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일반 함정]] [목차] == 개요 == [[유희왕]]의 일반 함정 카드. == 설명 == === 원작 === [[파일:RingofDestruction-JP-Manga-DM-color.png]] || 한글판 명칭 ||'''파괴륜'''[*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SBS]] 방영판과 대원방송 방영판에서는 '파괴링'으로 번역되었다.]|| || 일어판 명칭 ||'''[ruby(破壊輪, ruby=はかいりん)]'''|| || 영어판 명칭 ||'''Ring of Destruction'''|| ||<-2> 일반 함정 || ||<-2>상대의 공격 몬스터를 1마리 파괴하고 상대 플레이어에게 그 공격 포인트만큼의 데미지를 준다.|| 원작에서는 [[카이바 세토]]가 [[배틀 시티(유희왕)|배틀 시티]]에서부터 사용한 카드로, 원래 상대 몬스터의 공격 선언 시, 그 몬스터를 파괴하고 공격력만큼의 데미지를 상대에게 주는 효과였다. [[어둠의 유우기]]와 함께한 [[레어 헌터|빛의 가면 & 어둠의 가면]]과의 태그 듀얼에서 처음 사용되었지만, 빛의 가면이 발동한 함정 카드 '저주 이동'의 효과로 인해 자신의 [[블러드 볼스]]가 파괴되면서 오히려 본인이 데미지를 받게 되었다.[* 애니에서는 OCG 효과가 적용된 만큼 양쪽한테 데미지가 주어지니 방어륜도 같이 쓰였지만 어둠의 가면이 애니 오리지널 카드인 '주술 이동'을 사용하여 방어륜 효과를 자기 쪽으로 옮겨서 데미지를 피했다.] 보면 알겠지만 '''원작 [[성스러운 방어막 거울의 힘|성방]]의 하위 호환이다.''' 애니와 현실처럼 프리 체인이 아니라 엄연히 '''상대 몬스터의 공격 선언 시'''만 발동 가능했으며 효과도 공격 몬스터 1마리만이지만 성방은 상대 몬스터를 '''전부''' 파괴하는 데다가 조건부로 공격으로 파괴하는 취급이라면 효과를 무효로 하고 상대에게 전투 데미지까지 준다. 하지만 [[유희왕 듀얼몬스터즈]]에서는 어째서인지 공격 선언시라는 발동 조건이 '''삭제되어''' 엄청나게 강화된 데다가 [[방어륜]]이라는 오리지널 카드도 추가되어 콤보를 앞세워 더 많은 활약을 했다. 애니에서는 항상 방어륜과 콤보로 자신은 데미지를 받지 않았다. 다만 OCG로 발매된 방어륜은 상대에게 가는 데미지도 무효화하므로 쓸 수 없게 된 콤보다. 몬스터를 제거하면서 데미지도 주는 이 카드는 되는데 대미지만 주고 끝나는 [[파이어 볼(유희왕)|파이어 볼]]은 금지되었다는 이유로 주최자라고 자기가 쓰는 카드는 되는 거냐는 식으로 배틀 시티편의 전개를 까는 사람도 있다. 플레이어에게 직접 피해를 주는 효과는 금지하였다는데, 솔리드 비전은 그 자체로는 인체에 해가 없게 설계되어 있지만 카이바에게 진 스고로쿠가 쓰러지는 등 정신적인 피해를 줄 수 있으므로 플레이어를 위협하는 연출이 나오는 카드를 사용하지 못하게 한 것으로 보인다. 폭탄이 달린 고리는 괜찮냐고 하면 미묘해지겠지만 파괴륜은 엄연히 몬스터가 장착하는 것이라서 문제가 없는 것 같다. [[유희왕 R]]에선 [[밴디트 키스]]가 [[죠노우치 카츠야]]와의 듀얼 중 [[7 카드|손목에서 슬쩍 꺼내 쓰려 했으나]], 장착했던 블랙 디스크는 덱에서 드로우한 카드만 필드에 깔 수 있어서 쓰지 못했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에서는 [[미사와 다이치]]가 입학 테스트 때 자신의 [[블러드 볼스]]를 파괴륜으로 터뜨려 승리하는 것으로 처음 등장했다. 이후 [[만죠메 쥰]]이 아카데미아 노스교에서 다수 VS 1 듀얼할 때 카이바처럼 [[분노 팬더]]+이 카드+[[방어륜]]의 3단 콤보로 한 방에 학원의 4천왕을 한꺼번에 쓰러트렸다. 이후 [[텐죠인 아스카]]와의 고백 듀얼 중에는 [[방해꾼]]을 공격하려던 [[블레이드 스케이터]]를 대상으로 발동하여 폭파시켰다. [[유희왕 5D's]]에서 이 카드의 하위 호환인 [[쇼크 웨이브(유희왕)|쇼크 웨이브]]가 나왔지만 방영이 끝나는 순간까지 OCG화되지 못했다. 효과 적용시에는 주로 대상이 되는 몬스터의 목 부분에 부착되는 것으로 묘사되나, [[블레이드 스케이터]]의 경우에는 허리 부분에 생성되는 것으로 나온다.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 ==== 에라타 전 ==== || [[파일:card100020778_1.jpg|width=100%]] || [[파일:RingofDestruction-BP01-EN-R-UE.png|width=99%]] || || 내수판 || 수출판 ||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 명칭=파괴륜, 일어판 명칭=破壊輪(はかいりん), 영어판 명칭=Ring of Destruction, 효과1=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파괴하고\, 양쪽 플레이어는 파괴한 몬스터의 공격력만큼의 데미지를 받는다.)] 구형 텍스트는 '필드 위의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파괴하고, 서로 그 공격력만큼의 데미지를 받는다.' 강력한 제거+번 효과를 지닌 카드. 현 유희왕 환경에서 파괴 효과야 차고 넘쳐나지만, 어디까지나 이는 메인 페이즈에 발동하는 '''몬스터 효과'''에 의존하거나, 특정 카드군이나 조건을 요구하는 게 대다수. 적어도 일개 함정 카드가, 인스턴트 타이밍에 조건없이 공짜로 몬스터 1장을 파괴하는 경우는 없다. 무엇보다도 무시무시한 건 언제든지 몬스터의 공격력을 높은 데미지로 치환하는 효과, 덤으로 무승부를 너무 쉽게 발생시킬 수 있는 카드[* 많은 사람들이 잘 모르는 사실이지만 매치를 치르는 도중 3번의 듀얼로 결판이 나지 않으면 '''엑스트라 턴'''에 돌입하고 먼저 LP가 상대보다 줄어든 쪽이 진다. 