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여자 대표팀, rd1=파나마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other2=풋살 대표팀, rd2=파나마 풋살 국가대표팀)] [include(틀:북중미카리브축구연맹 회원국)]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3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ee0033, #ee0033)" [[파일:Panamanian Football Federation.png|height=150]]}}} || ||||<:><#ee0033> {{{#ffffff '''파나마 축구 국가대표팀'''}}} || ||||<:><#ee0033> {{{#ffffff '''Selección de fútbol de Panama'''}}} || ||<:> '''정식명칭''' ||<:> Selección de fútbol de Panama[* 스페인어] || ||<:> '''[[FIFA 코드]]''' ||<:> PAN || ||<:> '''협회''' ||<:> 파나마 축구 연맹 (FEPAFUT) || ||<:> '''연맹''' ||<:>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CONCACAF) || ||<:> '''지역연맹''' ||<:> 중앙아메리카 축구 연맹 (UNCAF) || ||<:> '''감독''' ||<:>[include(틀:국기,국명=스페인,출력= )] [[토마스 크리스티안센]] {{{-2 (Thomas Christiansen)}}} || ||<:> '''주장''' ||<:> 해롤드 커밍스 (Harold Cummings) || ||<:> '''최다출전자''' ||<:> 가브리엘 고메스 (Gabriel Gómez) - 149경기 || ||<:> '''최다득점자''' ||<:> 루이스 테하다 (Luis Tejada) - 43골 || ||<:> '''홈 구장''' ||<:> 에스타디오 롬멜 페르난데스 (Estadio Rommel Fernández, 32,000석) || ||<:> '''첫 국제경기 출전''' ||<:> VS [[베네수엘라 축구 국가대표팀|베네수엘라]] (3:1 승), [[파나마]] 파나마시티 (1938년 2월 12일) || ||<:> '''최다 점수차 승리''' ||<:> VS [[앵귈라 축구 국가대표팀|앵귈라]] (13:0 승), [[파나마]] 파나마시티 (2021년 6월 6일) || ||<:> '''최다 점수차 패배''' ||<:> VS [[코스타리카 축구 국가대표팀|코스타리카]] (0:11 패), [[파나마]] 파나마시티 (1938년 2월 16일) || ||<:> '''별칭''' ||<:> Los Canaleros (운하 사람), La Marea Roja (빨간 조수) || ||<:> '''[[FIFA 월드컵]]''' ||<:> 진출 1회 (2018) || ||<:> '''[[CONCACAF 골드컵]]''' ||<:> 진출 8회, 준우승 2회 (2005, 2013) || ||<:> '''[[CONMEBOL 코파 아메리카]]''' ||<:> 진출 1회 (2016) || ||<:> '''[[FIFA 랭킹]]''' ||<:> 57위 || ||<:> '''[[Elo 레이팅]]''' ||<:> 53위 || ||
<:> {{{#FFFFFF '''유니폼 컬러'''}}} ||<:> {{{#FFFFFF '''홈'''}}} ||<:> {{{#FFFFFF '''어웨이'''}}} || ||<:> {{{#C8AB37 '''상의'''}}}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9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ee0033 5%, #ffffff 5%, #ffffff 8%, #ee0033 8%)" [[뉴발란스|[[파일:New Balance White Logo.png|align=left&width=15]]]][[파일:Panamanian Football Federation.png|width=15&align=right]] [[아미르 무리요|{{{+1 '''{{{#ffffff 23}}}'''}}}]][br][br]}}}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9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ffffff 