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버블보블 문서)] [[파일:parasol_stars.jpg|width=320]] Parasol Stars : The Story of Bubble Bobble 3 [목차] == 개요 == [[타이토]]에서 [[PC엔진]]용으로 제작된 [[버블보블]]의 속편이자 [[레인보우 아일랜드]]의 속편. 일부 오락실에서는 시간제로 가동하기도 했다. 부제가 The story of Bubble Bobble 3이라고 붙어있다. [[아미가]]용과 [[아타리 ST]]용을 비롯한 Ocean사의 이식판은 The story of Rainbow Islands 2라고 불렀다. 이유는 Ocean에서는 레인보우 아일랜드와 이 게임의 이식 및 퍼블리싱을 했으나 버블보블은 해당 기종으로 이식 및 퍼블리싱을 Firebird Software라는 다른 곳에서 했기 때문. 버블보블의 엔딩 이후 인간이 된 주인공들이 이번에는 파라솔을 들고 우주 곳곳을 돌아다니는 스토리. 그래서 이번에는 무기로 파라솔을 사용한다. 이 파라솔은 전작 레인보우 아일랜드에서 레인보우 아일랜드를 구한 공으로 주인공들한테 주어진 것. 공격과 방어 모두 가능한 만능 아이템이다. == 배경 스토리 == >옛날, 옛날───. 단신으로 마물의 동굴에 들어가 그 동굴을 봉인한 전설의 영웅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한 마리 마물을 놓친 것을, 그 영웅은 눈치채지 못했습니다. >도망친 마물은, 암흑의 힘을 쌓고, 나아가서는 동굴의 봉인조차 깨뜨릴 힘을 얻었습니다. >그 마물의 이름은, 「시간의 마왕」───. > >숙적 「슈퍼 스컬」을 쓰러뜨리고, 마을 사람들을 구한 버비와 보비. 그들의 고향 「레인보우 아일랜드」에도 겨우 평화가 찾아왔습니다. >두 사람은 레인보우 아일랜드의 영웅으로서 칭송 받아, 마법의 양산을 그 「증표」로서 받았습니다. >원래 마법사의 피를 이은 두 사람은, 더욱 새로운 마법을 익히려고 수행에 힘쓰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어느 날의 일입니다. >여기, 레인보우 스타 주변에 있는 별들이 SOS를 발하고 있는 것이 아닙니까. 아무래도 「슈퍼 스컬」의 공격을 받은 것은 여기만이 아니었던 것 같습니다. >자, 용기와 우정과 파라솔을 가지고 새로운 모험을 떠납시다! == 게임 진행 == [[파일:attachment/parasol.png]] PC엔진판 오리지널을 기준으로 총 8개의 월드(숨겨진 월드까지 합치면 10개), 월드당 7개의 스테이지(7스테이지는 보스전) 구성의 면클리어형 플랫폼 게임이다. 버비와 보비는 파라솔을 들어올리거나 앞으로 밀면서 중형 이하의 적을 들어올려서 던질 수 있고, 적 외에도 맵의 특정 부분에서 떨어지는 마법방울을 모아서 일직선으로 쏘는 형태로 공격한다. 몬스터는 소형, 중형, 대형 구분이 있어서 중형까지는 파라솔로 직접 들어서 처리할 수 있지만 대형은 맞춰서 기절시키지 않는 이상 파라솔로 들어올릴 수 없다. 몬스터마다 일정 내구치가 있어서 내구치에 해당하는 공격을 맞으면 기절 상태가 되며, 기절 상태의 몬스터나 일정 내구치를 넘는 날리기 공격이 들어가면 수평방향 일렬에 있는 몬스터를 연쇄로 날릴 수 있다. 파라솔 공격은 일직선으로만 날아가고 벽에 맞으면 튕겨나가 연쇄가 끊어진다. 연쇄를 성공할 경우 버블보블과 같이 2,000점에서 배율로 들어가며, 시스템상 최대 7연쇄만 가능했던 버블보블과 달리 8연쇄 이상도 가능하며, 7연쇄(64,000점) 이상일 경우 100,000점이 올라간다. 다만 그 이상은 올라가지 않는다. 높은 연쇄를 이을수록 스코어 어택은 물론이고 특수 아이템 등장도 영향을 미치므로 버블보블과 달리 적들이 한번 기절하면 유지 시간이 긴 점을 이용해 기절한 적들을 잘 밀어서 일렬로 깔아두고 고연쇄를 노리면 된다. 주 공격수단은 중형 이하 몬스터와 필드 곳곳에서 떨어지는 작은 방울. 작은 방울은 공격수단일 뿐 아니라 방울을 쏘면 맵의 특정 장소에서 나타나는 필드 아이템들이 등장하고, 아이템에다 방울(또는 몬스터)를 던지면 아이템을 획득할 수 있다.[* 단순한 필드 아이템이지만, 10점부터 시작해서 지속적으로 던질수록 고득점 아이템들이 나오고 1만점이 넘어가면 컨티뉴를 늘려주는 [[100엔 주화|100엔 동전]]이 나온다. [[스코어링]]이나 이어하기를 위해 필수적으로 활용해야 할 시스템이다.] 