_mobile_menubar=true|일출]] (2023. 01. 01) * we share the same insects: an i became birds tribute compilation - [[https://homeiswhere.bandcamp.com/track/long-distance-conjoined-twins-omphalopagus-mix?search_item_id=2026416261&search_item_type=t&search_match_part=%3F&search_page_id=2467165977&search_page_no=0&search_rank=24&logged_out_mobile_menubar=true|long distance conjoined twins (Omphalopagus Mix)]] (2023. 03. 05) * Xtalline : 001 - [[https://eneiongaku.bandcamp.com/track/acryl|Acryl]] (2023. 07. 21) === 피쳐링 === * UTERO - 空白 (2022. 03. 09) * Fax Gang - Four Walls (2022. 05. 27) * nouns - AMITA DRIVE (2022. 08. 19) * TURQUOISEDEATH - Dive (2023. 06. 16) == 공연 == * [[https://m.youtube.com/watch?v=KatYKMKa_Vc|Asian Rolling Music Festival]][* 공식 첫 라이브지만 관객 앞에서 한 게 아닌 방구석에서 했으며 영상으로 대체했다.] (2021. 11. 12 / GIMA) * [[Digital Dawn]] (2022. 08. 14 / 롤링홀) * After the Night[* 단독공연][* [[https://parannoul.tistory.com/m/61|후기]]] (2023. 01. 14 / [[상상마당]]) === 게스트 === * Snow Sequence (게르다 단독공연)[* 미발표곡 하나 부르고 갔다.] (2023. 02. 04 / 벨로주 홍대) == 여담 == * 얼굴, 이름 등 자신의 정보가 공개되는 것을 꺼리는 것으로 보인다.[* 서울에 사는 재수생이라는 정보밖에 공개하지 않았다.][* 현재는 언젠가 나중에 공개할 생각이 있다고 한다.] * 끝이별 시절 때 [[포스트락 마이너 갤러리]]에서 활동했었다.[* 고정닉으로는 번역글을 주로 올렸고, 음방에 참여했었다. 현재는 잘 들어가진 않는다고 한다.] * [[https://gall.dcinside.com/m/postrockgallery/533343|시부야의 전광판에 등장했다.]][* 'NEO SHIBUYA TV'라는 예술 프로젝트의 일환이라고 한다.] * 사용하는 [[DAW]]는 [[Studio One]] 5이고 노트북은 [[LG 울트라 PC]], 마스터 키보드는 Komplete Kontrol A61, 오디오 인터페이스는 MOTU M2이다. * 기본 음악 색깔로 쓰이는 VST로 기타는 Evolution Strawberry, 드럼은 Addictive Drums 2를 쓴다고 한다. * 애니 노래와 [[버튜버]]도 은근 좋아한다. 가장 좋아하는 게임은 [[팀 포트리스 2]]라고 했으며 애니는 [[다다미 넉 장 반 세계일주]], 영화는 [[릴리 슈슈의 모든 것]]과 [[월-E]]. . * [[Digital Dawn]]에서 처음으로 얼굴을 공개했다.[* 리스너들이 흔히 상상한 너드 같은 이미지와는 다르게 은근 듬직한 체형이라 놀랐다는 얘기가 있다. 다만 공연 시 직접적인 촬영은 금지하고 있다.] * 활동 초기 시기에는 부모님이 음악하는 걸 모르시다가 나중에 알게 되었다고 한다. * 파란노을이란 활동명은 나의머리카락뭉치의 노래 가사를 따와서 짓게 됐다고 한다. * 군 미필이다. * MBTI는 [[INFP]]라고 한다. [[분류:파란노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