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유희왕/OCG/테마)] [include(틀:성유물 스토리 관련 카드군)] ||<:><-6> '''{{{#!html트로이메어}}}''' || ||<-6><:>{{{#!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성유물로 유혹하는 악몽.png|width=100%]][br] ,,[[#성유물로 유혹하는 악몽|{{{#9065B2 성유물로 유혹하는 악몽}}}]],,}}}|| || '''{{{#!html한국어판 명칭}}}''' ||<-5> '''트로이메어''' || || '''{{{#!html일어판 명칭}}}''' ||<-5> '''トロイメア''' || || '''{{{#!html영어판 명칭}}}''' ||<-5> '''Knightmare''' || ||<-2> '''{{{#!html속성}}}''' ||<-2> '''{{{#!html종족}}}''' ||<-2> '''{{{#!html관련 카테고리}}}''' || ||<-2> [[유희왕/속성|다양]] ||<-2> [[악마족]] ||<-2> 효과[br][[링크 소환]][br][[엑스트라 링크]] || [목차] [clearfix] == 개요 == [[플레임즈 오브 디스트럭션]]에서 첫 등장한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카드군. 아트북에서 공개된 이름의 어원은 [[트로이 목마]], [[트로이메라이]], [[나이트메어]]의 합성어다. “Mare” 자체가 영어권에서 “꿈의 악마”와 “암컷 말”이란 2가지 뜻을 가진 단어라, 이브리스의 스토리상 위치에 대한 언어유희로도 볼 수 있다.[* 리스는 아우람 일행에게 성유물을 찾아달라고 부탁했지만 이브를 타락시켜 야욕을 드러냈으니 트로이 목마다운 행적을 남겼다. [[트로이 목마(악성코드)|트로이 목마 바이러스]]를 생각하면 디스트로이메어 이브리스가 사이버스족인 것도 납득된다.] 단테의 [[신곡]]에 등장하는 지옥 '프톨로메아(Ptolomaea)'[* 지옥의 최하층인 9층 배반 지옥, 얼음 호수 [[코퀴토스]]의 3번째 지옥이다. [[접대의 관습|손님을 배신한]] 자들이 머리만 빼고 얼음 속에 갇히는 지옥으로, 리스는 자신의 부탁을 받아 성유물을 활성화시키려는 아우람 일행을 배신하고 이브의 몸을 빼앗았다.]에서도 이름의 모티브를 따온 게 아니냐는 의견도 있다. 아트북에서의 언급에 의하면, 이 몬스터들은 홀로그램 형태의 반 실체 몬스터들이라고 한다. 영어판에선 [[잭나이츠|Mekk-'''Knight''']] + [[나이트메어|Night'''mare''']]의 합성으로 명명했는데, 공교롭게도 [[마성전설 시리즈]]의 영어 명칭도 Knightmare다. 잭나이츠 입장에선 자신들이 처치한 줄 알았던 리스에 의해 고철 덩어리와 합쳐져 끔찍한 혼종으로 재탄생했으니 말 그대로 악몽일 것이다. == 설명 == === 스토리 === 설정상 성유물 시리즈에서 [[잭나이츠]]의 뒤를 잇는 대립세력이자[* 잭나이츠가 스토리상 '악당은 아닌 [[반동인물]]'에 속하는 반면 트로이메어는 리스의 수족으로 변명할 여지도 없이 확실한 악역인 게 차이점.] 진정한 악역 세력. 본성을 드러내어 [[성잔을 받드는 무녀|이브]]의 육체를 빼앗아 [[디스트로이메어 이브리스]]가 된 [[성잔의 요정 리스|리스]]가 잭나이츠들이 결합한 성흔의 잭나이츠를 처치해서 얻은 잭나이츠 6기의 코어와 무기로 만든 병기들이다.[* 7기의 잭나이츠 중 핵심인 창궁의 잭나이츠만은 치명상을 입었으나 코어를 빼앗기지 않았으며, 이렇게 지켜낸 코어와 자신의 남은 모든 힘을 바쳐 아우람을 구출해 주고, 그에게 모든 힘과 이브에게서 확보한 열쇠의 힘을 모조리 양도한 뒤 소멸했다.] 링크 몬스터들은 전부 동일한 색의 잭나이츠의 코어와 무기를 신체 파츠로 쓴다. 다만 잭나이츠 시절엔 속성이 전부 빛 속성이었던 반면, 각 트로이메어는 코어의 색에 따라 속성이 다르다. "성잔'''신악''' 이브"의 음악 능력이 쓰였는지 트로이메어의 몸엔 전부 음악 기호가 보이고, 리스 자체가 성잔의 요정이었기 때문인지 성유물과 성잔 링크 몬스터의 디자인적 요소가 군데군데 보인다. 또한 트로이메어 곳곳에 고철 등이 붙어있는 걸 보면 급하게 만드느라 크롤러의 부품도 끌어썼던 모양이다. 하지만 이렇게 급조한 것이 원인인지, 실제 카드들의 흉악한 성능에 비해 설정상 위용은 초라하기 그지없다. 트로이메어들은 성창을 기동시키러 가는 이브리스를 쫓아가는 [[성잔에 선택받은 자|아우람]]과 임두크를 가로막는데 이 때 [[성잔에 이끌린 자|기르수]]가 나타난다. 기르수는 성잔의 힘이 없는데도 불구하고[* 입고 있는 옷이나 들고 있는 창을 보면 성잔전사 닝기르수가 아닌 성잔에 이끌린 자일 때와 동일하다.] 