물론 특수 아이템도 동일하게 먹을 수 있다. 물방울을 5개 모으면 거대 물방울이 되는데, 이는 전작 버블보블의 특수 물방울 같은 공격을 할 수 있게 된다. 종류는 물, 불, 번개, 별 4종류이며 이 공격은 대형 몬스터도 한 번에 처치한다. 또한 보스전은 1편과 마찬가지로 물약을 먹은 뒤 방울로 공격한다. 보스전 물약을 먹으면 우산을 들면 자동으로 해당 속성이 모이며 '''반드시 거대 물방울로 공격하여야 클리어 가능하다.''' 물, 불, 번개는 전작 버블보블과 동일한 효과이며, 새로 추가된 별 방울은 사용하면 별 5개가 원을 그리며 날아가는 공격으로 성능은 '''일반 스테이지에서는''' 4개 마법 중 가장 뛰어나다. 후술하겠지만 보스전에서는 반대로 별이 가장 약하고 물이 가장 강하다. 물로 깨는 보스는 HP가 아무리 많아도 4 이상을 넘지 않는다. 불 및 번개로 깨는 보스는 5~10 내외 이지만 별로 깨는 보스는 HP가 최소 12~20이다. === 잔기 시스템 === 전작과 달리 E.X.T.E.N.D 대신 물, 불, 번개, 별의 4가지 문장을 3개 먹어서 [[1UP]]을 하게 되는데([[슈퍼 마리오 브라더스 3]]와 유사) 같은 문장을 2개까지 먹고 잔기 추가되었을 때는 해당 스테이지 몬스터 전원이 기절하고, 같은 문장 3개를 먹으면 모든 몬스터들이 10만점짜리 거대 아이템으로 변하며 이후 월드 보스를 쓰러뜨렸을 때 비밀문이 출현한다.[* 물 문장 - 산딸기,(1편에 있던 딸기와 외형이 다르다.) 번개 문장 - 에클레어, 불 문장 - 감자튀김, 별 문장 - 돈자루] 안에는 어떤 문장을 모았냐에 따라 다른 아이템이 등장한다. 또한 스테이지 내 숨겨진 구간을 긁다보면 나오는 100엔짜리 동전은 크레딧 1개가 추가된다. 물 문장의 경우 거대한 수정구슬이 뜨는데, 전작 버블보블과 동일하게 다음 월드에서 특수 아이템과 문장이 스테이지 시작하자마자 출현한다. 번개 문장의 경우 금색 방울이 뜨고, 역시 다음 월드 전체 스테이지에서 섬멸 아이템이 뜰 때 빨갛게 번쩍이며 예고가 뜬다. 불 문장의 경우 황금 램프가 뜨고, 획득 시 스테이지 내 숨겨진 구간을 긁으면 나오는 아이템이 전부 10,000점 돈자루로 고정된다.[* 무조건 10000원 돈자루만 나오기 때문에 '''보스전까지 크레딧을 단 하나도 받을 수 없는 큰 단점이 있다.'''] 별 문장 3개 모았을 경우, 크레딧 5개짜리 거대 동전을 얻을 수 있다. === 최강 아이템 === 매 77스테이지 클리어마다(카운트는 내부에서 누적되며, 전원을 꺼도 유지된다) 등장하는 '''무지개 진주목걸이'''를 먹으면 즉시 별 3개 문장을 획득하고, 이 때 스테이지 보스 이후의 비밀문에서는 크레딧 99개짜리 거대 동전을 얻을 수 있다.[* 다만, 월드 8에서는 비밀문이 아이템 획득문이 아닌 월드 9로 진입하는 비밀문이므로 월드 8에서 무지개 진주목걸이를 획득하여도 월드 9로 진행될 뿐이며 크레딧 99개는 획득할 수 없다.] === 진엔딩 조건 === 또한 월드 8에서 문장 3개를 먹은 상태로[* 8월드에서는 별, 화염 방울만 떨어지므로 이 2개만 가능.] 클리어하면 숨겨진 월드인, 버블 스타 및 언더월드로 진입 가능하다. 구작 버블보블의 몬스터들이 대거 출연하며, 진 엔딩 역시 10탄을 클리어해야 나온다. 최종적으로는 10월드 70스테이지 구성. === 크레딧 추가 방식 === 해당 게임은 에뮬 구조상 자체적으로 코인 삽입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크레딧을 게임 진행 도중 추가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스테이지에 방울을 쏘면 줄지어 등장하는 숨겨진 아이템 중 '''100엔짜리 동전'''을 먹으면 크레딧 1개 추가되는 방식이다. 스테이지에 방울을 쏴서 먹는 아이템은 불규칙하게 등장하지 않고 일정한 규칙을 가지고 있다. 가장 점수가 낮은 채소 아이템부터 시작하여 지속적으로 방울을 쏘면 점점 점수가 높아지면서 고급 아이템들이 등장한다. 아이템 중에 가장 고급 아이템이 100엔짜리 동전. 100엔짜리 동전을 이후부터 다시 채소 아이템들이 나오는 방식이다. 그리고 스테이지를 넘어가도 아이템 루프는 이어진다. 