이를 노리고 시모치 번 덱에서 일부러 [[자폭 스위치(유희왕)|자폭 스위치]]를 넣어 무승부를 유도하는 우승 덱도 있었다.]인 것이 금지에 결정적인 영향을 줬다. 원래 디자인은 고리에 '''[[수류탄]]'''이 달려 있는 형태인데, 국제판에선 미국의 총기 규제 때문에 수류탄 대신 불이 달려 있다. 그러나 원본보다 이쪽이 더 간지 난다는 의견도 있다. 다만 애니판에선 [[https://vignette.wikia.nocookie.net/yugioh/images/1/19/RingofDestruction-EN-Anime-DM-NC.png/revision/latest?cb=20150321211508|원본의 수류탄을 단순히 페인트 툴을 써서 빨간색으로 덮어놓은 듯한 그림]]으로 수정해서 TCG 일러스트와는 달리 멋이 굉장히 떨어진다. 이후 2019년에 개최된 'Lost Art Promotion' 행사에서 TCG 사양으로도 OCG의 일러스트를 적용한 카드가 발매되었다. ==== 에라타 후 ==== || [[파일:破壊輪(KC01).jpg|width=100%]] || [[파일:external/vignette4.wikia.nocookie.net/RingofDestruction-MP01-KR-MLSR-1E.png|width=100%]] || || 내수판 || 수출판 ||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 명칭=파괴륜, 일어판 명칭=破壊輪(はかいりん), 영어판 명칭=Ring of Destruction, 효과외1=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다., 효과1=①: 상대 턴에\, 상대 LP의 수치 이하의 공격력을 가지는 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앞면 표시 몬스터를 파괴하고\, 자신은 그 몬스터의 원래 공격력만큼의 데미지를 받는다. 그 후\, 자신이 받은 데미지와 같은 수치만큼의 데미지를 상대에게 준다.)] 이후 2015년 1월에 에라타를 먹고 제한으로 풀렸다. 상대 턴에만 발동 가능하고 상대의 LP 이하의 공격력을 지닌 상대 몬스터를 대상으로만 발동이 가능하게 됐다. 게다가 주는 데미지는 원래 공격력으로 한정돼 있어서 예전처럼 몬스터의 공격력을 끌어올려 원턴킬을 낼 수도 없게 됐다. 또한, 자신이 먼저 데미지를 받고 그 수치만큼을 상대에게 주기 때문에 [[지옥문 저편의 총]]을 스스로 체인해도 에라타 전처럼 데미지를 2배로 뻥튀기할 수 없다. 지옥문 저편의 총으로 인해 "파괴륜으로 인해 자신이 받는 데미지"가 0이 되기에, 후속 효과인 "자신이 받은 데미지와 같은 수치의 데미지를 상대에게 준다"라는 효과가 무의미해지기 때문. 게다가 상대가 [[지옥문 저편의 총]]을 쓰면 오히려 파괴륜을 쓴 플레이어가 2배의 데미지를 받게 된다. 이 카드를 이용한 무승부 유도도 불가능해졌다. 에라타 전에는 자신과 상대가 동시에 데미지를 받는 것이었지만 에라타 후에는 파괴하고 자신에게 데미지→그 후에 상대에게 데미지로 변경되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재정이 바뀌면서 특징이 1가지 생겼는데, 임의 유발 효과를 막는다. [[라이트로드 헌터 라이코]]와 비슷한 효과로, 파괴+자신에게 데미지를 주는 효과 후에 또 상대에게 데미지를 주는 효과가 있어서 파괴됐을 때 발동하는 효과, 특히 룡성 같은 경우에는 리크루트를 실행할 수 없다. 그래도 활용도가 크게 너프되거나 아예 다른 카드가 되어버린 타 에라타 카드들에 비교하면 여전히 몬스터를 프리 체인으로 파괴하고 데미지까지 주는 강력한 성능 자체는 유지되었기 때문에 이 카드는 에라타 이후에도 계속 제한 카드 이상의 완화는 받지 않게 되었고, [[죽음의 덱 파괴 바이러스]]마저 16년 4월부로 해제되면서, 비슷한 시기에 에라타된 카드들 중에서는 오랫동안 제한 카드였다. 이후 TCG에서는 2018년 5월 준제한, 9월 무제한으로, OCG에서는 2018년 10월 준제한, 2019년 1월 무제한으로 제제가 완화되었다. 체인 번 덱에서는 여전히 채용할 만한 카드로, 상대의 처치 곤란한 몬스터를 파괴수나 라바 골렘 등으로 치운 다음 상대 턴에 발동 후 이런저런 데미지 카드의 체인을 쌓아 킬각을 볼 수 있다. 이미 발동 조건을 충족한 상태에선 추가 체인으로 상대의 LP를 대상의 공격력 이하로 낮춰도 별문제가 없기 때문에, 자신이 먼저 파괴륜의 데미지로 맞아 죽는 일만 없다면 적극적으로 피니시를 낼 수 있는 비장의 카드. 하지만 대상 지정 내성이나 파괴 내성이나 다른 카드의 효과로 대상 지정을 회피해 버리는 카드가 있을 경우, 쓸모가 없어진다. DDD 신탁왕 다르크나 머티리얼 드래곤처럼 데미지를 라이프 회복으로 바꾸는 카드가 있을 경우, 자신의 라이프만 회복하고 상대의 라이프는 건드리지 않는다. 일단 자신이 먼저 데미지를 받아야 상대에게 같은 데미지를 주는데 자신이 그 데미지를 안 받았기 때문. 한때 국내에선 값이 비싼 카드였다. 나오는 팩이 [[왕가의 수호자]]와 [[익스팬션 팩]] 2로 단둘뿐인데, 그마저도 최상위 레어도라 물량이 적게 풀린 상태였다. 