20%, #0044ee 30%, #ffffff 40%, #ffffff 60%, #0044ee 70%, #ffffff 80%)" [[뉴발란스|[[파일:New Balance Red Logo.png|align=left&width=15]]]][[파일:Panamanian Football Federation.png|width=15&align=right]][br]'''[[요르만 아길라르|{{{+1 {{{#ff0000 18}}}}}}]]'''[br][br]}}} || ||<:> {{{#C8AB37 '''하의'''}}} ||<)><#ee0033> [[아미르 무리요|'''{{{#ffffff ,,23,,}}}''']] ||<)><#ffffff> '''[[요르만 아길라르|{{{#ff0000 ,,18,,}}}]]''' || ||<:> {{{#C8AB37 '''양말'''}}} ||<:><#ee0033> ||<:><#ffffff> || [목차] [clearfix] == 개요 == [[파나마]]의 [[축구]] [[국가대표|국가대표팀]]을 다루는 항목. 운하 사람들(Los Canaleros)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 본래 파나마는 [[파나마 운하]]로 인해 미국의 영향을 많이 받아 [[야구]]의 인기가 축구를 압도했지만 2000년대 들어 축구 기량이 서서히 상승했고 현재는 축구도 메이저 스포츠로 자리매김했다. 남미 대륙이자 이웃나라인 [[베네수엘라]]와 상당히 닮은 모습을 보인다.[* 베네수엘라 역시 2000년대 중반을 기점으로 코파 아메리카 토너먼트 진출 등 국제대회 성적이 좋아졌고, FIFA U-20 월드컵 준우승을 하며 돌풍을 일으키기도 했다.] 골드컵에는 본선에도 오르지 못하다가 2005년에 처음 진출하여 준우승을 차지했다. 이것을 시작으로 6회 연속 골드컵에서 토너먼트 진출에 성공했으며, 그 중 2013년 대회에서는 다시 한번 준우승을 하고 2년 뒤에는 4강에 진출하며 꾸준히 좋은 성적을 내고 있다. 2006 독일 월드컵 최종예선에도 진출하여 비록 꼴찌에 머물렀지만 파나마 대표팀의 성장세가 반짝으로 끝나지 않은 이유는 바로 청소년 선수들의 꾸준한 선전이 발판이 된 덕이 많다. 2003년 U-20 월드컵 첫 진출 이후 [[2005 FIFA 세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2005]], [[2007 FIFA U-20 월드컵 캐나다|2007]], 2011, [[2015 FIFA U-20 월드컵 뉴질랜드|2015]] 대회에 진출하기까지 하였다. 조별리그 통과는 한 번도 못했지만 꾸준히 세계무대에서 경험을 쌓고, 이 멤버들이 착실히 A대표팀으로 콜업되는 선순환 구조를 10년간 유지했다. 이러한 긍정적 기조 속에 2010년 남아공 월드컵 최종예선에는 진출하지 못했으나, 2013년 골드컵 준우승 이후 다시 두각을 나타내며, 2014 브라질 월드컵도 대륙간 플레이오프에 근접하는 등 중미 지역의 다크호스로 성장했다. 그리고 '''2018 러시아 월드컵 최종예선에서 3위를 차지하며 사상 첫 본선 진출에 성공했고''', 파나마는 대통령이 임시공휴일을 선포할 정도로 전국이 환희의 도가니에 빠졌다. 2005년 골드컵 첫 준우승 멤버들의 마지막 불꽃과 MLS에 다수 진출한 신예들의 성장으로 만만치 않은 전력을 지녔다는 평가다. 특히 대표팀의 공격 핵심이자 정신적 지주인 [[블라스 페레스]]와 [[루이스 테하다]]는 A매치 43골로 파나마 역사상 최다득점 공동 1위를 사이좋게 기록하고 있다. 그야말로 자국 축구의 살아있는 역사가 새 역사를 쓴 셈이다. 물론 난생 처음 나간 월드컵 본선이었기에 아주 호되게 신고식을 치렀는데, 특히 조별리그 2차전에서 잉글랜드에 6실점을 당하며 2018 러시아 월드컵 조별리그 2차전 통합 최다 실점패를 당하고 만다. 그나마 1골을 넣으며 사상 첫 월드컵 무대 골을 넣은 것으로 만족해야 했다. 파나마 대표팀의 주장이자 앞서 언급한 블라스 페레스, 루이스 테하다와 같은 세대의 [[펠리페 발로이]]가 월드컵 첫 골의 주인공이 되었다. 마지막 3차전 튀니지전에서 [[로만 토레스]]의 부상으로 수비가 흔들리면서 2:1로 역전패한 것이 두고두고 아쉬울 대목. 수비력은 다소 엉성했으나, 벨기에와 잉글랜드에도 밀리지 않는 공격 전개 능력은 돋보였다는 평이다. 전체 순위는 32개팀 중 32위. 월드컵 이후 골드컵 준우승 세대인 페레스, 테하다, 발로이 등은 대회가 끝남과 동시에 동시다발적으로 국대 은퇴를 선언하여, 현재 파나마 대표팀은 대대적인 [[리빌딩]]에 들어갔다. 