쉽게 설명하면 지금 스테이지에서 100원짜리 동전이 등장하기 전에 중간 즈음(몇천점 아이템)에서 넘어갔어도 이어지는 스테이지에서 방울을 쏘면 '''다시 채소부터 시작하는게 아닌, 몇천점 아이템부터 이어서 시작'''하는 것이다. 즉, 자주 방울을 쏴서 필드 스코어 아이템을 회수하며, 100엔짜리 동전을 획득하는 것이 중요하다. ==== 크레딧 추가 꼼수 ==== 무지개 진주목걸이 외에 크레딧을 수십개 추가하는 꼼수가 존재하는데, 빨간색 마법봉 아이템을 획득하면 해당 스테이지에서 처치한 몬스터가 전부 100엔짜리 동전(크레딧)으로 변한다. 만일 '''대형 몬스터 중 소형 몬스터를 뿜어내는 몬스터가 존재하는 스테이지 에서 빨간색 마법봉이 등장'''할 경우 스테이지를 리셋하기 전까지는 크레딧을 99개까지 채우는 것도 가능해진다.(다만, 영파방지 캐릭터가 나오면 잔기 하나 소모되는 것은 감수해야 한다.) 즉, 대형 몬스터가 뿜어내는 소형 몬스터들을 처치하는 데 집중하면 크레딧을 계속 얻을 수 있다. 설령 잔기가 전혀 남지 않은 경우라도 최소 20개 정도의 크레딧은 추가할 수 있다. 해당 영상을 참조. [[https://youtube.com/watch?v=K0HhK2J9tNc&feature=shares|영상 링크]] == 스코어 어택 == [youtube(PCd8QVi20BA)] 스코어 어택 핵심 개념은 세 가지가 존재한다. 스코어 아이템이 숨겨져 있는 필드에 최대한 많이 방울이나 적을 던져서 많은 점수를(+100엔 동전) 먹는 것, 기절한 적을 일렬로 세워서 연쇄를 노리는 것, 각 월드마다 문장 3개를 채워서 10만점 보너스 및 램프를 얻어 숨겨진 스코어 아이템을 전부 1만점 돈자루로 바꾸는 것이 있다. 세 번째의 경우는 매 스테이지마다 마법방울 MAX형태를 얼마나 많이 발동하느냐에 달려있다. 해당 스테이지의 MAX 방울을 최소 3회 이상 사용하면 다음 스테이지에서 동일한 속성의 문장이 출현하고, 스테이지 별로 나오는 마법방울 속성이 다르므로, 같은 속성의 마법방울이 나오는 스테이지에서 MAX 마법 방울을 많이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월드 4에서 불 문장 3개를 얻어 들어가는 비밀문에서 거대 램프를 획득하면, 스테이지에 숨겨져 있는 스코어 아이템이 전부 10,000점 돈자루로 바뀌므로 이를 바로 얻는 것이 스코어 어택의 중요한 요소가 된다. 남은 크레딧과 잔기당 1백만점 보너스가 적립되므로 무지개 진주목걸이를 획득하여 99 크레딧을 얻으면 더욱 좋다. == 스테이지 구성 == [[레인보우 아일랜드]]와는 달리 다시 버블보블 형태의 고정화면 게임으로 바뀌었지만, 일부 스테이지는 가로로 2면으로 나뉘어져 있기도 하다. 월드 구성은 다음과 같다. * 월드 1 - 뮤직 스타 악기 모양의 적들이 나오며 대형 몬스터는 고정형의 피아노 몬스터인 피아농이다. 보스는 대형 베이스 드럼처럼 생긴 몬스터. 첫 보스인만큼 4방향으로 느릿하게 움직이므로 매우 쉽다. 공격 물약은 번개. * 월드 2 - 우드 스타 숲속 배경의 적이 나오며 대형 몬스터는 고정형 나무둥치 몬스터인 키리카분. 보스는 오리 머리의 화분 식물 몬스터인 비오군이 커진 슈퍼 비오군이며 공격 물약은 불이다. * 월드 3 - 오션 스타 수생 생물류의 적이 나오며 펭귄 몬스터인 펭길라스가 첫 이동형 대형 몬스터로 등장한다. 그 밖에 소라게 몬스터인 야도카린이 고정형 대형 몬스터로 등장. 보스는 수장룡 몬스터인 에라모가 커진 슈퍼 에라모이며 공격 물약은 번개이다. * 월드 4 - 머신 스타 기계류의 적이 나오며 대형 몬스터는 고정형 없이 대형 전차 로봇인 카타나²만 이동형으로 등장한다. 보스는 전투기형 몬스터인 톰군이 커진 슈퍼 톰군이다. 공격 물약은 물. * 월드 5 - 갬블 스타 카지노풍 적이 나오며, 대형 몬스터로는 고정형 슬롯머신인 슬로톤이 등장한다. 이 월드를 마지막으로 대형 몬스터는 더 이상 고정형으로 등장하지 않는다. 보스는 슬롯머신 마차를 탄 바니걸. 지폐탄을 마구 뿌리면서 공격해 온다. 공격 물약은 번개이다. * 월드 6 - 클라우드 스타 비행형 적들이 나오며 대형 몬스터는 [[레인보우 아일랜드]]에도 등장했던 헬리보와 그 아종인 캐리헬리, 날아다니는 아기코끼리 판판.[* 외모나 이동 스타일이나 버블보블의 푸루푸루와 비슷하다.] 캐리헬리는 좌우로 움직이며 소형 몬스터를 소환한다. 보스는 슈퍼 UFO이며 공격 물약은 불이다.