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태양계)] [include(틀:해왕성/위성)] ||<:><-2>[[영어]]: Triton[br][[중국어]]: 海卫一[br][[일본어]]: トリトン[br][[에스페란토]]:Tritono|| ||<-2>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00px-Triton_moon_mosaic_Voyager_2_%28large%29.jpg|width=100%]][br]{{{#FFFFFF {{{-3 촬영: [[보이저(탐사선)|{{{#FFBBBB Voyager 2}}}]] (NASA, 1989)}}}}}}[* [[보이저(탐사선)|보이저 2호]]가 촬영한 사진으로 당시 그림자가 생겨 윗부분은 못 찍었다. [[https://www.flickr.com/photos/nasacommons/9464661353/|출처]] ] || ||<:> '''모천체'''||[[해왕성]]|| ||<:> '''구분'''||대형 위성[br]불규칙 위성|| ||<:> '''지름'''||2,706.8km(±1.8km)|| ||<:> '''표면적'''||2.3018×10^^7^^ km^^2^^|| ||<:> '''질량'''||2.14×10^^22^^ kg|| ||<:> '''평균거리'''||354,759km|| ||<:> '''궤도경사각'''||156.885°{{{-3 (해왕성 적도면 기준)}}} 129.812°{{{-3 (황도면 기준)}}}|| ||<:> '''이심률'''||0.000016|| ||<:> '''공전주기'''||5.876854일|| ||<:> '''자전주기'''||조석 고정|| ||<:> '''자전축 기울기'''||0°|| ||<:> '''대기압'''||1.4~1.9Pa {{{-3 (지구 대기압의 1/70,000)}}}|| ||<:> '''대기조성'''||질소 및 메탄|| ||<:> '''표면 온도'''||38K(−235.2°C)|| ||<:> '''겉보기 등급'''||13.47|| ||<:> '''표면중력'''||0.779m/s^^2^^{{{-3 (달의 48%)}}}||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5px" [youtube(cR9uphgMZ8U)]}}} || || '''[[왜소행성]]을 붙잡는 방법 - 트리톤'''[* [[Kurzgesagt – In a Nutshell|쿠르츠게작트]]의 영상.] || [[해왕성]]의 제1위성이다. 명왕성보다 크다. == 특징 == [[해왕성]]의 [[위성]]들 가운데 가장 크다. 반지름은 1353km로, [[태양계]] 전체의 위성들 가운데 7번째의 크기이다.(비교: [[달]] - 1737km, [[명왕성]] - 1185km) 해왕성을 도는 나머지 13개 위성들의 질량을 몽땅 더해 봐야 트리톤 질량의 '''0.3%'''수준. 또한 트리톤보다 작은 태양계의 모든 위성들의 질량을 더해도 트리톤이 더 무겁다. 해왕성을 발견한 지 고작 17일(1846년 10월 10일)만에 [[영국]]의 윌리엄 러셀이 찾았다. [[공전]] 방향이 [[행성]]의 자전 방향과 반대이며 구성 성분이 [[명왕성]]과 비슷해, [[태양계]]가 나타날 때 [[해왕성]]과 함께 나온 위성이 아니라 해왕성이 [[카이퍼 벨트]]의 천체를 잡은 듯하다. 공전 방향이 행성 공전 방향과 반대인 위성은 [[목성]]이나 [[토성]]에도 있지만 트리톤은 개중에서 유난히 질량이 크고 [[해왕성]]에 가깝다. 반대 방향으로 공전하는 다른 위성들은 대체로 다른 위성들보다 행성에서 멀며, 크기 또한 훨씬 작아서 구형을 못 이루고 불규칙한 형상이다. 반대 방향으로 공전하는 위성들 가운데 트리톤을 빼고 최대의 크기인 위성은 토성의 [[포에베]]인데, 크기는 트리톤의 8%, 질량은 0.03%일 뿐이다. 또한 대개의 포획 위성들과는 달리, 트리톤의 공전궤도는 거의 원에 가깝다.[* 일설에 따르면 본래 원 궤도로 돌고 있던 다른 위성들 근처에 트리톤이 해왕성에 접근하면서 그 체계가 엉망이 되고 기존의 위성들 자리에 트리톤이 끼어 들었다고 하는 설도 있다. 다만 트리톤이 현재 거꾸로 돌기는 하지만 원에 가까운 궤도라서 정말 단순히 조석력만으로 포획당할 때의 타원 궤도에서 원 궤도가 가능한지에 대해서 의문을 표하는 과학자들도 있다.] 트리톤에는 [[질소]] 대기가 있으며, 지표 근처에서는 질소 구름과 [[일산화탄소]], [[메테인|메탄]]이 있다. 트리톤의 표면은 그리 오래되지 않은 듯하며, 위성들 가운데 드물게도 활발한 지각변동을 보여준다. 해왕성의 조석력 때문에, [[목성]]의 위성 [[이오(위성)|이오]]처럼 간헐적인 [[화산]] 활동이 있다. 대기압은 지구의 7만분의 1 정도지만, [[구름]]이 관측되기도 했다. 트리톤-[[해왕성]]의 거리는 대략 [[지구]]-[[달]]의 거리와 비슷한데, 해왕성이 지구보다 훨씬 커서 트리톤은 해왕성의 [[중력]] 영향을 매우 크게 받는다. 표면 온도가 매우 낮은 것으로도 유명하다. 평균 표면 온도는 35K. 즉 -238도 수준이며 40K 이상으로 올라가는 경우는 없다.[* [[에리스(왜행성)|에리스]]의 표면 최저온도는 -243도 수준이다. 트리톤의 낮은 표면 온도는 높은 반사율과 기상현상 때문인 듯.] 트리톤은 해왕성의 자전방향과 반대로 공전하여 점점 에너지를 잃어 해왕성에 점점 가까워져 가고 있다. 대략 36억 년 뒤면 [[로슈 한계|해왕성에 의해 산산조각날 운명이 예측된다고 한다]]. 그럼에도 연구 대상이 많다보니 트리톤에 착륙하여 트리톤을 탐사하는 방법이 현재 연구 중이다.[[https://en.wikipedia.org/wiki/Triton_Hopper|트리톤 호퍼]], [[https://www.nasa.gov/feature/jpl/proposed-nasa-mission-would-visit-neptunes-curious-moon-triton|트라이던트의 계획]] [[https://www.nasa.gov/sites/default/files/for_stsci_site_imageb-neptunelabeled.png|제임스 웹이 촬영한 해왕성과 트리톤 등의 위성의 사진.]] 트리톤은 해왕성과는 상관없는 배경의 별이라고 해도 믿을만한 비주얼이다. == 관련 문서 == * [[해왕성]] * [[위성]] * [[바운스볼/월드/트리톤]] [[분류:해왕성의 위성]][[분류:나무위키 천문학 프로젝트]][[분류:역행 불규칙 위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