일단 [[트로이메어 인어]]를 쳐부수고 이후에 고블린, 케르베로스, 피닉스, 유니콘, 그리폰과 1:5로 맞붙는데(성유물로 유혹하는 악몽) 마스터 듀얼에서 밝혀진 바에 따르면 기르수가 이들을 전부 단신으로 제압했다. 심지어 이후 장면에서도(성유물에 울리는 잔규) 옷만 좀 너덜너덜해졌지 큰 상처도 안 보인다. 즉 성잔의 힘도 없는 맨몸의 기르수가 트로이메어를 '''1:6'''으로 몰살했다는 뜻이다. 이들이 잭나이츠였을 때는 닝기르수가 성잔의 힘을 받은 상태로 싸웠음에도 쓰러뜨리지 못했던 것을 생각하면 트로이메어들의 전투력은 원본 잭나이츠에 한참 미치지 못하는 모양이다. 다만 트로이메어들의 코어에서 빛이 이브리스 쪽으로 날아가는걸 보면, 리스가 기르수의 발목을 잡을 정도의 여력만 남기고 나머지 힘을 회수했을 가능성도 있다. === 성능 === ||<:>상대 메인 몬스터 존||<:>상대 메인 몬스터 존||<:>[[디스트로이메어 이브리스|[[파일:상대 수비표시 이브리스.jpg|width=150]]]]||<:>상대 메인 몬스터 존||<:>상대 메인 몬스터 존|| ||<:>X||<:>[[트로이메어#트로이메어 유니콘|[[파일:トロイメア・ユニコーン.jpg|width=100]]]]||<:>X||<:>[[트로이메어 인어|[[파일:トロイメア・マーメイド.jpg|width=100]]]]||<:>X|| ||<:>자신 메인 몬스터 존||<:>[[트로이메어#트로이메어 피닉스|[[파일:トロイメア・フェニックス.jpg|width=100]]]]||<:>[[트로이메어 고블린|[[파일:トロイメア・ゴブリン.jpg|width=100]]]]||<:>[[트라이게이트 위저드|[[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56272_1.jpg|width=100]]]]||<:>[[트로이메어#트로이메어 케로베로스|[[파일:トロイメア・ケルベロス.jpg|width=100]]]]|| ▲ 전성기 트로이메어의 엑스트라 링크 중 하나. 6시 방향의 필드 위의 몬스터들은 [[트로이메어 고블린]]의 효과로 대상 지정 내성, [[#트로이메어 피닉스|트로이메어 피닉스]]의 효과로 전투 파괴 내성, [[#트로이메어 케로베로스|트로이메어 케로베로스]]의 효과로 효과 파괴 내성을 얻으며, 6시 방향의 플레이어는 [[#트로이메어 유니콘|트로이메어 유니콘]]의 효과로 인해 일반 드로우할 때마다 '''5장씩''' 드로우한다. 반면 12시 방향의 플레이어는 [[디스트로이메어 이브리스]]의 효과와 엑스트라 링크로 인해 특수 소환이 불가능하다. 거기에 일반 소환을 시도해도 [[트로이메어 인어]]의 효과로 공/수가 1000씩 내려가기까지 하며, 트로이메어들과 같이 서 있는 카드인 [[트라이게이트 위저드]] 또한 퍼미션 효과까지 알뜰하게 쓸 수 있다. 이 당시는 이 필드를 '''[[종말의 기사]] 단 한 장만 잡아도''' 낼 수 있었다. 전체적으로 상호 링크를 통한 연계를 통해 효과를 얻고 전개하는 방식의 카드군이다. 링크 몬스터들의 소재가 특이하게도 인어를 제외하면 모두 카드명이 다른 몬스터를 2장(이상) 요구한다. 즉 용병 테마인 [[소환수(유희왕)|소환수]]처럼 범용성을 극대화시킨 테마. 당장 메인 덱 몬스터가 3장뿐인 것만 봐도 알 수 있다. 전술했듯이 트로이메어는 상호 링크 유지가 중요해서, 전개력이 우수한 테마나 덱을 따로 구축해 쓰는 게 좋다. 공통적으로 링크 소환에 성공했을 때 패를 1장 버리고 발동하는 ①의 효과에 발동할 때 해당 카드가 상호 링크됐다면 덱에서 1장 드로우하는 효과가 있다. 다수의 상호 링크를 유지하려면 그만큼 많은 몬스터를 전개해야 하니 어드밴티지 소모가 큰 구조라 준 혜택인 듯하지만, 기본적으로 패를 버리고 발동하는 효과의 후속이라 [[신검-피닉스 블레이드]]처럼 코스트로 끝없이 써먹을 수 있는 카드가 있는 게 아닌 한 필드에서 소모된 어드밴티지를 회복하는 수준까진 바라기 힘들다.[* 이 효과가 드로우를 포함해서 [[하루 우라라(유희왕)|하루 우라라]]에 막힐 수도 있다. 다만 발동 시에 상호 링크였는지를 체크한 후 드로우 효과 포함 여부가 결정되므로, 상호 링크 상태가 아닌 상태에서 발동한 효과는 하루 우라라로 못 막는다.] 또한 대다수가 '''상호 링크 상태인 필드의 몬스터'''에게 메리트를 주는 지속 효과가 있다. 예외적으로 트로이메어 그리폰이 그냥 링크 상태를 지정하는데, 몬스터의 효과 발동을 막는 만큼 상대가 뚫기 너무 난해하지 않도록 / 자신이 후속 전개하는 데 너무 방해되지 않도록 하는 선에서 지정된 걸로 보인다. 트로이메어의 존재 의의는 바로 '''엑스트라 링크 자체가 강력한 빌드로 자리잡게 됐다는 것'''이다. 