[* 원래는 월드 5에서 처음 등장했는데, UFO는 위아래가 뚫린 스테이지에서 일정 시기마다 증원을 불러온다.] * 월드 7 - 자이언트 스타 대형 몬스터들이 등장하는 월드. 월드 4에 등장했던 젠짱을 닮은 소형 로봇 케이텐 로보 STD가 유일한 소형인데,[* 또다른 소형은 본래 월드2 소속이지만 노란 소형 사자 몬스터가 7-4에 다시 등장한다.] 이를 지속적으로 소환하는 인간형 로봇인 케이텐 로보 DX가 대형 몬스터로 등장했다. 카타나²도 재등장하며, 그 밖에 외눈박이 도깨비 사이클론, 공룡 드라쿤도 대형 몬스터로 등장한다. 보스는 부메랑을 날리는 외눈박이 로봇이며 공격 물약은 별. * 월드 8 - 레인보우 스타 주인공의 본성인 무지개 섬이 침략으로 오염된 컨셉이다. 전작 [[레인보우 아일랜드]]에 등장했던 적들이 나오며, 레인보우 아일랜드에도 보스 중 하나로 등장했던 [[알카노이드]]의 보스 DOH가 대형 몬스터로 등장하고 헬리보도 재등장했다. 보스도 레인보우 아일랜드의 최종 보스인 암흑대마왕이지만, 다른 점은 쓰러뜨려도 슈퍼 스컬 몬스타로 변하지 않고 주인공이 거품에 맞아도 버블 드래곤으로 변하지 않는다. 공격 물약은 물. 이 월드에서 별 문장, 불 문장 두 종류 중 같은 종류 3개를 모으는데 실패할 경우 버블 드래곤을 쓰러뜨린 시점에서 배드 엔딩이 나오고 게임이 끝난다. * 월드 9 - 버블 스타 문장 3개를 모은 채로 암흑대마왕을 쓰러뜨리면 진입할 수 있는 월드. 1편인 [[버블보블]]의 스테이지가 오마주되었으며 버블보블의 몬스터들이 등장한다. 대형 몬스터의 경우 다리가 긴 로보 젠짱과 히데곤스가 등장했다. 보스도 버블보블의 보스인 슈퍼 드렁크이며, 공격 물약도 버블보블과 동일하게 번개이다. 참고로 배경은 우주 도시로 묘사되었다. * 월드 10 - 언더월드 버블스타와 마찬가지로 버블보블이 오마주된 월드. [[채큰 팝]]의 오마주도 반영되어 있으며, 첫 스테이지가 버블보블 29스테이지로 오마주된 채큰 팝 1스테이지로 설정되었고 고글을 쓴 채 폭탄을 투하하는 가짜 채큰과 함께 월드 9에서는 등장하지 않았던 몬스타와 마이타가 등장한다. 대형 몬스터는 히데곤스만 등장하며 보스는 배경 스토리에 언급되었던 시간의 마왕. 공격 물약은 별이며, 처음에는 블랙 마이타가 등장하며 쓰러뜨리면 기괴한 형상을 한 시간의 마왕이 등장한다.[* 월드 9에서 문장 3개를 모아 비밀문에 들어가면 맨 위에 웬 주황색 공이 놓여있는데, 이걸 입수해 두면 보스전을 시작할 때 위에서 내려오면서 폭발하여 중간 보스인 블랙 마이타를 바로 쓰러뜨린다. 이는 언더월드에서 몬스터로 등장하고 최종으로 주인공들이 구출하는 채큰팝의 채큰이 쓰는 무기인 콩알 폭탄이다.] 이 최종 보스까지 물리치면 스타 로드가 떨어지고, 이를 획득한 후 돌로 변해 있던 진짜 채큰을 구해내면서 엔딩. * 월드 11 - 나이트메어 스타(아미가, 아타리 ST 한정 월드) 아미가 및 아타리 ST판 기준으로 월드 3-4에서 자주색 하트를 획득한 후 클리어하여 피망을 모두 먹은 즉시 진입한다. 마법의 성 컨셉인 월드이지만, 배경이 심야여서 분위기가 공포스럽다. [[돈 도코 돈]]을 연상시키는 적들이 등장한다. 거의 대형 몬스터들만 등장하며 소형을 소환하지는 않지만 맷집이 상당하여 타 월드에 비하면 난이도가 훨씬 높다. 보스는 도깨비같은 얼굴에 양손과 양발만 있는 괴수이며 정식 명칭은 불명이다.([[버블보블 파트2]] 게임보이판의 마술 모자를 쓴 요정(?)과 조금 비슷하게 생겼다.) 공격 물약은 별. 보스의 맷집도 외눈박이 로봇보다 더 단단하여 클리어하는데 시간이 매우 많이 소요된다. 그야말로 난이도는 월드 7 보스를 능가하는 수준이다. 보스를 클리어하면 다른 스테이지와 다르게 거대 돈자루와 100엔짜리 동전 7개가 주어진다. 참고로 이 월드를 거치지 않아도 진 엔딩은 감상할 수 있다. === 보스 공략 === 모든 보스는 무조건 방울 5개를 모아 MAX 공격을 성공시켜야 대미지를 줄 수 있고 클리어할 수 있다. * 월드 1 (대형 드럼) (공격 물약: 번개) (HP: 5) 이동 속도고 느리고 탄도 쏘지 않는다. 첫 보스인 만큼 그냥 MAX 번개 몇 번만 맞추면 클리어. * 월드 2 (슈퍼 비오군) (공격 물약: 불) (HP: 5) 작은 새모양 탄을 5갈래 발사한다. 피격 시 화염 장풍처럼 타오른다.(몬스터가 아니라 몬스터 외형의 장풍이다.) 