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마법사족]][[분류:유희왕/OCG/튜너]][[분류:푸른 눈]] [[유희왕/OCG]]의 하급 튜너 몬스터 카드. [include(틀:관련 문서, top1=파란 눈(유희왕))] [목차] == 설명 == [[파일:青き眼の乙女.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튜너=, 효과=, 한글판명칭=파란 눈의 소녀, 일어판명칭=(あお)()乙女(おとめ), 영어판명칭=Maiden with Eyes of Blue, 레벨=1, 속성=빛, 종족=마법사족, 공격력=0, 수비력=0, 효과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1턴에 1번\, 어느 쪽이든 1개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2=①: 필드의 앞면 표시의 이 카드가 효과의 대상이 되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패 / 덱 / 묘지에서 "푸른 눈의 백룡" 1장을 고르고 특수 소환한다., 효과3=②: 이 카드가 공격 대상으로 선택되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그 공격을 무효로 하고\, 이 카드의 표시 형식을 변경한다. 그 후\, 자신의 패 / 덱 / 묘지에서 "푸른 눈의 백룡" 1장을 고르고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푸른 눈의 백룡의 강림]]에 등장한 [[푸른 눈의 백룡]]의 서포트 카드이자 최초의 "[[파란 눈(유희왕)|파란 눈]]" 카드. 이 쪽도 [[하늘빛 눈의 은룡]]처럼 기존의 푸른 눈과는 쓰는 방법이 다르다. 아직 [[푸른 눈]]이 카드군이 되기 전에 나온 카드라 "푸른 눈"이 아닌 푸른 눈의 백룡을 콕 찝어 대상으로 지정하고 있는 유일한 파란 눈이다. 대신 효과의 범위가 패 / 덱 / 묘지 중 한 곳으로 한정되는 후속 파란 눈과 다르게 3곳 모두를 대상으로 하여 제일 넓다. 이 카드가 처음 나왔을 적에 유희왕의 팬들은 [[카이바 세토|사장]]의 [[키사라(유희왕)|신부]]가 OCG화되었다는 소식에 '''드디어 올 것이 왔군'''이라는 반응을 보여주었다. ①의 효과는 카드의 효과로 이 카드를 대상으로 지정하는 순간, [[푸른 눈의 백룡]]을 특수 소환하는 [[유발 효과]]. 대상을 지정하지 않는 카드라도 가지지 않은 이상 푸른 눈의 백룡의 특수 소환을 막는 것은 상당히 힘들다. 물론 현 환경에서는 그러한 카드의 수가 대폭 늘어나기는 했지만 여전히 무시 못 할 수준의 강력한 효과다. 이 효과의 경우 굳이 상대가 아니더라도 대상으로 지정만 된다면 발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자신의 카드로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 효과와 가장 흉악한 조합을 자랑하는 건 단연 '''[[원더 원드]].''' 패 2장으로 덱에서 공격력 3000짜리 어태커를 소환하고 그렇게 압축된 덱에서 2장 드로우. 만일 이 카드의 2번 효과가 체인 2에 놓인다면, 그렇게 해서 소환된 푸른 눈의 백룡은 타이밍 때문에 소환 반응형 카드를 맞지 않는다. [[파란 눈의 현사]] 발매 후에는 파란 눈의 현사로 이 카드를 지정한 후, 이 카드의 효과를 발동해 푸른 눈의 백룡 2장을 부르는 흉악한 짓이 가능하다. 하지만 ~때에 발동하는 임의 효과라 혹시 이 카드를 지정하는 대상 지정 효과에 다른 효과를 체인해서 발동한다면 타이밍을 놓쳐 이 카드의 효과를 발동할 수 없으니 조심해야한다. ②의 효과는 공격 대상이 되었을 때, 그 공격을 무효화하고 이 카드의 표시 형식을 변경한 후에 푸른 눈의 백룡을 특수 소환하는 [[유발 효과]]. 공격하면 이 카드가 공격은 공격대로 무효화, 그리고 이 카드는 수비 표시로 변경되면서 푸른 눈의 백룡이 나오기 때문에 푸른 눈의 백룡을 제거할 방법이 없으면 사실상 락이 된다. 설령 상대가 푸른 눈의 백룡을 파괴해도 이 카드 자체는 표시 형식이 변경되는 것을 제외하면 어떤 영향도 받지 않는다. 