대다수의 링크 몬스터가 후속 전개를 위해 대각선 아래쪽 마커를 가진 반면 대각선 위쪽 마커를 가진 링크 몬스터가 없어 상하좌우 4방향의 링크 마커로만 엑스트라 링크를 구축해야 했는데, 이에 쓰이는 링크 몬스터 중에서 완성된 필드를 보호해줄 몬스터가 그리 많지 않았다. [[파이어월 드래곤]]은 회수 / 바운스 효과가 있지만 1회성인 데다 특수 소환 효과 때문에 금지 및 에라타가 됐고, [[트라이게이트 위저드]]가 3 상호 링크시 효과 발동 무효를 쓸 순 있지만 토큰도 소재로 못 하면서 기본적인 U자형 전개에 추가 상호 링크가 필요한지라 운용 난이도가 높았다. 거기에 엑스트라 링크의 목적 중 하나인 '상대 엑스트라 덱 몬스터의 소환 봉쇄'까지 생각하면 엑스트라 몬스터 존엔 상단 마커 없이 하단 마커를 지닌 링크 몬스터만 놓아야 하기에, 사용 가능한 몬스터가 한정될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트로이메어로 엑스트라 링크를 하면 상대 타점 감소 / 파괴 내성 / 대상 지정 불가 / 상대 몬스터 효과 발동 불가 등 강력한 지속 효과로 필드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엑스트라 링크의 핵심 몬스터였던 [[트라이게이트 위저드]]도 이런 지속 효과의 혜택을 받기에 단순히 전개하면서 링크 몬스터를 남기는 수준의 기존 엑스트라 링크 빌드와는 격이 다른 압박감을 줄 수 있다. 전개 중 효과를 발동해 패를 교환하는 등 소소한 보너스도 있고, 트로이메어 인어와 트로이메어 유니콘이 위쪽 마커 없이 아래쪽 마커만 있어서 전개의 마무리도 깔끔하게 지을 수 있다. 보통 [[얼터가이스트]]나 [[서브테러]]처럼 링크 몬스터 이외의 엑스트라 덱 사용률이 낮았던 덱을 필두로 여러 덱에서 범용 링크 2~3 몬스터들이 용병으로 활약했다. 그러나 전개 자체가 메리트인 그 특성상 엑스트라 링크 수준의 대량 전개를 노리고 풀투입한다면 [[인페르니티]], [[성잔]], [[강귀]] 등 빠른 링크 소환으로 정평이 난 덱들과 궁합이 좋다. 안정적인 전개력의 대표 주자였던 [[식물 링크]]도 비공인 대회지만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boardgame&no=1473497|우승 덱이]] [[http://tenjobangkuru.tenjo.wikion.com/221194966222|나오기도 했다.]] 오히려 이런 전개할 결과물이 생긴 것으로 전개력이 발굴된 사례도 있으며, 대표적으로 [[ABC(유희왕)|ABC]]가 링크 주축으로 예상 외의 재등장을 하기도 했다. 유희왕 유저들 사이에선 신 마스터 룰 이후 링크 몬스터 인플레의 변곡점이자 듀얼 환경 획일화의 원흉으로 꼽힌다. 소재 조건이 워낙 널널하다 보니 어느 덱에서나 쓰기 쉽고, 어지간한 전개 덱의 태반은 트로이메어 엑스트라 링크 덱이 되어버렸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트로이메어 고블린과 트로이메어 인어[* 다만 인어의 제재는 해당 사유보단 [[오르페골]]때문이다. 아무 몬스터 2장으로 [[오르페골 트로이메어]]를 소환해 안정적인 움직임이 가능했기 때문.]가 금지됐다. 엑스트라 링크 축이 몰락한 이후로는 피닉스, 케로베로스, 유니콘만이 9기의 [[조총사 카스텔]]에 가까운 범용 제거 몬스터로 투입되며, 이들도 [[에스:피 리틀나이트]]로 대체되었다. 스토리를 중시하는 로망 유저라면 원본인 잭나이츠도 의외로 상성이 나쁘지 않다. 잭나이츠 공통의 특수 소환 효과를 이용하면 패 코스트가 심하지만 링크 소재를 마련할 수 있고, 상호 링크를 잘 맞춘다는 전제 하에 패 소모도 줄일 수 있으면서 이브리스에게 마개조당하는 잭나이츠들을 재현할 수 있다. == 효과 몬스터 == === 레벨 2 === ==== [[디스트로이메어 이브리스]] ==== 트로이메어의 수장이자 이브에 빙의한 리스. === 레벨 7 === ==== [[오르페골 트로이메어]] ==== 오르페골 갈라테아의 몸을 빌려 부활한 이브리스. === 레벨 9 === ==== [[아스트로이메어 이드리스]] ==== 이브의 영혼과 수호룡들을 흡수해 반신(半神)이 된 리스. == 링크 몬스터 == === 링크 1 === ==== [[트로이메어 인어]] ==== 감벽의 잭나이츠를 사용해 제작한 트로이메어. === 링크 2 === ==== [[트로이메어 고블린]] ==== 취람의 잭나이츠를 사용해 제작한 트로이메어. ==== 트로이메어 케로베로스 ==== [[파일:トロイメア・ケルベロス.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링크=, 한글판명칭=트로이메어 케로베로스, 일어판명칭=トロイメア・ケルベロス, 영어판명칭=Knightmare Cerberus, 속성=땅, 레벨=2, 공격력=1600, 종족=악마족, link4=, link8=, 소재=카드명이 다른 몬스터 2장,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링크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 패를 1장 버리고\, 상대 메인 몬스터 존의 특수 소환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파괴한다. 