다만 매우 느려서 지형에 따라 불 마법만 잘 깔아주면 클리어. * 월드 3 (슈퍼 에라모) (공격 물약: 번개) (HP: 6) 등의 분화구로 작은 돌멩이를 수십개 뿌린다. 허나 제자리에서 위아래로만 움직일 뿐 탄의 각도도 중앙에서 포물선 방향으로만 오기 때문에 파라솔을 세우기만 하면 탄을 막을 수 있어서 스치지 않게 수평 아래쪽에 가깝게 자리만 잡고 계속 번개를 발사하면 클리어. * 월드 4 (슈퍼 톰군) (공격 물약: 물) (HP: 3~4) 8방향 이동을 하지만 빠르지는 않다. 발사하는 탄은 맞으면 미스가 아니라 잠시 경직될 뿐이므로 보스의 몸에 직접 부딪히지 않는 이상 죽지는 않는다. 등장 후 조금 지나면 인간형 로봇으로 변신하는데, 이 때는 속도가 빨라지고 맵 전체를 수직으로 뛰어 다니는 데다 로봇 변신시 거의 화면 전체를 휘젓는 화염 줄기를 발사한다. 즉, 로봇 변신 이전에 신속하게 클리어 하는게 중요하다. * 월드 5 (바니걸 마차) (공격 물약: 번개) (HP: 10) 해당 보스 부터 기동성이 상당히 높아지고, 슈퍼 에라모같이 중앙에서 포물선으로 뿌리는 지폐탄의 밀도가 빽빽한 탄막 수준이어서 아래쪽에서 잡히면 신발 아이템이 없는 경우 거의 피하기 어렵다. 우산으로 막아가면서 최대한 보스와 수평을 유지해야한다. * 월드 6 (슈퍼 UFO) (공격 물약: 불) (HP: 7) 화면 절반을 채운 사이즈로 화면 상단을 좌우로 왕복하다 돌아 다니며 일정 시간 마다 아래방향으로 덮치는 보스. 이동속도는 빠르지만 탄은 발사하지 않는다. 패턴에 따라 바닥에 불 마법만 잘 쓰면 클리어지만, 덮치는 속도가 제법 빨라서 신발이 없으면 조금 까다롭다. * 월드 7 (외눈박이 로봇) (공격 물약: 별) (HP: 20) 해당 게임 전체 보스를 통틀어 가장 난이도가 높다. 맵 가운데 층에 등장하여 횡이동만 하며 주인공을 향하여 부메랑으로 공격한다. 부메랑은 우산으로 방어할 수 없으며 스쳐도 반드시 죽기 때문에 무조건 피해야만 한다. 그리고 부메랑은 탄도가 매우 불규칙한 '''유도탄''' 이기 때문에 루트를 정확히 파악하여 피해야만 한다. 맷집도 무려 '''20'''이나 되므로 타 보스에 비하여 압도적으로 높다. * 본격적인 공략법 일단 점프하지 말고 그 자리만 좌우로 오가면서 공격한다. 별로 공격하므로 점프가 필요없다. 횡이동 하는 보스와 '''같은 방향으로 절대로 따라가면 안 된다.''' 따라갈 경우 부메랑 루트와 겹치기 때문에 회피할 수 없다. 보스와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 부메랑이 살짝 빗나간다. 이처럼 보스와 반대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움직이며 '''부메랑을 아슬아슬하게 피하는 게 핵심이다.''' 그것도 신발 아이템이 있어야 무리없이 가능하므로, 보스에서 한 번 죽으면 연속으로 죽게 되는 구성이다. 정리하자면 스피드 업 상태로 미스없이 보스와 반대 방향으로 계속 움직이며 부메랑을 아슬아슬하게 피하며 별 20회 쏘면 클리어. 다만, 보스가 회색으로 변하며 파괴되는 그 순간까지도 부메랑을 한 두 발 더 쏘기 때문에 잔기가 전혀 안 남은 상황에 [[최후의 발악|최후의 부메랑에 피격당하는 경우]] 크레딧을 하나 소모하여 다시 클리어해야 하는 불상사가 발생한다. 클리어로 확실하게 인정될 때까지 '''절대로 방심하지 말아야 한다.''' * 월드 8 (버블 드래곤) (공격 물약: 물) (HP: 3~4) 이동 속도는 보통이나 버블에 닿으면 죽는다. 허나 MAX 물의 화력이 좋으므로 3~4방만 제대로 맞으면 클리어한다. 전작 [[레인보우 아일랜드]]에 등장하는 최종보스였다. * 월드 9 (슈퍼 드렁크) (공격 물약: 번개) (HP: 10) 버블보블 1편에 등장한 드렁크 거대화 보스. 1편과 달리 이동 속도도 공격 속도도 낮아서 원작 보스만큼 어렵지는 않다. 우산으로 방어도 가능하기 때문에 스치는 것만 주의하면 클리어 가능. * 월드 10 (블랙 마이타 및 시간의 마왕) (공격 물약: 별) 중간 보스 - 블랙 마이타 (HP: 12) 공격패턴은 월드 9의 슈퍼 드렁크과 동일하게 맵을 돌아다니며 탄을 흩뿌린다. 보스몹중 이동속도가 가장 빠르고 크기가 작아 MAX 별을 맞추기가 어렵다. 우산으로 방어 가능하며 맞추기 어렵기 때문에 어느 정도 시간이 걸린다. 