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일반 마법]][[분류:유희왕/러시 듀얼/일반 마법]] [목차] == 개요 == [[유희왕]]의 일반 마법 카드. == 설명 ==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 [include(틀:유희왕 OCG 레벨별 드로우 서포트 카드)] [[파일:トレード・イン(23TP).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트레이드 인, 일어판명칭=トレード・イン, 영어판명칭=Trade-In, 효과1=①: 패에서 레벨 8 몬스터 1장을 버리고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은 2장 드로우한다.)] 레벨 8 몬스터를 코스트로 작용하는 부스팅 카드로, 레벨 8 위주의 덱이라면 높은 효용성을 자랑하는 고성능 카드다. 유희왕의 최상급 몬스터들 중에는 레벨 8의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기에, 이 카드로 버린 다음 덱에서 2장 드로우해 역전의 발판으로 삼는 경우가 많다. 특히 패에 레벨 8 몬스터는 있는데 소환 여건이 안 될 경우에는 정말 고마운 카드. 아니면 쓸 만한 레벨 8 몬스터를 묘지로 보내고, [[죽은 자의 소생]]으로 다시 꺼내오는 전법도 있다. 다만, 레벨 8 몬스터가 없이 이 카드만 패에 들어온다거나, 이 카드 없이 레벨 8 몬스터만 들어오는 등 패 말림이 일어날 가능성도 고려해야 한다. 대신 레벨 8 몬스터를 트레이드 인이 없어도 다른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거나, 쉽게 서치 및 샐비지할 수 있어서 트레이드 인이 패에 들어왔을 때 레벨 8 몬스터를 바로 보충할 수 있는 덱이라면 말릴 염려를 줄일 수 있다. 이 카드의 일러스트에 나온 펠그란트 드래곤은 이 카드가 첫 등장한 스트럭처 덱 [[거대룡의 부활]]의 커버 몬스터이고, 레벨이 8이기 때문에 트레이드 인으로 버릴 수도 있다. 하지만 실제로 펠그란트 드래곤을 트레이드 인의 효과로 버렸다간 묘지에서 부활시킬 수 없으므로 그다지 효율성은 없었다. 그러나 [[거신룡의 부활]]에서 [[가디언 오브 펠그란트]]가 등장하면서 실제로 효율성이 있는 콤보가 되었다. 같이 등장한 리메이크판인 [[거신룡 펠그란트]]의 경우는 두말할 것도 없이 효율성이 뛰어난 편. [[데스티니 히어로]]의 경우, 레벨 8 데스티니 히어로 몬스터 3종류가 레벨 8, 어둠 속성, 데스티니 히어로라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트레이드 인, [[어둠의 유혹]], [[데스티니 드로우(일반 마법)|데스티니 드로우]]의 3종 드로우 가속 세트를 혼자서 모두 활용할 수 있어서 [[충격과 공포]]의 덱 회전을 보여주기도 했다. 이 특성은 후에 [[타락천사(유희왕)|타락천사]]가 어둠의 유혹, 트레이드 인, 타락천사 이슈탐 조합으로 그대로 이어받는다. [[암흑계]]의 경우, [[암흑계의 용신 그라파]]와도 상성이 좋은데, 패를 버리는 것이 코스트지만 자신 고유의 룰 효과가 있어서 묘지에서의 소생이 매우 쉬운 그라파를 묘지에 묻으면서 패 2장을 뽑아볼 수 있어서 엄청난 이득을 취할 수 있다. 그 후 [[천사족]]이나 [[식물족]]들도 레벨 8 몬스터가 속속 등장하여, 그쪽에서 용병으로 뛰기도 한다. 그 외에도 [[푸른 눈]],[* 백룡 덱에서 채용될 경우 [[조화의 패]], [[드래곤 자각의 선율]]과 함께 투입된다.] [[라비 드래곤]], [[코스모 퀸]], 고기가 [[가가기고]], [[스파이럴 드래곤]] 등을 채용한 [[일반 몬스터]] 덱에서도 쓰이는 등, 쓸 수 있는 덱에선 정말로 활약을 많이 하는 카드다. 다만 최근 환경에서는 코스트를 필요로 하는 다른 부스팅 카드와 마찬가지로 발동하기 조금 부담스럽다. 트레이드 인을 발동하고 묘지로 코스트를 보내면 벌써 2장을 사용하는데, 흔히 쓰이는 패 트랩 중 하나인 [[하루 우라라(유희왕)|하루 우라라]]를 상대가 발동하게 되면 어드밴티지상으로 1:2 교환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큰 손해를 볼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레벨 8 몬스터 자체가 연계가 안 되면 패 말림을 유발할 가능성도 높기 때문에, 상기했듯이 트레이드 인 외에도 자체적으로 레벨 8 몬스터를 활용할 수 있는 덱에서 쓰는 것이 좋다. 따라서 레벨 8 몬스터가 필수적으로 들어가는 덱에서 사용하는 게 좋지만, 일단 다른 서치 카드를 먼저 넣어보고 그래도 부스팅이 부족하거나 패 말림을 완화하고 싶다면 트레이드 인 투입을 고려하는 식으로 덱을 구축하는 편이 좋다. 비슷한 카드로 [[어드밴스 드로우]]가 있다. 이후 각 상급 레벨 몬스터를 코스트로 필요로 하는 파생 카드들이 등장했는데, 레벨 7 몬스터를 제외하는 [[칠성의 보도]], 레벨 6 몬스터를 덱 맨 아래로 되돌리는 [[셀레스티얼 세크스턴트]], 그리고 레벨 9 몬스터를 묘지로 보내는 [[쿠지키리의 부적]]이 등장했다. 자세한 효과는 각 카드의 문서를 참조. 이 카드들과 비교하자면, 필드에서 몬스터를 코스트로 할 수는 없지만 대신 1턴에 여러 번 발동 가능하다는 장점이 생겼다. 일러스트는 [[펠그란트 드래곤]]의 모형을 누군가가 금화 두 닢에 사는 모습. ==== 수록 팩 일람 ==== ||수록 시리즈 || ||<(> 2007-06-23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SD13-JP018 | '''[[거대룡의 부활|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 巨竜の復活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3-06-15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SD25-JP026 | [[푸른 눈의 백룡의 강림|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 青眼龍轟臨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6-02-06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SR02-JP028 | [[거신룡부활|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R - 巨神竜復活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8-06-09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18SP-JP209 | SPECIAL PACK 20th ANNIVERSARY EDITION Vol.2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2021-02-06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PAC1-JP038 | [[PRISMATIC ART COLLECTION]]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SE)] || ||<(> 2023-07-01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23TP-JP313 | [[토너먼트 팩|トーナメントパック 2023 Vol.3]]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23-09-09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SR14-JP031 | [[염왕의 급습|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R-炎王の急襲-]]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7-10-24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SDRL-EN019 | '''[[거대룡의 부활|RISE OF THE DRAGON LORDS STRUCTURE DECK]]'''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9-08-15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TU01-EN010 | TURBO PACK BOOSTER ONE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11-07-01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GLD4-EN043 | [[골드 시리즈|GOLD SERIES 4 PYRAMIDS EDITION]]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3-09-13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SDBE-EN024 | [[푸른 눈의 백룡의 강림|SAGA OF BLUE-EYES WHITE DRAGON STRUCTURE DECK]]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3-10-11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LCJW-EN291 | LEGENDARY COLLECTION 4 JOEY'S WORLD MEGA PACK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 || ||<(> 2016-07-08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SR02-EN028 | [[거신룡부활|RISE OF THE TRUE DRAGONS STRUCTURE DECK]]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6-10-07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LDK2-ENK28 | LEGENDARY DECKS II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6-11-18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DESO-EN051 | [[데스티니 솔저스|DESTINY SOLDIERS]]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2018-03-09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LCKC-EN076 | LEGENDARY COLLECTION KAIBA MEGA PACK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 || ||<(> 2020-11-13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MAGO-EN143 | [[골드 시리즈|Gold Series: Maximum Gold]]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GR)] || ||<(> 2021-05-07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ANGU-EN052 | [[에인션트 가디언즈|ANCIENT GUARDIANS]]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CR)] || ||<(> 2007-09-01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SD13-KR018 | '''[[거대룡의 부활|스트럭처 덱 - 거대룡의 부활 - 스페셜 에디션]]'''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3-09-11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SD25-KR026 | [[푸른 눈의 백룡의 강림|스트럭처 덱 - 푸른 눈의 백룡의 강림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4-04-01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AE04-KR018 | [[어드밴스드 이벤트 팩|어드밴스드 이벤트 팩 2014 Vol.2]]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6-12-08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SR02-KR028 | [[거신룡부활|스트럭처 덱 R - 거신룡부활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21-05-04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PAC1-KR038 | [[PRISMATIC ART COLLECTION]]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SE)] || === [[유희왕 러시 듀얼]] === [[파일:トレード・イン(MRP1).jpg]]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트레이드 인, 일어판명칭=トレード・イン, 영어판명칭=Trade-In (미발매), 조건=패의 몬스터(레벨 8) 1장을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자신은 2장 드로우한다.)] [[칠보선]]과는 달리 버려야 되는 몬스터의 레벨이 한정되어 있지만, 그래도 [[어드밴스 소환]]이 곤란한 상황에서 [[패 말림]]을 피해가는 데에 도움을 준다. 코스트가 레벨 8로 한정되어 있으니 레벨 8 몬스터를 많이 넣은 덱에서 써주면 좋다. [[마장(유희왕 러시 듀얼)|마장]], [[로얄데먼즈]], [[다이안 켓]] 등의 테마는 서포트 카드 공유도 쉬운 만큼 별 탈 없이 짜기 쉽다. 그 밖에도 [[환인천룡 갠트리 드래곤]]은 그 자체가 코스트도 되어주거나 소생 대상이 되는 [[환인룡 빌드 드래곤]]을 묘지로 묻어준다는 점에서도 상성이 좋다. 다만 똑같이 레벨 8을 주축으로 하는 [[등번호(유희왕)|등번호]]는 이미 [[헤비 콘다라]]와 [[화면 걸쭉한 농후반환술]]이라는 걸출한 드로우 카드가 둘이나 있기 때문에 채용률이 높지 않다. ||수록 시리즈 || ||<(> 2022-06-04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RD/MRP1-JP096 | '''[[메가로드 팩|メガロードパック]]'''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23-07-01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RD/B232-JP001 | [[배틀 팩|バトルパック2023 Vol.2]]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 || ||<(> 2023-09-30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RD/SD0A-JP032 | [[궁극의 푸른 눈 전설(스트럭처 덱)|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究極の青眼伝説]]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22-09-15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RD/MRP1-KR096 | '''[[메가로드 팩]]'''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23-09-30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RD/EV04-KR002 | 이벤트 팩 2023 Vol.2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