이 효과의 발동시에 이 카드가 상호 링크 상태였을 경우\, 추가로 자신은 덱에서 1장 드로우할 수 있다., 효과2=②: 이 카드가 몬스터 존에 존재하는 한\, 자신 필드의 상호 링크 상태의 몬스터는 효과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최대 상호 링크할 수 있는 포석> || X || 엑스트라 몬스터 존 || X || 링크 몬스터[br](상호 링크)[br]↓ || X || || 자신의 메인 몬스터 존 || 자신의 메인 몬스터 존 || 링크 몬스터→[br](상호 링크) || {{{#white ↑[br]←'''트로이메어'''[br]'''케로베로스'''}}} || 자신의 메인 몬스터 존 || 등영의 잭나이츠를 사용해 제작한 트로이메어. 얼굴에 새겨진 음악 기호는 세뇨[* 달 세뇨 지시가 있는 곳에서 이 세뇨 마크가 있는 곳으로 이동하여 연주하란 뜻이다.]. ①의 효과는 링크 소환시 상대 메인 몬스터 존 한정 [[죽은 자에게 흔드는 손]]. 그러나 특수 소환된 몬스터만 대상으로 할 수 있고, 엑스트라 몬스터 존은 못 건드려서 발동 조건과 코스트에 비해 약한 효과다. 사실상 선턴 빌드 중엔 못 쓰는 효과. ②의 효과는 상호 링크된 몬스터에게 효과 파괴 내성을 부여해 주는데, 대체로 트로이메어 고블린보다 효과 자체는 떨어지지만 대상 비지정 카드의 파괴를 막아줄 수 있으니 일장일단이 있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플레임즈 오브 디스트럭션|FLAMES OF DESTRUCTION]] || FLOD-JP045 ||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플레임즈 오브 디스트럭션|Flames of Destruction]] || FLOD-EN045 || [[슈퍼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플레임즈 오브 디스트럭션]] || FLOD-KR045 ||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트로이메어 피닉스 ==== [[파일:トロイメア・フェニックス.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링크=, 한글판명칭=트로이메어 피닉스, 일어판명칭=トロイメア・フェニックス, 영어판명칭=Knightmare Phoenix, 속성=화염, 레벨=2, 공격력=1900, 종족=악마족, link6=, link8=, 소재=카드명이 다른 몬스터 2장,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링크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 패를 1장 버리고\, 상대 필드의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파괴한다. 이 효과의 발동시에 이 카드가 상호 링크 상태였을 경우\, 추가로 자신은 덱에서 1장 드로우할 수 있다., 효과2=②: 이 카드가 몬스터 존에 존재하는 한\, 자신 필드의 상호 링크 상태의 몬스터는 전투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최대 상호 링크할 수 있는 포석> || X || 링크 몬스터[br](상호 링크)[br]↓ || X || 엑스트라 몬스터 존 || X || || 자신의 메인 몬스터 존 || {{{#white ↑→ [br]'''트로이메어'''[br]'''피닉스'''}}} || ←링크 몬스터[br](상호 링크) || 자신의 메인 몬스터 존 || 자신의 메인 몬스터 존 || 홍련의 잭나이츠를 사용해 제작한 트로이메어. 얼굴에 새겨진 음악 기호는 [[코다]]. ①의 효과는 트로이메어 케로베로스의 마법 & 함정 카드 버전이고, ②의 효과는 전투 파괴 내성. 링크 마커도 그렇고, 트로이메어 케로베로스와 대칭이다. 전투 파괴 내성이란 점에서 효과 파괴 내성인 트로이메어 케로베로스보다 낮게 평가받기도 했지만, 보통 엑스트라 링크의 마무리로 [[링크리보]]나 [[링크 스파이더]] 등 공격력이 낮은 링크 1 몬스터가 쓰이기에 유용한 효과다. 