각주대로, 월드 9에서 3문장을 채워 주황색 공을 입수했다면 시작 즉시 블랙 마이타를 쓰러뜨릴 수 있다. 최종 보스 - 시간의 마왕 (HP: 20) 기괴한 외형에 거대한 나방 비슷한 몬스터. 화면 상단에서 탄막을 사방으로 뿌리며, 전체 보스 중 유일하게 일반 몬스터(푸루푸루, 파이어 드래곤)들이 소환되어 공격한다. 판정이 크고, MAX 별 자체가 명중률이 높아서 우산을 세워서 잘 막으면 미스는 나지 않으므로 서두르지 않고 장기전을 하면 된다. * 월드 11 (이름 불명) (공격 물약: 별) (HP: 26) (아미가, 아타리 ST 한정 월드) 도깨비같은 얼굴에 양손과 양발만 있는 괴수 형태이며, 해당 월드 보스까지 포함하면 사상 난이도 최강이다. 파란색 포탄 3개와 용암이 들어있는 포탄 1개를 동시에 던져 공격한다. 용암에 맞을 경우는 잠시 경직되고, 파란색 포탄은 1초 정도 자유자재로 통통 튀다가 폭발하는데 플레이어가 파편에 맞으면 죽는다. 포탄들은 유도형이 아니지만 파라솔로 절대 방어할 수 없고 뒤늦게 터지기 때문에 피하기가 매우 어렵다. 절반 정도 데미지를 주었을 때 (눈이 먼)얼굴만 남는데 이후부터 하늘색으로 반짝이는 무언가를 양쪽 눈에서 5방향으로 뿌린다. 마찬가지로 파라솔로 막을 수 없으며 오히려 공격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역시 피하는 건 어렵다. 해당 스테이지를 클리어하면 다시 월드 3-5로 복귀한다. 난이도 서열 정리: 월드11>월드7>넘사벽>월드10>월드5>월드4>월드8>월드6>월드3>월드2>월드9>넘사벽>월드1 ==== 마법방울의 화력 서열 ==== 물>불>번개>별 물로 깨는 보스는 HP가 아무리 많아도 최대 4회에 클리어. 불로 깨는 보스는 HP가 많아도 7회에 클리어. 번개로 깨는 보스는 HP가 적을경우 5, 많으면 10. 반면에 별로 깨는 보스는 최소 12,(월드 10 1형태) 최대 20이다. 별은 피격 범위가 넓은 대신 파워가 부족하고 반대로 물은 피격 범위가 좁은 대신 파워가 높다. === 섬멸 아이템 서열 === 화면 전체 적들을 물리치는 섬멸 아이템에 대해 서열하였다. 참고로 파라솔을 사용하기 때문에 빨간 십자가는 삭제되었다. * S급 (즉발형): 해당 아이템은 먹는 즉시 화면 전체 적들을 전멸시킨다.(단 1프레임의 딜레이도 존재하지 않음.) 폭탄: 화면에 큰 폭발이 발생하여 적들이 전멸하며 7,000점짜리 레몬 콜라로 바뀐다. 골든 트로피: 화면이 번쩍이면서 적들을 섬멸시키며 8,000점짜리 자주색 왕관으로 바뀐다. 이후 [[버블보블 파트2]] 및 [[버블 심포니]]에도 등장한다. 죽음의 책(보라색 외형): 지진이 발생하여 적들을 죽이며 6,000점짜리 새우덮밥으로 바뀐다. 참고로 디자인은 자주색 바탕에 보라색 마법진이 새겨진 것으로 바뀌었다. 포션: 효과는 1편과 같다. 총 7종류가 있으며 먹는 즉시 스테이지 모든 적들이 사라지며 스테이지 전체 빈 공간에 특정 아이템들로 가득 채운다. 전부 먹으면 100,000점의 보너스 점수를 획득하고 전부 먹지 않아도 해당 스테이지 클리어. * 적색 포션: 먹으면 코스모스가 나타난다. 화면 아래로 20번 떨어지면 등장한다. * 주황색 포션: 먹으면 해바라기가 나타난다. 화면 아래로 21번 떨어지면 등장한다. * 노란색 포션: 먹으면 금화가 나타난다. 화면 아래로 22번 떨어지면 등장한다. * 녹색 포션: 먹으면 네잎클로버가 나타난다. 화면 아래로 23번 떨어지면 등장한다. * 파란색 포션: 먹으면 옥색 구슬이 나타난다. 화면 아래로 24번 떨어지면 등장한다. * 남색 포션: 먹으면 무지개가 나타난다. 화면 아래로 25번 떨어지면 등장한다. * 보라색 포션: 먹으면 별이 나타난다. 화면 아래로 26번 떨어지면 등장한다. * A급 (준 즉발형) 물 십자가(파란 십자가): 먹는 즉시 화면 전체를 물로 채워 몬스터들을 수장시키며 7,000점짜리 멜론 소다로 바뀐다. 단, S급 아이템과 다르게 1초 정도의 딜레이가 존재한다. * B급 (탄막형) 은색 티아라: 먹는 즉시 별을 화면 전체에 흩뿌리고 몬스터들을 몰살시키며 전멸할 때까지 지속된다. 별에 맞은 적들은 8,000점짜리 와인으로 바뀐다. * C급 (준 탄막형) 번개 십자가(노란 십자가): 먹는 즉시 몬스터가 전멸하는 순간까지 벼락을 떨어뜨려 몬스터들을 몰살시키며 7,000점짜리 맥주로 바뀐다. 