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F0B10 0%, #FFFFFF 20%, #FFFFFF 80%, #DF0B10)" {{{#002664 '''트레이 버크의 수상 이력'''}}}}}} || || {{{#!folding ▼ ---- [include(틀:NBA 역대 스킬스 챌린지 우승자)]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버크2122.png|width=100%]]}}} || ||<-2> '''스톡턴 킹스 No. 3''' || ||<-2> {{{#ffffff '''{{{+2 알폰소 클라크 "트레이" 버크 3세}}} [br] Alfonso Clark "Trey" Burke III'''}}} || || '''생년월일''' ||[[1992년]] [[11월 12일]] ([age(1992-11-12)]세)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신장''' ||183cm (6' 0") || || '''체중''' ||83.9kg (185 lbs) || || '''포지션''' ||[[포인트 가드]] || || '''드래프트''' ||'''[[NBA 드래프트/2013년도|2013 NBA 드래프트 1라운드 9순위]] [br] [[미네소타 팀버울브스]] 지명'''[* [[유타 재즈]]로 트레이드.] || || '''소속팀''' ||[[유타 재즈]] (2013~2016) [br][[워싱턴 위저즈]] (2016~2017) [br][[뉴욕 닉스]] (2017~2018) [br][[댈러스 매버릭스]] (2018~2019) [br][[필라델피아 세븐티식서스]] (2019~2020) [br][[댈러스 매버릭스]] (2020~2022) [br][[휴스턴 로키츠]] (2022) [br][[새크라멘토 킹스#s-6|스톡턴 킹스]] (2022~) || || {{{#ffffff '''등번호'''}}} ||3번 - 댈러스 ||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의 포인트 가드. == 수상 내역 == || '''수상 내역''' || ||-|| == 경력 == 댈러스에서 벤치 [[포인트 가드]]로 뛰고 있고, [[루카 돈치치|돈치치]]가 빠질 시에는 메인 볼핸들러 역할까지 담당하면서 꽤 괜찮은 활약상을 보여 주고 있다. 포텐이 터지는 날에는 돌파하는 장면이 흡사 [[앨런 아이버슨]]과 비교될 정도. 물론 운동능력이나 다양한 면에서 그보다 부족하지만, 리듬감 있고 빠른 돌파를 통한 레이업 득점이 경기의 흐름을 돌려놓는 데 큰 도움을 준다. 플레이오프 1라운드 [[LA 클리퍼스]]와의 4차전 경기에서도 [[카와이 레너드]]를 상대로 멋진 돌파를 선보이며 득점하였다.[[https://www.youtube.com/watch?v=FFrd4rIT7TI|이 경기]] [* 1분 19초 정도에서 레너드를 뚫고 득점에 성공하는 장면이 나온다.] == 플레이 스타일 == 포인트 가드치고 슛 성공률도 상당히 괜찮다. 19-20시즌 8월 1일 휴스턴전에서는 3점 슛 10개를 던져 8개를 적중, 무려 80퍼센트의 성공률을 뽐냈다. 4차전 연장에서[* [[루카 돈치치|돈치치]]가 버저비터한 그 경기] 결정적 3점 슛과 돈치치의 스텝백 3점 시도 에어볼을 리바운드하여 점퍼를 꽂아넣는 등의 활약상도 보여준다. 단신인 만큼 수비에서 약점을 드러낸다. 나름 허슬하는 편이지만, 가끔 뽀록 스틸이 나올 때 말고는 어지간해서 매치업 상대를 잘 수비하지 못한다. == 관련 문서 == * [[NBA 관련 인물]] [각주] [[분류:미국의 농구 선수]][[분류:1992년 출생]][[분류:2013년 데뷔]][[분류:콜럼버스(오하이오) 출신 인물]][[분류:포인트 가드]][[분류:유타 재즈/은퇴, 이적]][[분류:워싱턴 위저즈/은퇴, 이적]][[분류:뉴욕 닉스/은퇴, 이적]][[분류:필라델피아 세븐티식서스/은퇴, 이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