자체 공격력도 무난하고, 마법 / 함정 파괴 효과도 트로이메어 케로베로스의 효과보단 쓰기 편해, 보다 범용적인 용병으로 활약하는 편이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플레임즈 오브 디스트럭션|FLAMES OF DESTRUCTION]] || FLOD-JP046 ||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SPECIAL PACK 20th ANNIVERSARY EDITION Vol.6 || 19SP-JP608 || [[노멀]][br][[슈퍼 레어]] || 일본 || || || [[플레임즈 오브 디스트럭션|Flames of Destruction]] || FLOD-EN046 || [[슈퍼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제네시스 임팩터즈|Genesis Impact]] || GEIM-EN051 || [[레어]][br][[컬렉터즈 레어]] || 미국 || || || [[플레임즈 오브 디스트럭션]] || FLOD-KR046 ||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어드밴스드 이벤트 팩]] 2019 Vol.1 || AE13-KR002 || [[시크릿 레어]] || 한국 || || || [[SELECTION 5]] || SLF1-JP093 || 노말[br]시크릿 레어 || 일본 || || || [[SELECTION 5]] || SLF1-KR093 || 노말[br]시크릿 레어 || 한국 || || === 링크 3 === ==== 트로이메어 유니콘 ==== || [[파일:トロイメア・ユニコーン.jpg|width=100%]] || [[파일:トロイメア・ユニコーン(RC04).jpg|width=100%]] || || 1st 일러스트[br]부스터 팩 [[플레임즈 오브 디스트럭션]] || 2nd 일러스트[br]Maximum Gold: El Dorado ||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링크=, 한글판명칭=트로이메어 유니콘, 일어판명칭=トロイメア・ユニコーン, 영어판명칭=Knightmare Unicorn, 속성=어둠, 레벨=3, 공격력=2200, 종족=악마족, link2=, link4=, link6=, 소재=카드명이 다른 몬스터 2장 이상,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링크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 패를 1장 버리고\, 필드의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주인의 덱으로 되돌린다. 이 효과의 발동시에 이 카드가 상호 링크 상태였을 경우\, 추가로 자신은 덱에서 1장 드로우할 수 있다., 효과2=②: 자신 드로우 페이즈의 일반 드로우의 매수는\, 필드에 상호 링크 상태의 "트로이메어" 몬스터가 존재하는 한\, 그 "트로이메어" 몬스터의 종류의 수가 된다.)] 황화의 잭나이츠를 사용해 제작한 트로이메어. 그리폰처럼 색과 속성이 정반대다. 얼굴에 새겨진 음악 기호는 피아노의 서스테인 페달(Sustain Pedal)을 올리란 뜻의 별 모양 기호이다. 일본 유희왕 카드 위키에선 '센차(senza)'라고 하는데, 이는 이 기호를 일본에선 'senza ped.', 줄여서 'senza'로 부르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영어로 'senza'를 검색한 결과에 'senza sordini'[* 이 기호는 별 모양 기호와는 다르게 악장 '''내내''' 서스테인 페달을 내린 채로 연주하란 뜻이다.]란 뜻의 이탈리아어 기호가 압도적으로 많은 것과는 대조적.[* 다만 유희왕 카드 위키의 '박자에 얽매이지 말고 자유롭게'란 설명은 틀렸다.] ①의 효과는 덱 바운스. 별다른 추가 조건 없이 필드에 있는 카드라면 냅다 덱으로 되돌릴 수 있어서, 파괴되거나 묘지로 보내지면 효과를 발동하는 카드나 파괴 내성이 있는 카드를 맘편히 제거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강력하다. 트로이메어 케로베로스, 트로이메어 피닉스와 달리 자신 필드의 카드도 지정할 수 있지만, 덱으로 되돌리는 효과라 재활용을 목적으로 쓰기엔 부적합하다. ②의 효과는 드로우 페이즈의 일반 드로우를 상호 링크 상태의 트로이메어의 수만큼으로 늘려 주는 효과. 상호 링크하려면 최소 2장의 링크 몬스터가 필요하니 최소 2장은 볼 수 있고, 상호 링크를 늘려 나가면 더 많은 일반 드로우도 가능해진다. 다만 어디까지나 상호 링크 상태의 트로이메어 몬스터만을 따지며, 일반 드로우 매수가 그 종류의 수가 되는 거지 그만큼 추가하는 게 아니므로 트로이메어 유니콘이 여러 장 있어도 무의미하다. 링크 소환시의 제거 효과 때문에 트로이메어 링크 몬스터 중에선 투입률이 높은 카드. 