허나 기동성이 좋은 몬스터는 번개를 오히려 피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 D급 (특수형) 채큰 하트 (분홍색): 먹는 즉시 주인공은 일정 시간동안 무적 상태가 되며 1편과 다르게 몬스터들은 계속 이동하지만 접촉하면 자동으로 바로 처치되며 10,000점짜리 금색 왕관으로 바뀐다. * F급 (최하급) 진주목걸이(하늘색): 먹는 즉시 벽을 튕기며 움직이는 별빛이 적들을 몰살시키며 9,000점짜리 파란색 왕관으로 바뀐다. 그러나 1편과 다르게 아예 유도 기능이 없어져서 랜덤하게 움직이고 클리어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린다. 지형을 통과하는 기능도 없어 지형에 막히면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 === 스테이지 별 마법속성 === 해당 스테이지에서 2회 이상 마법방울을 사용하면 그 다음 스테이지에 등장하며 MAX 마법방울을 3회 이상 사용하면 확정적으로 해당 속성의 문장이 팝업된다. 이를 충족하지 못하면 아예 나오지 않거나 나와도 랜덤으로 속성이 정해지므로 월드 구성상 비밀문 진입을 위한 문장 3개 획득하는 방법과 속성은 거의 정해져 있다. 보스전에는 아이템이 뜨지 않으므로 마지막 스테이지에서 조건을 충족시켜도 다음 월드 1스테이지에 문장이 반드시 나타나지는 않는다.[* 대체로 다음 월드의 속성과 연결되는 문장이 뜬다. 별 문장은 특히 시작하자마자 안 뜨면 월드 6에서 처음 보는 경우가 대부분.] ||스테이지 || '''1''' || '''2''' || '''3''' || '''4''' || '''5''' || '''6''' || '''보스전''' || '''3개 문장'''[* 랜덤 팝업 없이 자력으로 띄울 수 있는 문장. 해당 스테이지에서 최대한 MAX를 많이 발동시키면 된다.] || || '''월드 1''' || 없음 || '''{{{#0000ff 물}}}''' || '''{{{#0000ff 물}}}''' || '''{{{#0000ff 물}}}''' || '''{{{#0000ff 물}}}''' || '''{{{#0000ff 물}}}''' || '''{{{#ffff00 번개}}}''' || '''{{{#0000ff 물}}}''' || || '''월드 2''' || '''{{{#ffff00 번개}}}''' || '''{{{#0000ff 물}}}''' || '''{{{#ffff00 번개}}}''' || '''{{{#ffff00 번개}}}''' || '''{{{#ffff00 번개}}}''' || '''{{{#ffff00 번개}}}''' || '''{{{#0000ff 화염}}}''' || '''{{{#ffff00 번개}}}''' || || '''월드 3''' || '''{{{#0000ff 물}}}''' || '''{{{#0000ff 물}}}''' || '''{{{#0000ff 물}}}''' || '''{{{#ffff00 번개}}}''' || '''{{{#ffff00 번개}}}''' || '''{{{#0000ff 물}}}''' || '''{{{#ffff00 번개}}}''' || '''{{{#0000ff 물}}}''' || || '''월드 4''' || '''{{{#0000ff 화염}}}''' || '''{{{#0000ff 화염}}}''' || '''{{{#ffff00 번개}}}''' || '''{{{#0000ff 화염}}}''' || '''{{{#ffff00 번개}}}''' || '''{{{#ffff00 번개}}}''' || '''{{{#0000ff 물}}}''' || '''{{{#0000ff 화염}}}''' || || '''월드 5''' || '''{{{#0000ff 물}}}''' || '''{{{#0000ff 화염}}}''' || '''{{{#0000ff 물}}}''' || '''{{{#0000ff 물}}}''' || '''{{{#0000ff 화염}}}''' || '''{{{#ffff00 번개}}}''' || '''{{{#ffff00 번개}}}''' || '''{{{#0000ff 물}}}''' || || '''월드 6''' || '''{{{#0000ff 별}}}''' || '''{{{#0000ff 별}}}''' || '''{{{#0000ff 별}}}''' || '''{{{#0000ff 화염}}}''' || '''{{{#0000ff 화염}}}''' || '''{{{#0000ff 