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이베리아 국왕)] ||<-3><#808000> '''{{{#FFF 이베리아 왕국 15대 군주}}}''' [br] {{{+2 {{{#FFF '''ფარსმან | 파라스마네스 3세'''}}}}}} || ||<|3><#808000> '''{{{#FFF 제호}}}''' ||<#808000> '''[[한국어|{{{#FFF 한국어}}}]]''' ||파라스마네스 3세 || ||<#808000> '''[[조지아어|{{{#FFF 조지아어}}}]]''' ||ფარსმან || ||<#808000> '''[[라틴어|{{{#FFF 라틴어}}}]]''' ||Pharasmanes III || ||<-2><#808000> '''{{{#FFF 생몰 년도}}}''' ||미상 ~ 185년 || ||<|4><-2><#808000> '''{{{#FFF 재위 기간}}}''' ||163년 ~ 185년 || [목차] [clearfix] == 개요 == [[이베리아 왕국]] 15대 군주. == 생애 == 이베리아 왕국 14대 군주 [[가담]]과 가다나의 아들이다. 163년 아버지가 재위 3년만에 사망했을 당시 1살밖에 안 됐기 때문에, 어머니 가다나가 섭정했다. 일각에서는 로마 황제 [[안토니누스 피우스]] 시대에 로마를 방문하여 영예를 얻고 자신의 기마상이 벨로나 신전에 세워지게 한 파라스메네스 왕이 [[파라스마네스 2세]]가 아니라 그였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이 일화를 전한 [[히스토리아 아우구스타]]는 이 왕이 [[하드리아누스]] 황제와 심한 갈등을 벌였던 그 왕이라고 기술했으며, 역시 이 일화를 적은 [[디오 카시우스]]는 하드리아누스 황제와 갈등을 벌였던 파라스마네스 왕과 안토니누스 피우스에게 환대받은 파라스마네스 왕이 다른 왕이라고 명시하지 않았다. 이에 여러 조지아 역사가들은 히스토리아 아우그스타의 기술이 옳다고 본다. 반면 키릴 토르마노프 등은 파라스마네스 2세는 132년에 독살당했고 144년 또는 154년에 이 같은 영예를 누린 왕은 그였을 거라고 주장한다. 하지만 기록이 부실한 까닭에 어느 쪽이 옳은지는 분명하지 않다. 185년경 사망했으며, 사후 [[아마자습 2세]]가 왕위에 올랐다. [[분류:이베리아 국왕]][[분류:185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