링크 마커도 아래로는 하나뿐이지만 나머지 둘이 좌우라 메인 몬스터 존에서도 전개를 보조할 수 있으며, 제거 효과를 가진 범용 링크 3 몬스터 중에선 소환 난이도가 매우 낮아 자주 채용된다.[* [[트라이게이트 위저드]]는 같은 이름의 카드는 쓸 수 있어도 토큰은 못 쓰고 최소 2 상호 링크까지 가져야 제외 효과를 쓸 수 있다. [[성잔|성잔전사 닝기르수]]는 묘지로 보내는 효과지만 자신 필드의 카드도 보내야 하는 데다 소재 조건은 링크 몬스터 2장 이상이다. [[토폴로직 투리스바에나]]는 자신의 마커 앞에 몬스터가 특수 소환됐을 경우에 발동하는 유발 효과라 견제 카드에 가깝다.] [[액세스코드 토커]]가 [[바렐스워드 드래곤]]을 대체할 링크 4 피니셔로 등극하게 되면서 더더욱 쓰임새가 늘어났다. 기존 피니셔였던 바렐스워드 드래곤은 3장 이상의 소재를 요구하기 때문에 후공 돌파시 유용했던 트로이메어 유니콘을 뽑고 난 이후 바렐스워드 드래곤으로 넘어가는 것이 힘들었으나 소재를 2장 이상 요구하는 액세스코드 토커의 등장으로 유니콘을 뽑고 액세스로 이어가서 최소 2장을 제거할 수 있게 되었다. 그나마 [[에스:피 리틀나이트]]가 융/싱/엑/링으로 링크 소환시 상대 필드/묘지 1제외라는 비슷한 돌파 효과를 가진 채로 나왔지만, 리나와는 달리 유니콘은 직공 불가 디메리트가 없고 액토커에 적합한 3링이기에 빈도가 줄어들겠지만 여전히 자주 쓰일 카드이다. 이처럼 간단한 소재와 덱 바운스라는 강력한 효과 덕분에 대부분의 덱에서 넣을 카드가 없으면 넣는 좋은 카드이지만 슈퍼 레어/시크릿 레어의 레어도와 재록이 되지 않은 점 때문에 10기 후반에 가격이 매우 올라갔다. 이후 신규 일러스트로 TCG에서는 Maximum Gold: El Dorado에서, OCG는 [[레어리티 컬렉션]] -쿼티 센츄리 에디션-에서 재록되며 몸값이 많이 내려가게 되었다. 신규 일러스트 버전은 여전히 비싸다. 신규 일러스트는 [[이브리스]]가 타고 있는 모습이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유희왕 마스터 듀얼 트로이메어 유니콘 소환 연출.gif|width=100%]]}}}|| || '''[[유희왕 마스터 듀얼|{{{#fff 유희왕 마스터 듀얼}}}]] 트로이메어 유니콘 {{{#fff 소환 연출}}}'''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이브리스가 등에 올라 좋아 죽는 유니콘 소환 연출.gif|width=100%]]}}}|| || '''[[유희왕 마스터 듀얼|{{{#fff 유희왕 마스터 듀얼}}}]] 트로이메어 유니콘 Ver.2 {{{#fff 소환 연출}}}''' || [[유희왕 마스터 듀얼]]에서는 소환연출이 적용되었다. 이후 2023년 2월 14일 업데이트(1.4.1)에서 어나더 일러스트가 추가되었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플레임즈 오브 디스트럭션|FLAMES OF DESTRUCTION]] || FLOD-JP047 || [[슈퍼 레어]][br][[시크릿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플레임즈 오브 디스트럭션|Flames of Destruction]] || FLOD-EN047 || [[시크릿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제네시스 임팩터즈|Genesis Impact]] || GEIM-EN050 || [[레어]][br][[컬렉터즈 레어]] || 미국 || || || [[플레임즈 오브 디스트럭션]] || FLOD-KR047 || [[슈퍼 레어]][br][[시크릿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링크 4 === ==== 트로이메어 그리폰 ==== [[파일:トロイメア・グリフォン.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링크=, 한글판명칭=트로이메어 그리폰, 일어판명칭=トロイメア・グリフォン, 영어판명칭=Knightmare Gryphon, 속성=빛, 레벨=4, 공격력=2500, 종족=악마족, link2=, link4=, link6=, link8=, 소재=카드명이 다른 몬스터 2장 이상,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링크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 패를 1장 버리고\, 자신 묘지의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자신 필드에 세트한다. 그 카드는 이 턴에 발동할 수 없다. 