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992년 출생]][[분류:2011년 데뷔]][[분류:러시아의 축구선수]][[분류:FC 예니세이 크라스노야르스크/은퇴, 이적]][[분류:FC 로스토프/은퇴, 이적]][[분류:FC 시비리 노보시비르스크/은퇴, 이적]][[분류:PFC 크릴리야 소베토프 사마라/은퇴, 이적]][[분류:FC 로코모티프 모스크바/은퇴, 이적]][[분류:FC 토스노/은퇴, 이적]][[분류:PFC 소치/현역]][[분류:사마라 주 출신 인물]] [include(틀:PFC 소치/간략)]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imofeyMagrasov.jpg|width=100%]]}}} || ||<-2> '''{{{#002c4e PFC 소치 No. 34}}}''' || ||<-2> '''{{{#ffffff 티모페이 뱌체슬라보비치 마르가소프[br](Тимофей Вячеславович Маргасов)}}}''' || || '''생년월일''' || [[1992년]] [[7월 12일]] ([age(1992-07-12)]세) || || '''{{{#002c4e 국적}}}'''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8]] [[러시아]] || || '''{{{#002c4e 출신지}}}''' || [[러시아]] [[사마라 주]] [[톨리야티]] || || '''{{{#002c4e 포지션}}}''' || [[라이트백]] || || '''{{{#002c4e 신체조건}}}''' || 181cm, 77kg || || '''{{{#002c4e 주발}}}''' || 오른발 || || '''{{{#002c4e 유소년 클럽}}}''' || [[유리 코노플료프 아카데미]] (2000~2011) || || '''{{{#002c4e 소속팀}}}''' || [[FC 아카데미야 톨리야티]] (2011~2012)[br][[FC 예니세이 크라스노야르스크]] (2012)[br][[FC 로스토프]] (2013~2016)[br][[FC 시비리 노보시비르스크]] (2014~2015, 임대)[br][[PFC 크릴리야 소베토프 사마라]] (2016)[br][[FC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2017~2020)[br][[FC 토스노]] (2018, 임대)[br][[PFC 소치]] (2019~2020)[br][[PFC 소치]] (2020~) || || '''{{{#002c4e 국가대표}}}''' || [[러시아 축구 국가대표팀|러시아 U-21]] (2014) 2경기 || [목차] == 개요 == 러시아 국적의 축구선수. 현재 [[PFC 소치]]에서 뛰고 있다. == 선수 커리어 == 유리 코노플료프 아카데미를 졸업한 뒤, 2012년 여름 예니세이 크라스노야르스크로 이적한다. 2013년 2월 4일, 로스토프와 2년반 계약을 체결하였고, 3월 15일 볼가 니즈니 노브고로드를 상대로 데뷔전을 치른다. 2013년 5월에는 카잔 하계 유니버시아드 러시아 대표팀 확장엔트리에 뽑혔으나, 최종 엔트리엔 들지 못하였다. 2014-15시즌 시비리 노보시비리스크로 한차례 임대되었다. 2016년 여름에 로스토프를 떠났다. 총 리그 39경기를 뛰었다. 스포르팅 리스본과 브라가, 트라브존스포르 이적설이 떴지만, 결국 8월 31일에 크릴리야 소베토프 사마라와 계약을 체결하여 총 5경기를 뛰었다. 2017년 2월 4일 로코모티프 모스크바와 계약하여 반시즌동안 2경기를 뛰었다. 2017-18시즌 전반기에는 유스리그에서 뛰었고, 겨울에는 토스노로 임대를 가 러시아 컵 우승을 하게 된다. 토스노가 재정난으로 해체된 뒤, 로코모티프 모스크바로 복귀하였지만 출전은 하지 못하였고 2019년 2월 22일에 소치로 임대된다. 2019-20시즌 소치의 프리미어 리그 참가가 확정된 뒤, 소치로 완전이적에 성공한다. == 수상 경력 == '''FC 로스토프 소속''' * 러시아 컵 우승 - 2013-14 '''FC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소속''' * 러시아 컵 우승 - 2016-17 '''FC 토스노 소속''' * 러시아 컵 우승 - 2017-18 == 같이 보기 == [include(틀:PFC 소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