이 효과에 대해서는 비슷한 효과를 가진 [[데코이 드래곤]]과 마찬가지로 상대가 괜히 이 카드를 공격해서 어드밴티지를 제공해 줄 리가 없으니 이 효과는 어디까지나 상대의 공격을 막는 억지력과 2번 효과를 유도하기 위한 포석으로만 생각하자. 또한 공격한 몬스터가 도중에 수비 표시가 되거나 필드에서 벗어나는 등 공격을 무효화할 수 없었다면 표시 형식 변경도 못하고 푸른 눈의 백룡 특수 소환도 못 한 채 이 카드는 공격력 0의 샌드백이 되니 주의. 그리고 푸른 눈의 백룡 특수 소환은 어디까지나 선택이라 특수 소환을 못 해도, 푸른 눈의 백룡이 없어도 공격 무효와 표시 형식 변경까지는 얼마든지 가능하다. 이 외에도 사용할 수 있는 조합으로는 1. [[델타 플라이]]의 효과 대상으로 지정해 푸른 눈의 백룡을 특수 소환한 후, 델타 플라이와 푸른 눈의 백룡으로 [[성태룡]]을 싱크로 소환. 1. [[스타 브라이트 드래곤]]의 효과 대상으로 지정해 푸른 눈의 백룡을 특수 소환한 후, 파란 눈의 소녀와 스타 브라이트 드래곤으로 레벨 7 싱크로 소환. 1. [[신룡기사 펠그란트]]의 효과를 자신 / 상대 턴에 파란 눈의 소녀에게 사용해 다음 턴에 푸른 눈의 백룡 2장으로 랭크 8 엑시즈 소환. 1. [[용혼의 성]]으로도 3과 비슷한 상황을 만들 수 있고 , 성공만 한다면 신룡기사 펠그란트를 엑시즈 소환할 수 있다. 1. 속공 마법인 [[마도서(유희왕)#토라의 마도서|토라의 마도서]]를 소녀에게 사용하는 형식의 백룡마도. 1. [[EM(엔터메이트)|EM 깜짝 깨구리나 EM 락다운, 또는 EM 파트나가]]를 채용해 능동적으로 매 턴마다 파란 눈의 소녀의 효과를 사용하는 방식.[* EM 발매 전에는 [[포지션 체인지]]가 이 역할을 맡고 있었다.] 1. [[섬광룡 스타더스트]]의 효과 대상으로 지정해 푸른 눈의 백룡을 부르고 푸른 눈의 백룡과 파란 눈의 소녀로 하늘빛 눈의 은룡을 싱크로 소환하거나 푸른 눈의 백룡과 섬광룡 스타더스트로 랭크 8 엑시즈 소환하는 방법. 1. [[디멘션 매직]]의 효과로 릴리스할 때 대상으로 지정해서 푸른 눈의 백룡을 부르고 패에서 마법사족 몬스터 특수 소환하고 필드의 몬스터를 고르고 파괴하는 방법. 1. [[파란 눈의 현사]]의 효과 대상으로 지정한 뒤 프리 체인으로 파란 눈의 소녀를 발동해 푸른 눈의 백룡을 뽑고 이어서 현사의 효과로 푸른 눈 몬스터를 뽑아낸다. 이후 그대로 쓰거나 8랭크 액시즈를 몬스터를 소환할 수 있다.|| 하지만 [[No.104 마스커레이드 매지션 샤이닝]], [[포톤 스트리크 바운서]], [[No.107 갤럭시아이즈 타키온 드래곤]], [[성태룡]], [[SNo.39 유토피아 더 라이트닝]] 등의 몬스터 효과를 무효화하거나 발동할 수 없게 하는 몬스터가 있을 경우에는 그냥 끝난다. 그 외에도 [[No.61 볼카사우루스]]는 그대로 푸른 눈의 백룡을 효과의 먹이로 삼을 수 있기 때문에 위험하다. 만약 이 카드가 수비 표시였으면 전투 데미지로 2500 데미지, 효과 데미지로 3000을 받아서 푸른 눈의 백룡도 못 살리고 5500 데미지만 받는다. [[정의의 아군 카이바맨]], [[고대의 룰]]이나 [[추억의 그네]], [[정통한 혈통(유희왕)|정통한 혈통]], [[붉은 눈의 암흑 메탈 드래곤]] 등 지금껏 푸른 눈의 백룡을 특수 소환할 방법은 많았지만 안정성이 떨어졌던 본질적인 문제에 대한 정확한 해결책을 내지 못했다는 점 때문에 푸른 눈의 백룡을 소환하는 취지로는 쓰기가 조금 껄끄러운 면이 없지 않다. 푸른 눈의 백룡을 패 / 덱 / 묘지에서 특수 소환한다는 것뿐 아니라 튜너라는 점에서 [[전설의 백석]]과 많이 비교된다. 전설의 백석은 '덱에서만' 푸른 눈의 백룡을 '패로 가져오는 것'이지만, 이 카드는 '패 / 덱 / 묘지'에서 푸른 눈의 백룡을 '특수 소환'한다. 또한 전설의 백석은 묘지로 갔을 때 그 진가를 발휘하지만 이 카드는 필드에 있을 경우에 알아서 푸른 눈의 백룡을 특수 소환해 준다. 그 외에, 이 카드는 기본적으로 드래곤족 서포트를 못 받는다는 문제점이 있으나, 전체적인 성능이나 안정성으로 따지면 전설의 백석 쪽이 썩 좋은 것도 아니다. 