이 효과의 발동시에 이 카드가 상호 링크 상태였을 경우\, 추가로 자신은 덱에서 1장 드로우할 수 있다., 효과2=②: 이 카드가 몬스터 존에 존재하는 한\, 필드의 특수 소환된 몬스터는 링크 상태가 아니면 효과를 발동할 수 없다.)] >'''「잭나이츠」의 코어에서 탄생한 마수 「트로이메어」 중 하나가 그려진 아이콘.''' >'''그 악몽 같은 환상은, 현실이 되어 습격해온다.''' >---- >[[유희왕 마스터 듀얼]] 아이콘의 [[플레이버 텍스트]] 자소의 잭나이츠를 사용해 제작한 트로이메어. 유니콘처럼 색과 속성이 정반대다. 얼굴에 새겨진 음악 기호는 2분의 2박자를 뜻하는 기호 알라 브레베(Alla breve). 트로이메어의 에이스. 종족만 빼면 [[파이어월 드래곤]]과 능력치나 링크 마커가 같다. [[파이어월 드래곤]]보다 소환이 좀 더 어렵지만 효과를 고려했을 때 오히려 소환 난이도는 링크 4 몬스터 중에선 낮은 편이다.[* 일반 몬스터는 물론 토큰도 쓸 수 있고, 이름만 다르다면 2장만으로도 링크 소환할 수 있다. 같은 조건의 [[쇄룡사-스컬데드]]가 있지만, 이쪽은 소재 매수에 따라 효과를 얻는 특성상 3~4장을 이용해 링크 소환하는 게 거의 강제되는 편이다.] ①의 효과는 패 1장을 코스트로 묘지의 마법 / 함정 카드를 재활용하는 우수한 효과. 다만 패나 덱으로 되돌리는 게 아니라 필드에 세트하고, 그 턴엔 발동할 수 없어서 상대의 견제로 쓸 새도 없이 다시 제거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선 턴 전개라 해도 [[아카식 매지션]], [[영원의 숙녀 베아트리체]], [[라이트로드 도미니온 큐리오스]] 등을 전개 중간에 꺼내 함정 카드를 묘지로 보냈다면 이를 세트해 빌드를 더욱 강화할 수도 있다. ②의 효과는 링크된 몬스터 이외의 특수 소환된 몬스터의 효과를 발동할 수 없게 만드는 락 효과로, 피아 구분이 없어서 컨트롤이 필요하다. 최악의 경우 이 카드의 링크 상태를 확인하지 못해, '''자신의 ②의 효과에 막혀서 ①의 효과를 발동할 수 없는''' 불상사가 생길 수 있기 때문. 다만 링크 상태 자체는 링크 마커 앞에 있는 것뿐만 아니라, 자신의 링크 마커 앞에 다른 몬스터가 있는 것도 포함되기에 웬만해선 이런 실수를 범하기 어렵다. 또한 링크 상태가 아닌 '''특수 소환된''' 몬스터의 효과만 발동할 수 없기에, 일반 소환한 몬스터의 효과나 [[패 트랩|패]] / 묘지 등에서 발동한 효과를 못 막는 것도 유의해야 한다. 십자형 링크 마커를 지녀서, 이 카드가 엑스트라 몬스터 존에 있다면 ↑마커에 링크되게 특수 소환해 효과를 회피할 수 있다는 점도 주의해야 한다. 가장 잘 사용하는 테마는 폭발적인 링크 전개력을 가진 [[SPYRAL]]이 대표적. [[라이트로드 도미니온 큐리오스]]로 [[마법 봉인의 방향제]]나 [[홍연의 지명자]]처럼 강한 억제력을 가진 함정 카드를 묻고 그리폰으로 세트해 상대 전개를 마비시키는 식으로 운용한다. 큐리오스와 그리폰의 조합은 '''큐리폰'''이라는 별명이 있을 정도로 유명하다. [[파일:유희왕 마듀 트로이메어 그리폰 라투디.gif|width=600]] [[유희왕 마스터 듀얼]]에서는 Live 2D 연출이 적용되었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플레임즈 오브 디스트럭션]] || FLOD-KR048 || [[울트라 레어]][br][[시크릿 레어]][br][[얼티밋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플레임즈 오브 디스트럭션|FLAMES OF DESTRUCTION]] || FLOD-JP048 || [[울트라 레어]][br][[시크릿 레어]][br][[얼티밋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플레임즈 오브 디스트럭션|Flames of Destruction]] || FLOD-EN048 || [[시크릿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제네시스 임팩터즈|Genesis Impact]] || GEIM-EN041 || [[레어]] || 미국 || || == 마법 카드 == === [[성유물(유희왕)|성유물]]로 유혹하는 악몽 === [[파일:星遺物へ誘う悪夢.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필드=, 한글판명칭=성유물로 유혹하는 악몽, 일어판명칭=星遺物(せいいぶつ)(いざな)悪夢(あくむ), 영어판명칭=World Legacy's Nightmare, 효과1=①: 이 카드가 필드 존에 존재하는 한\, 자신의 상호 링크 상태의 몬스터의 전투로 발생하는 자신에게로의 전투 데미지는 0 이 된다., 효과2=②: 1턴에 1번\, 자신 메인 페이즈에 이하의 효과에서 1개를 선택하고 발동할 수 있다., 효과3=●자신 필드의 "트로이메어" 몬스터 1장을 고르고\, 그 위치를 다른 자신 메인 몬스터 존으로 이동한다., 효과4=●자신 메인 몬스터 존의 "트로이메어" 몬스터 2장을 고르고\, 그 위치를 맞바꾼다.)] 