일본에선 [[결투자의 영광]]과 [[밀레니엄 팩]]으로 풀렸고, 이후 한국에선 밀레니엄 팩과 STRUCTURE DECK - 카이바 - 가 정발되면서 한판 파괴륜은 헐값이 됐다. == 수록 팩 일람 == ||수록 시리즈 || ||<(> 2000-12-07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G4-18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4 최강결투자전기|遊戯王デュエルモンスターズ4 最強決闘者戦記 遊戯デッキ 同梱カード]]'''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 + UR)] || ||<(> 2002-01-24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KA-34 | [[스트럭처 덱(유희왕)|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 海馬編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3-12-11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SK2-038 | [[스트럭처 덱(유희왕)|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 海馬編 - Volume 2]]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5-01-10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15AX-JPY51 | [[듀얼리스트의 영광|15周年記念商品 決闘者の栄光 - 記憶の断片 - side:闇遊戯]]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M)][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 || ||<(> 2015-12-19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MP01-JP029 | [[밀레니엄 팩|MILLENNIUM PACK]]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M + SR)] || ||<(> 2016-06-18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SDKS-JP036 | [[스트럭처 덱 무토우 유우기 & 카이바 세토|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 海馬瀬人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7-03-25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ST17-JP036 | [[스타터 덱 2017|STARTER DECK 2017]]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21-08-07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SR12-JP038 | [[잃어버린 성역(스트럭처 덱)|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R-ロスト・サンクチュアリ-]]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22-04-23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KC01-JP055 | 25th ANNIVERSARY ULTIMATE KAIBA SET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 || ||<(> 2003-07-18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PGD-000 | '''[[왕가의 수호자(부스터 팩)|PHARAONIC GUARDIAN]]'''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 || ||<(> 2007-02-06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CP02-EN008 | CHAMPION PACK GAME TWO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09-07-28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RP02-EN066 | RETRO PACK 2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 || ||<(> 2010-04-20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DPKB-EN036 | [[듀얼리스트 팩|DUELIST PACK - KAIBA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L)] || ||<(> 2012-05-28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BP01-EN050 | BATTLE PACK EPIC DAWN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T)] || ||<(> 2015-03-20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PGL2-EN063 | [[골드 시리즈|PREMIUM GOLD: RETURN OF THE BLING]]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GR)] || ||<(> 2015-12-19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MP01-JP029 | [[밀레니엄 팩|MILLENNIUM PACK]]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6-10-21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SDKS-EN033 | [[스트럭처 덱 무토우 유우기 & 카이바 세토|STRUCTURE