한때 야구가 극강의 위치에 있어서 그다지 빛을 보지 못했으나, 2018년 월드컵 본선 진출을 계기로 많은 버프를 받게 될 조짐이다. 특히 요즘 들어서 되레 야구가 국제대회에조차 오르지 못하면서 도통 고전을 면치 못하는 반면 축구는 상승세를 타는 분위기라 상황이 역전될 수도 있다. 대한민국과는 2018년 10월 16일 사상 처음으로 맞붙었다. 천안에서 열린 경기에서 0:2로 끌려가다가 2골을 넣고 2:2로 비겼다. 이로써 상대전적은 1전 1무. 2019년 3월 24일 브라질 축구 대표팀과 친선경기를 가졌는데 파나마는 세계 최강 '''브라질과의 경기에서 1:1 무승부 승점 1점'''을 획득했다! 당시 브라질은 주요 전력인 [[네이마르 주니오르|네이마르]]가 출전하지 않은데다 세대교체로 젊은 선수들이 대거 출전했으며 브라질의 맹공격에도 끝까지 조직력을 잃지 않는 실력을 보여줬다. [[2023 CONCACAF 골드컵|2023 골드컵]] 4강에서 미국을 승부차기끝에 누르고 결승에 진출하였다. 결승에서는 멕시코와의 대결끝에 1:0 패배로 준우승을 했다. [[2026 FIFA 월드컵|2026 북중미 월드컵]] 부터는 미국,멕시코,캐나다의 북중미 강호들이 개최국 자격으로 빠지고 기존의 최종예선 단일 풀리그 방식이 조별리그 방식으로 변경이 되어 2026월드컵에 진출할 유리한 위치에 서있다.[* 최종예선에서 조3개로 나누어 조별리그를 치러서 조1위만 본선진출 조2위는 플레이오프로 가는 방식으로 현재 파나마의 피파랭킹은 45위로 47위인 코스타리카보다도 높다. 그 아래로는 57위인 자메이카, 77위의 엘살바도르로 파나마, 코스타리카, 자메이카는 왠만해서는 1포트로 배정받고 만나지 않을것이다. 변수는 지난 최종예선에 진출한 온두라스, 엘살바도르와 같은조가 되느냐 마느냐다.] 2024 코파 아메리카 예선에서 코스타리카를 도합 6대1로 대승을 거두며 코파아메리카에 진출하였다. 현재 유니폼 스폰서는 [[리복]]이다. 현재 주요 선수로는 [[로만 토레스]], [[가브리엘 토레스]], [[아미르 무리요]] 등이 있다. 2023년 9월 현재 FIFA 랭킹은 45위이다. == [[FIFA 센추리 클럽|FIFA 센추리 클럽 가입 선수]] == [include(틀:파나마의 FIFA 센추리 클럽 가입 선수)] == 역대전적 == === [[FIFA 월드컵]] === '''역대 월드컵 전적 순위 : 74위'''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1930 FIFA 월드컵 우루과이|1930 우루과이 월드컵]] ||||||||||||||||<:> 불참 || ||<:> [[1934 FIFA 월드컵 이탈리아|1934 이탈리아 월드컵]] ||||||||||||||||<:> 불참 || ||<:> [[1938 FIFA 월드컵 프랑스|1938 프랑스 월드컵]] ||||||||||||||||<:> 불참 || ||<:> [[1950 FIFA 월드컵 브라질|1950 브라질 월드컵]] ||||||||||||||||<:> 불참 || ||<:> [[1954 FIFA 월드컵 스위스|1954 스위스 월드컵]] ||||||||||||||||<:> 불참 || ||<:> [[1958 FIFA 월드컵 스웨덴|1958 스웨덴 월드컵]] ||||||||||||||||<:> 불참 || ||<:> [[1962 FIFA 월드컵 칠레|1962 칠레 월드컵]] ||||||||||||||||<:> 불참 || ||<:> [[1966 FIFA 월드컵 잉글랜드|1966 잉글랜드 월드컵]] ||||||||||||||||<:> 불참 || ||<:> [[1970 FIFA 월드컵 멕시코|1970 멕시코 월드컵]] ||||||||||||||||<:> 불참 || ||<:> [[1974 FIFA 월드컵 서독|1974 서독 월드컵]] ||||||||||||||||<:> 불참 || ||<:> [[1978 FIFA 월드컵 아르헨티나|1978 아르헨티나 월드컵]] ||||||||||||||||<:> 본선 진출 실패[*16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 || ||<:> [[1982 FIFA 월드컵 스페인|1982 스페인 월드컵]] ||||||||||||||||<:><|4> 본선 진출 실패[*24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 || ||<:> [[1986 FIFA 월드컵 멕시코|1986 멕시코 월드컵]] || ||<:> [[1990 