한때, 레벨 1 마법사족 튜너라는 강점에 주목한 [[마도(유희왕)|마도]] 유저들에 의해서 마도 덱에 투입되어서 신나게 악용당하고는 했었지만, 이 모든 깽판을 가능케 했던 [[마도서의 신판]]이 지옥으로 떠남으로 드디어 제 역할을 하게 되었다. 물론 아직까지도 얘가 마도에서 유용하게 잘 쓰인다는 느낌은 든다. 2016년 4월 1일 금제 이후 순수 푸른 눈 덱이 티어권으로 뛰어오를 것이라는 예상이 있었고, 실제로 그렇게 되었으나, 이 카드는 우승 덱에 투입되지 못하고 있다. [[조화의 패]]라는 훌륭한 드로우 가속 카드를 활용할 수 있고 그 자체의 효과도 강력한 [[태고의 백석]]과 그냥 만능인 [[파란 눈의 현사]]에게 밀렸다. 아무래도 혼자서는 아무것도 못 하는 수동적인 효과를 가지고 있는 점이 큰 듯하다. 그래도 쓰겠다면 지금도 쓸 수 있는 카드이다. 우승 덱에는 안 보이지만 실용성은 있다. 한편 마법사족 1레벨이라는 이 특징은 [[점쟁이 마녀 히카리]]를 드로우하는 것으로, 덱에서 특소를 가능케 한다.(히카리 드로우 시 특소>히카리를 묘지로 보내고 파란 눈의 소녀 특소) V점프 1월호 동봉 카드로 진화형으로 추정되는 [[파란 눈의 무녀]]의 발매로 [[푸른 눈]]이 카드군화되었고, 이어서 이 카드처럼 [[파란 눈(유희왕)|파란 눈]] 시리즈인 빛 속성 튜너 몬스터들도 등장하게 되었다. 이 카드와의 상성은 당연 [[파란 눈의 현사]]가 독보적이다. 패에 현사와 이 카드가 잡힐 경우, 이 2장만으로 엑스트라 덱에서 [[푸른 눈의 쌍폭렬룡]] 특수 소환, 레벨 9 싱크로 소환, 랭크 8 엑시즈 소환, 링크 소환등 다양한 소환을 할 수 있다. 자세한 사항은 [[파란 눈의 현사]] 문서 참조. 단, 이 카드는 Blue-Eyes로 읽지 않기에 푸른 눈 카드군에는 속하지 않는다. 초창기에 파란 눈의 호인, 무녀, 은룡이 푸른 눈에 1차 지원 격으로 왔을 때에는 이 카드가 너무 OP라서 안 나왔으나, [[JUDGEMENT FORCE]]에서 UR 등급으로 등장하게 되었다. 하지만 이미 인플레가 격화되었고, 효과 무효 계열 카드들이나 비대상 효과들이 많아진 현재에 티어 덱에 안 들어가거나 넣더라도 단 1장 정도만 넣는다. 일러스트나 [[푸른 눈의 백룡]]과의 관련성을 보면, 원작 [[유희왕]]의 왕의 기억 편에 등장한 [[키사라(유희왕)|키사라]]를 모티브로 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 카드의 효과 또한 원작에서 키사라가 자신이나 [[세토(유희왕)|세토]]가 위기에 빠진 순간 그녀에게 깃든 정령인 [[푸른 눈의 백룡|흰 용]]을 불러낸 것에서 따온 것으로 보인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푸른 눈의 백룡의 강림|-青眼龍轟臨-]] || SD25-JP005 || [[슈퍼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골드 시리즈|GOLD PACK 2016]] || GP16-JP002 || [[골드 레어]][br][[골드 레어|골드]] [[시크릿 레어]] || 일본 || || || [[듀얼리스트 팩|デュエリストパック-レジェンドデュエリスト編3-]] || DP20-JP008 || [[노멀]] || 한국 || ||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푸른 눈의 백룡의 강림|Saga of Blue-Eyes White Dragon]] || SDBE-EN006 || [[슈퍼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스트럭처 덱(유희왕)|스트럭처 덱]] -[[푸른 눈의 백룡의 강림]]- || SD25-KR005 || [[슈퍼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듀얼리스트 팩|듀얼리스트 팩 - 레전드듀얼리스트 편 3 -]] || DP20-KR008 || [[노멀]] || 한국 || || == 관련 문서 == === [[푸른 눈의 백룡]] === === [[파란 눈의 무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