DECK : SETO KAIBA]]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7-07-21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SDMY-EN009 | [[스타터 덱 2017|STARTER DECK - LINK STRIKE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8-03-09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LCKC-EN050 | LEGENDARY COLLECTION KAIBA MEGA PACK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 || ||<(> 2019-01-01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LART-EN007 | [[더 로스트 아트 프로모션|The Lost Art Promotion]]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 || ||<(> 2024-03-01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KC01-EN055 | 25TH ANNIVERSARY ULTIMATE KAIBA SET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 || ||<(> 2004-12-14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PGD-KR000 | '''[[왕가의 수호자(부스터 팩)|왕가의 수호자]]'''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 || ||<(> 2008-10-21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ESP2-KR054 | [[익스팬션 팩|익스팬션 팩 Vol.2]]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GR)] || ||<(> 2016-09-06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MP01-KR029 | [[밀레니엄 팩]]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M + SR)] || ||<(> 2016-10-07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SDKS-KR036 | [[스트럭처 덱 무토우 유우기 & 카이바 세토|스트럭처 덱 - 카이바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7-07-06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ST17-KR036 | [[스타터 덱 2017]]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20-03-25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15AX-KRY51 | [[듀얼리스트의 영광|듀얼리스트의 영광 -기억의 단편- side: 어둠의 유희]]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 || ||<(> 2021-11-24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SR12-KR038 | [[잃어버린 성역(스트럭처 덱)|스트럭처 덱 R 잃어버린 성역]]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23-02-14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LART-KR007 | [[더 로스트 아트 프로모션|더 로스트 아트 프로모션 Vol.1]]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 || == 관련 카드 == === 서포트 카드 === ==== [[디스트로이 드래곤]] ==== [[크리티우스의 이빨]]의 효과로 특수 소환되는 융합 몬스터. ==== 파괴륜회 ==== || [[파일:破壊輪廻.jpg|width=100%]] || [[파일:800px-LoopofDestruction-EP18-KR-C-UE.png|width=98%]] || || 내수판 || 수출판 ||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지속=, 한글판 명칭=파괴륜회, 일어판 명칭=破壊輪廻(はかいりんね), 영어판 명칭=Loop of Destruction, 효과1=①: 이 카드는 마법 & 함정 존에 존재하는 한\, 카드명을 "파괴륜"으로 취급한다., 효과2=②: 1턴에 1번\, 필드의 몬스터가 효과로 파괴되었을 경우\, 필드의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파괴하고\, 서로 500 데미지를 받는다.)] >'''윤회하는 파괴를 이미지한 필드 파츠.''' >'''이번에는 파괴하는 용도가 아니라,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룰#s-6.4|파괴된 것들이 도착]][[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룰#s-6.9|하는 장소인 것 같다.]]''' >---- >[[유희왕 마스터 듀얼]] 파괴륜회 필드 파츠의 플레이버 텍스트 TCG 선행 발매로 새로 나온 파괴륜. 파괴륜과 같은 이름의 카드로 취급하기 때문에 '''크리티우스의 이빨'''로 '''디스트로이 드래곤'''을 뽑을 수 있다. 