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도미니카 공화국 프로야구 리그]] [include(틀:도미니카 공화국 프로야구 리그)] ||<-2> [[파일:Tigres del Licey 로고 .png|width=50%&bgcolor=#fff]] ||<-2> [[파일:티그레스 델 리세이.png|width=50%]] || ||<-2> 모자 로고 ||<-2> 구단 로고 || ||<-4> '''{{{+1 티그레스 델 리세이}}}''' || ||<-4> '''{{{#091F92 {{{+1 Tigres del Licey}}}}}}''' || || '''창단''' ||<-3>[[1907년]] [[11월 7일]]^^([age(1907-11-07)]주년)^^ || || '''연고지''' ||<-3>[[산토도밍고]] || || '''소속 리그''' ||<-3>'''[[도미니카 공화국 프로야구 리그]] (1951년~)''' || || '''홈 구장''' ||<-3>'''[[에스타디오 키스케야]] (Estadio Quisqueya)''' || || '''팀 마스코트''' ||<-3>'''[[호랑이]] (El Tigrerito)''' || || '''별명''' ||<-3>'''엘 글로리오소 (El Glorioso)''' || || '''리그 우승'''[br]'''(23회/최다우승)'''[* [[도미니카 공화국 프로야구 리그|LIDOM]]이 시작된 1951년부터 작성, 리그가 끝난 해를 기준으로 작성.] ||<-3>'''[[1951년]]''', '''[[1953년]]''', '''[[1959년]]''', '''[[1964년]]''', [br]'''[[1970년]]''', '''[[1971년]]''', '''[[1973년]]''', '''[[1974년]]''', [br]'''[[1977년]]''', '''[[1980년]]''', '''[[1983년]]''', '''[[1984년]]''', [br]'''[[1985년]]''', '''[[1991년]]''', '''[[1994년]]''', '''[[1999년]]''', [br]'''[[2002년]]''', '''[[2004년]]''', '''[[2006년]]''', '''[[2009년]]''', [br]'''[[2014년]]''', '''[[2017년]]''', '''[[2023년]]''' || || '''캐리비언 시리즈 우승'''[br]'''(11회/최다우승)''' ||<-3>'''[[1971년]]''', '''[[1973년]]''', '''[[1977년]]''', '''[[1980년]]''', [br]'''[[1985년]]''', '''[[1991년]]''', '''[[1994년]]''', '''[[1999년]]''', [br]'''[[2004년]]''', '''[[2008년]]'''[* 2008년에는 [[아길라스 시바에냐스]]와 함께 같은 리그의 2팀이 캐리비언 시리즈에 참가했는데 그 중 이 팀이 우승하였다.], '''[[2023년]]''' || || '''감독''' ||<-3> || || '''역대 한국인 선수''' ||<-3> || || '''로컬 TV 중계''' ||<-3> || || '''SNS 계정''' ||<-3> [[https://www.licey.com|[[파일:티그레스 델 리세이.png|width=30]]]] | [[http://facebook.com/TigresdelLicey|[[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 [[https://instagram.com/tigresdellicey|[[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TigresdelLicey, 크기=20)] || [목차] == 개요 == [[도미니카 공화국 프로야구 리그]] 소속의 팀. [[도미니카 공화국]]의 수도인 [[산토도밍고]]를 연고로 하였으며,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구단이다. 게다가 통산 23회의 도미니칸 윈터 리그 우승과 11회의 [[캐리비언 시리즈]] 우승을 거머쥔 [[카리브 해]] 지역 최강의 야구팀이다. == 역사 == 1900년까지 [[도미니카 공화국]]에서는 야구의 인기가 높지 않은 편이었다. 이는 당시 국가의 극심한 정치적 혼란이 큰 이유였고, 야구는 그저 사소한 오락거리에 불과했다. 그러나 1900년대 중반에는 두 아마추어 야구팀인 오자마(Ozama)와 누에보 클루브(Nuevo Club)가 가장 인기를 끌면서 야구의 인기가 높아지고 있었고, 1907년 11월 7일 리세이(Licey) 팀이 창단된다. 리세이는 오자마와 누에보 클루브와 야구 패권을 가지고 경쟁하다가 두 팀이 사라지고 나서야 비로소 자리잡을 수 있게 되었다. 한편 '''리세이 (Licey)'''라는 팀명은 팀의 창립자 중 한 명인 판초 피아요(Pancho Fiallo)라는 사람이 제안하였는데, 유니폼 앞면에 눈에 잘 띄는 알파벳 5글자라는 점과 평소에 자주 건너던 동네 개울 이름인 리세이(Licey)를 떠올려 이름 지었다고 한다. == 주요 선수 == 보스턴 AAA 계투로 뛰다가 FA가 된 조너선 아로, 삼성과 대만에서 뛴 노장 [[알프레도 피가로]], 긴 공백을 깨고 최근 복귀한 텍사스 마이너리거 [[치치 곤잘레스]], SK에서 뛴적 있는 워싱턴 AAA [[브라울리오 라라]], 워싱턴 AAA 선발투수 토미 밀론, KBO에서 뛰었던 [[에스밀 로저스]], 휴스턴 AAA 선발 브랜던 맥커리, 텍사스 AAA 불펜 40인 투수 코너 사첵이 투수로 참여한다. 야수로는 한국과 일본에 뛰었던 [[야마이코 나바로]](이젠 1루수로 등록됨)와 요미우리에서 실패한 후안 프란시스코, 신시내티 백업 내야수 딜슨 에레라가 있다. 외야수는 40인 로스터 내 선수가 셋으로 신시내티 [[아리스티데스 아퀴노]], 에인절스 마이클 에르모실로, 피츠버그 파블로 레예스가 이들이다. 최근에 [[kt wiz]]와 [[한신 타이거즈]]에서 뛰었던 [[멜 로하스 주니어]]가 이 팀에 합류하였다. 이후 [[LG 트윈스]]에서 뛰었던 [[로벨 가르시아]]가 이 팀과 계약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