FIFA 월드컵 이탈리아|1990 이탈리아 월드컵]] || ||<:> [[1994 FIFA 월드컵 미국|1994 미국 월드컵]] || ||<:> [[1998 FIFA 월드컵 프랑스|1998 프랑스 월드컵]] ||||||||||||||||<:><|5> 본선 진출 실패[*32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 || ||<:>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2002 한일 월드컵]] || ||<:> [[2006 FIFA 월드컵 독일|2006 독일 월드컵]] || ||<:> [[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 공화국|2010 남아공 월드컵]] || ||<:> [[2014 FIFA 월드컵 브라질|2014 브라질 월드컵]] || ||<:>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2018 러시아 월드컵]] ||<:> 조별리그 ||<:> '''32위''' ||<:> 3 ||<:> 0 ||<:> 0 ||<:> 3 ||<:> 2 ||<:> 11 || ||<:>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2022 카타르 월드컵]] ||||||||||||||||<:> 본선 진출 실패[*32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 || ||<:> [[2026 FIFA 월드컵 캐나다·멕시코·미국|2026 북중미 월드컵]] ||||||||||||||||<:> 미정 || ||<:> [[2030 FIFA 월드컵 스페인·포르투갈·모로코|2030 월드컵]] ||||||||||||||||<:> 미정 || ||<:> [[2034 FIFA 월드컵 사우디아라비아|2034 사우디 월드컵]] ||||||||||||||||<:> 미정 || ||<:> 합계 ||<:> 1/22[* 월드컵 본선 진출 비율] ||<:> 0 ||<:> 3 ||<:> 0 ||<:> 0 ||<:> 3 ||<:> 2 ||<:> 11 || 총성적 '''0승 0무 3패 승점 0점, 2득점 11실점'''으로, [[아랍에미리트 축구 국가대표팀|아랍에미리트]]와 승점 및 골득실이 완벽하게 같아서 월드컵 통산 순위 '''공동 74위'''에 올라있다. 2018년 32강 본선 대회에 처음으로 출전하여 [[벨기에 축구 국가대표팀|벨기에]], [[잉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잉글랜드]], [[튀니지 축구 국가대표팀|튀니지]]와 같은 조가 되었는데, 첫 경기에서 톱시드팀 벨기에를 상대로 0:3 패를 시작으로 두 번째 잉글랜드와의 경기에선 전반전에만 PK 2골 포함 5점을 내준 끝에 월드컵 데뷔골과 동시에 1:6으로 패했다. 다만 여기서 월드컵 첫 득점에 성공했으며, 파나마 감독, 선수 및 응원단은 팀이 5점 차로 끌려가고 있음에도 즐거운 얼굴로 열띤 응원을 보내어 전세계에 월드컵의 참 의미가 무엇인지 깨닫게 해주었다. 탈락이 확정된 이후에 치러진 마지막 튀니지와의 경기에서는 튀니지의 공세를 효과적으로 방어하고 간간히 날카로운 역습을 시도했지만, 국제대회 경험 차이와 실력을 극복하지 못하고 1:2로 아쉽게 패해 3전 3패 대회 32위(꼴찌)로 짐을 싸야 했다. 다른 나라들과의 역대 전적은 아래와 같다. ||잉글랜드 1패(2018) 벨기에 1패(2018) 튀니지 1패(2018)|| 대륙별 상대전적은 아래와 같다. ||유럽 2패 아프리카 1패|| 패배를 기록한 적이 있는 나라는 벨기에(1패), 잉글랜드(1패), 튀니지(1패)이며, 아직까지 승점을 획득한 전적은 없다. === [[CONCACAF 골드컵]]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엘살바도르 1963 ||<:> 조별리그 ||<:> 5위 ||<:> 4 ||<:> 1 ||<:> 2 ||<:> 1 ||<:> 8 ||<:> 4 || ||<:> 과테말라 1965 ||||||||||||||||<:> 불참 || ||<:> 온두라스 1967 ||||||||||||||||<:> 예선 탈락 || ||<:> 코스타리카 1969 ||||||||||||||||<:> 예선 탈락 || ||<:> 트리니다드 토바고 1971 ||||||||||||||||<:> 불참 || ||<:> 아이티 1973 ||||||||||||||||<:> 불참 || ||<:> 멕시코 1977 ||||||||||||||||<:> 예선 탈락 || ||<:> 온두라스 1981 ||||||||||||||||<:> 예선 탈락 || ||<:> 개최국 없음 1985 ||||||||||||||||<:> 예선 탈락 || ||<:> 개최국 없음 1989 ||||||||||||||||<:> 예선 탈락 || ||<:> 미국 1991 ||||||||||||||||<:> 예선 탈락 || ||<:> 미국/멕시코 1993 ||<:> 조별리그 ||<:> 7위 ||<:> 3 ||<:> 0 ||<:> 1 ||<:> 2 ||<:> 3 ||<:> 8 || ||<:> 미국 1996 ||||||||||||||||<:> 예선 탈락 || ||<:> 미국 1998 ||||||||||||||||<:> 예선 탈락 || ||<:> 미국 2000 ||||||||||||||||<:> 불참 || ||<:> 미국 2002 ||||||||||||||||<:> 예선 탈락 || ||<:> 미국/멕시코 2003 ||||||||||||||||<:> 예선 탈락 || ||<:> 미국 2005 ||<:> '''준우승''' ||<:> '''2위''' ||<:> '''6''' ||<:> '''2''' ||<:> '''3''' ||<:> '''1''' ||<:> '''7''' ||<:> '''6''' || ||<:> 미국 2007 ||<:> 8강 ||<:> 6위 ||<:> 4 ||<:> 1 ||<:> 1 ||<:> 2 ||<:> 6 ||<:> 7 || ||<:> 미국 2009 ||<:> 8강 ||<:> 7위 ||<:> 4 ||<:> 1 ||<:> 1 ||<:> 2 ||<:> 7 ||<:> 5 || ||<:> 미국 2011 ||<:> 4강 ||<:> 3위 ||<:> 5 ||<:> 2 ||<:> 2 ||<:> 1 ||<:> 7 ||<:> 6 || ||<:> 미국 2013 ||<:> '''준우승''' ||<:> '''2위''' ||<:> '''6''' ||<:> '''4''' ||<:> '''1''' ||<:> '''1''' ||<:> '''11''' ||<:> '''4''' || ||<:> [[2015년 CONCACAF 골드컵|미국/캐나다 2015]] ||<:> 4강 ||<:> 3위 ||<:> 6 ||<:> 0 ||<:> 5 ||<:> 1 ||<:> 6 ||<:> 7 || ||<:> [[2017년 CONCACAF 골드컵|미국 2017]] ||<:> 8강 ||<:> 5위 ||<:> 4 ||<:> 2 ||<:> 1 ||<:> 1 ||<:> 6 ||<:> 3 || ||<:> [[2019 CONCACAF 골드컵|미국/자메이카/코스타리카 2019]] ||<:> 8강 ||<:> 7위 ||<:> 4 ||<:> 2 ||<:> 0 ||<:> 2 ||<:> 6 ||<:> 4 || ||<:> [[2021 CONCACAF 골드컵|미국 2021]] ||<:> 조별리그 ||<:> 9위 ||<:> 3 ||<:> 1 ||<:> 1 ||<:> 1 ||<:> 8 ||<:> 7 || ||<:> 합계 ||<:> '''준우승'''(2회) ||<:> '''11회 진출'''(11/26) ||<:> '''49''' ||<:> '''16''' ||<:> '''18''' ||<:> '''15''' ||<:> '''75''' ||<:> '''61''' || === [[CONMEBOL 코파 아메리카]]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2016년 코파 아메리카|미국 2016]] ||<:> 조별리그 ||<:> '''12위''' ||<:> 3 ||<:> 1 ||<:> 0 ||<:> 2 ||<:> 4 ||<:> 10 || ||<:> 합계 ||<:> 진출 1회 ||<:> 1/1 ||<:> 3 ||<:> 1 ||<:> 0 ||<:> 2 ||<:> 4 ||<:> 10 || ==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과의 전적 == 경기 스코어는 파나마 대표팀이 왼쪽이다. 현재 한국 대표팀은 파나마 대표팀과 단 한번 맞붙었으며 1전 1무로 백중세이다. ||<:>일자 ||<:> 장소 ||<:> 경기 스코어 ||<:> 득점자 ||<:> 대한민국 득점자 || ||<:> 2018년 10월 16일 ||<:> [[천안종합운동장]] ||<:> 2:2 (1:2) ||<:> [[압디엘 아로요]], [[롤란도 블랙번]] ||<:> [[박주호]], [[황인범]] || [[분류:파나마 축구 국가대표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