둘이 같은 팩에서 나온 것만 봐도 같이 사용하라는 의도가 엿보인다. 이 당시까지만 해도 파괴륜이 제한 카드였다는 점도 고려되었을 것이다. (에라타 후의) 파괴륜에는 "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다."는 명칭 제약이 있으나 파괴륜을 발동한 턴에 파괴륜회를 발동할 수 있고 그 반대 또한 마찬가지이다. 아직 발동하기 전의 이 카드는 이름이 "파괴륜"이 아니기 때문이다. 일본어판 엑스트라 팩 2018에는 내수판 일러 카드와 해외판 일러 카드가 섞여서 봉입되어 있다. 엑스트라 팩에는 가끔 있는 해외판 일러 섞어쓰기 사례 중 하나이다. ||수록 시리즈 || ||<(> 2018-03-09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LCKC-EN110 | '''LEGENDARY COLLECTION KAIBA MEGA PACK'''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 || ||<(> 2018-03-09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LC06-EN005 | LEGENDARY COLLECTION KAIBA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 || ||<(> 2018-09-08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EP18-JP052 | '''[[엑스트라 팩|EXTRA PACK 2018]]'''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8-12-12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EP18-KR052 | '''[[엑스트라 팩|엑스트라 팩 2018]]'''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기타 관련 카드 === ==== [[방어륜]] ==== ==== 파괴 반지 ==== [[파일:card100189299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 명칭=파괴 반지, 일어판 명칭=破壊(はかい)指輪(リング), 영어판 명칭=Destruction Ring, 효과1=자신 필드 위의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파괴하여\, 서로 1000 포인트 데미지를 받는다.)] 에라타 전 파괴륜의 하위 호환. 파괴륜이 에라타되면서 파괴륜의 하위 호환이 아닌 뒤집어놓은 카드로 변했다. 파괴륜과는 달리 자기 필드 위의 몬스터밖에 파괴하지 못한다. 거기다 주는 데미지도 겨우 1000 포인트라서 실용성은 낮다. 상대의 라이프가 1000점 이하로 떨어진 상황이라 하더라도 굳이 이 카드를 안 써도 충분히 이길 수 있는 상황일 가능성이 높다. 카드명은 일본어판 기준으로 '반지(指輪)'라고 쓰고 '링(Ring)'이라 읽는다. 영어명은 파괴륜과 비슷하다. ||수록 시리즈 || ||<(> 2003-07-17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307-046 | '''[[암흑의 침략자|暗黒の侵略者]]'''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5-03-17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EE2-JP102 | [[하이 그레이드 팩|EXPERT EDITION Volume 2]]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4-03-01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IOC-100 | '''[[혼돈의 지배|INVASION OF CHAOS]]'''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05-10-20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DR2-EN101 | [[하이 그레이드 팩|DARK REVELATION Volume 2]]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23-04-21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IOC-EN102 | [[혼돈의 지배|INVASION OF CHAOS (LC01 25th Anniversary Edition)]]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05-06-28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IOC-KR101 | '''[[혼돈의 지배]]'''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06-11-17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HGP2-KR102 | [[하이 그레이드 팩|하이 그레이드 팩 Vol.2]]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헬 블래스트]] ==== ==== [[카오스 버스트]] ==== ==== [[폭풍륜]] ==== === [[유희왕/OCG화되지 않은 카드|OCG화되지 않은 카드]] === ==== [[마루후지 쇼#생명륜|생명륜]] ==== ==== [[쇼크 웨이브(유희왕)|쇼크 웨이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