별}}}''' || '''{{{#0000ff 화염}}}''' || '''{{{#0000ff 별}}}''' || || '''월드 7''' || '''{{{#ffff00 번개}}}''' || '''{{{#ffff00 번개}}}''' || '''{{{#0000ff 물}}}''' || '''{{{#0000ff 별}}}''' || '''{{{#ffff00 번개}}}''' || '''{{{#0000ff 별}}}''' || '''{{{#0000ff 별}}}''' || '''{{{#ffff00 번개}}}''' || || '''월드 8''' || '''{{{#0000ff 별}}}''' || '''{{{#0000ff 별}}}''' || '''{{{#0000ff 화염}}}''' || '''{{{#0000ff 화염}}}''' || '''{{{#0000ff 별}}}''' || '''{{{#0000ff 화염}}}''' || '''{{{#0000ff 물}}}''' || '''{{{#0000ff 별}}}''' || || '''월드 9''' || '''{{{#ffff00 번개}}}''' || '''{{{#ffff00 번개}}}''' || '''{{{#0000ff 화염}}}''' || 없음 || '''{{{#ffff00 번개}}}''' || '''{{{#0000ff 별}}}''' || '''{{{#ffff00 번개}}}''' || '''{{{#ffff00 번개}}}''' || || '''월드 10''' || '''{{{#0000ff 별}}}''' || '''{{{#0000ff 별}}}''' || '''{{{#ffff00 번개}}}''' || '''{{{#0000ff 화염}}}''' || '''{{{#0000ff 별}}}''' || '''{{{#0000ff 별}}}''' || '''{{{#0000ff 별}}}''' || '''{{{#0000ff 별}}}''' || == 기타 == 전작과 다르게 2인용 지원이 가능하나, 아무래도 오락실용으로 나온 게임이 아니다 보니까 아는 사람만 알게 된 게임이 되어버렸다. 이것도 유럽쪽 판권을 오션이 가지고 있으며 NES(유럽쪽 PAL 전용. 북미나 일본 NTSC 기기에서는 그래픽이 깨진다), 아미가, [[아타리 ST]], [[게임보이]]에 이식. 한 프리랜서 프로그래머가 코모도어 64판을 개발하고 있었으나 부인이 알콜중독+이혼 계획으로 인해 난동부리다가 소스코드가 담긴 디스크가 깨졌다고 한다. 아미가용의 경우 그래픽과 사운드는 완전 이식이지만, 점프를 화살표 위쪽으로 지정해 놓아서 파라솔로 천천히 내려오기가 심히 난감하기 때문에 감점 요소가 되었다. 아타리 ST는 사운드가 [[PSG]]사운드가 된 것 외에는 아미가용과 비슷하다. 또한 아미가 및 아타리 ST판은 원판에 없는 또다른 히든 월드인 '나이트메어 스타'(Nightmare Star, 월드 11,)가 추가되었는데,(그 점에서 보면 초월이식이라고 할 수 있다.) 월드 3-4에 등장하는 특수 아이템인 자주색 하트를 획득한 후 적들을 물리치면 피망이 'IN' 이라는 단어를 그리며 나타난다. 피망을 모두 획득하면 자동으로 월드 11에 진입하게 되는데 이 월드의 스테이지들은 난이도가 전부 극악 수준이다. 월드 11을 클리어하면 월드 3-5로 다시 복귀한다. 영파 방지 캐릭터는 해골 얼굴에 불이 붙은 망토를 쓴 유령인데, 사실 이 캐릭터는 전작 [[레인보우 아일랜드]]의 보스 암흑대마왕을 죽이고 나오는 엑스트라 버전 진 엔딩에서 언급된 스컬 삼형제 중 하나인 붉은 스컬이다. 후속작인 [[버블보블 파트2]]에서도 메인 악역으로 등장하며, 다른 형제들과는 달리 진 최종보스로 등장했다. 본래 어클레임의 버블보블 피쳐링 레인보우 아일랜드에 본작도 수록될 예정이었으나 취소되었고, 그 대신 레인보우 아일랜드가 오리지널/인핸스드 버전으로 각각 수록되갔었.다. 보스전 BGM은 [[프랑스]] 출신 팝 그룹 카오마의 노래 [[람바다]]를 리메이크한 것이다. == 관련 문서 == * [[버블보블]] * [[레인보우 아일랜드]] * [[버블 심포니]] * [[버블 메모리즈]] * [[퍼즐보블]] * [[퍼즐보블 for Kakao]] * [[버블보블 파트2]] [[분류:버블보블 시리즈]][[분류:1991년 게임]][[분류:NES 게임]][[분류:게임보이 게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