상호 링크 상태인 자신 몬스터의 전투로 자신이 받는 데미지를 0으로 하고, 1턴에 1번 트로이메어 몬스터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필드 마법. 상호 링크 상태가 중요한 트로이메어의 전개를 좀 더 매끄럽게 해준다. 하지만 이 카드 자체로는 어드밴티지 획득에 도움이 안 되니 주의해야 한다. 일러스트는 닝기르수와 임두크가 트로이메어들과 대치하고 있고, 그 사이 아브람이 이브리스를 뒤쫓는 모습. 잘 보면 트로이메어들의 코어로부터 나오는 빛이 멀리 도망가고 이브리스를 향해 날아가는 게 보인다. 마스터즈 가이드 6에 의하면, 이 장면은 닝기르수가 '''인어를 이미 쓰러트린 상황'''이라고 한다. "격파했으나 나머지를 쓰러트리는 데까진 미치지 못하고 시간을 벌었다"라고 나왔다. 그런데 [[유희왕 마스터 듀얼|마스터 듀얼]]에서 2022년 7월 28일에 추가된 성유물 스토리 3편에서 설정이 바뀌었는지, 단순 시간벌이가 아닌 '''6체의 트로이메어들을 모조리 자력으로 격파했다'''라고 나온다. 일러스트의 트로이메어들의 위치를 보면 엑스트라 링크 직전임을 알 수 있다. 유니콘이 왼쪽 엑스트라 몬스터 존, 피닉스가 1번 세로열, 그리폰이 유니콘 바로 밑, 그 옆에 고블린이 있고 그 옆엔 케로베로스가 있다. 오른쪽 엑스트라 몬스터 존에 인어만 소환되면 엑스트라 링크가 되는데, 인어를 이미 쓰러트린 닝기르수가 가로막고 있다.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 메인 몬스터 존 || 트로이메어 케로베로스 || 트로이메어 고블린 || 트로이메어 그리폰 || 트로이메어 피닉스 || || || 성잔에 이끌린 자 || || 트로이메어 유니콘 || ||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플레임즈 오브 디스트럭션]] || FLOD-KR059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플레임즈 오브 디스트럭션|FLAMES OF DESTRUCTION]] || FLOD-JP059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플레임즈 오브 디스트럭션|Flames of Destruction]] || FLOD-EN059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같이 쓰면 좋은 카드 == 트로이메어 몬스터를 종류별로 투입해, 적극적으로 엑스트라 링크 등의 대량 전개를 노릴 경우 상성 좋은 카드들이다. *[[파이어월 드래곤]] 특유의 특수 소환 효과로 전개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십자형 링크 마커가 있어 엑스트라 링크 중간에 끼워 넣을 수 있는 건 덤. 2019년 1월에 금지됐다가 2021년 1월에 에라타로 풀렸다. *[[트라이게이트 위저드]] 상호 링크 2장만으로도 1장 제외, 상호 링크 3장은 효과 무효화까지 가능한 상호 링크 특화 링크 몬스터. 다만 토큰은 소재로 못 쓰고, 상호 링크 3장까지 노리려면 그만큼 전개에 신경을 써야 한다. *[[성유물(유희왕)|성유물을 잇는 자]] 링크 마커 앞 한정 [[죽은 자의 소생]]. 1턴에 1장만 발동 가능한 걸 제외하면 특수 소환하는 몬스터에 대해선 제약이 없어서 전개력을 더욱 높여줄 수 있다. *[[성유물(유희왕)|성유물에 울리는 잔규]] 상호 링크 상태의 몬스터만 있다면 노 코스트로 발동 가능한 카운터 함정. 마법 / 함정의 경우 카드의 발동만 막을 수 있지만, 몬스터 효과 / 마법 / 함정을 안 가리고 발동을 무효로 하고 파괴할 수 있는 우수한 카드다. *[[제로 엑스트라링크]] 피니셔. 발동할 때 대상으로 지정한 '엑스트라 몬스터 존의 링크 몬스터와 상호 링크 중인 메인 몬스터 존의 링크 몬스터'에게 필드의 링크 몬스터의 수 × 800만큼 공격력을 올리며, 여의치 않으면 대상 몬스터를 소재로 다른 링크 몬스터를 소환하고 그 몬스터에게 공격력을 그대로 전달해줄 수 있다. == 관련 문서 == *[[성유물(유희왕)]] *[[성잔]] *[[수호룡(유희왕)]] *[[오르페골]] *[[잭나이츠]] *[[크롤러(유희왕)]] *[[파라디온]] [각주] [[분류:유희왕/OCG/카드군]][[분류:유희왕/OCG/악마족]][[분류:유희왕/OCG/링크 소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