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초반 벌레 포켓몬)] ||<-3> {{{#white 포켓몬 도감 나열 순서}}} || || [[파일:916MS.png|width=40]] 0916 [[퍼퓨돈]] || [[파일:917MS.png|width=40]] '''0917 타랜툴라'''[br][[파일:918MS.png|width=40]] '''0918 트래피더''' || [[파일:919MS.png|width=40]] 0919 [[콩알뚜기]] || ||<-3> {{{#white 지역 도감 나열 순서}}} || ||<^|1><-3>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3> [[포켓몬스터(포켓몬스터)/목록/9세대#팔데아도감 목록|{{{#white 팔데아도감}}}]] || ||<-3> [[포켓몬스터(포켓몬스터)/목록/9세대#팔데아도감(본토)|본토]] || || [[파일:916MS.png|width=40]] 011 [[퍼퓨돈]] || [[파일:917MS.png|width=40]] '''012 타랜툴라''' [br] [[파일:918MS.png|width=40]] '''013 트래피더''' || [[파일:919MS.png|width=40]] 014 [[콩알뚜기]] || }}}}}}}}} || || '''{{{+1 {{{#white 정보 내 바로가기}}}}}}''' || || [[#앵커-일러스트|일러스트]][br][[#앵커-기본 정보|기본 정보]][br][[#앵커-특성|특성]][br][[#앵커-세부 정보|세부 정보]][br][[#앵커-유전 정보|유전 정보]][br][[#앵커-진화|진화]][br][[#앵커-방어 상성|방어 상성]][br][[#앵커-종족치|종족치]][br][[#앵커-울음소리|울음소리]][br][[#앵커-도감 설명|도감 설명]][br][[#앵커-전용기|전용기]][br][[#s-2|skip]] || [목차] [clearfix] == 정보 == [anchor(앵커-일러스트)] || [[파일:917 타랜툴라.png|width=100%]] || [[파일:918 트래피더.png|width=100%]] || || 타랜툴라 || 트래피더 || [anchor(앵커-기본 정보)] ||<-3> {{{#white 기본 정보}}} || || {{{#white 이름}}} || {{{#white 도감 번호}}} || [[포켓몬스터/타입|{{{#white 타입}}}]] || || [[파일:917MS.png|width=50]][br]'''타랜툴라''' [br] タマンチュラ(타만츄라) [br] Tarountula || 전국: 0917[br]팔데아: 012^^본토^^ ||<|2> [include(틀:벌레타입)] || || [[파일:918MS.png|width=50]][br]'''트래피더''' [br] ワナイダー(와나이다) [br] Spidops || 전국: 0918[br]팔데아: 013^^본토^^ || [anchor(앵커-특성)] ||<-3> [[포켓몬스터/특성|{{{#white 특성}}}]]{{{#ffffff (}}}[[포켓몬스터/특성#s-1.1|{{{#ffffff 숨겨진 특성}}}]]{{{#ffffff 은 *)}}} || || [[포켓몬스터/특성/ㅂ#불면|불면]] || 이 포켓몬은 잠들지 않는다. 스스로 잠자기를 사용할 수도 없다. || || *[[포켓몬스터/특성/ㅈ#잠복|잠복]] || 교체해서 나온 포켓몬에게 2배의 기술 데미지를 준다. || [anchor(앵커-세부 정보)] ||<-5> {{{#white 세부 정보}}} || || {{{#white 포켓몬}}} || {{{#white 분류}}} || {{{#white 신장}}} || {{{#white 체중}}} || {{{#white 포획률}}} || || 0917 타랜툴라 || 실타래 포켓몬 || 0.3m || 4.0kg || '''255''' || || 0918 트래피더 || 트랩 포켓몬[* [[메더]]랑 분류가 겹친다. 다른 점이라면 메더는 자기 자신이 트랩이고, 트래피더는 실로 트랩을 설치한다는 차이가 있다. ] || 1.0m || 16.5kg || 120 || [anchor(앵커-유전 정보)] ||<-4> {{{#ffffff 유전 정보}}} || || 성비 || 알 그룹 || 부화 카운트 || 최대 경험치량 || || 수컷: 50% [br] 암컷: 50% || 벌레 || 15 || 600,000 || [anchor(앵커-진화)] ||<-4> [[포켓몬스터/진화|{{{#white 진화}}}]] || || {{{#ffffff 진화}}} || [[파일:917.gif|width=50]] [br] 0917 타랜툴라 || 레벨 15[br]→ || [[파일:918.gif|width=65]] [br] 0918 트래피더 || [anchor(앵커-방어 상성)] ||<-4> {{{#ffffff 방어 상성(특성 미적용)}}} || || 2배 || 1배 || 0.5배 || || [include(틀:바위타입)] [include(틀:불꽃타입)] [include(틀:비행타입)] || [include(틀:강철타입)] [include(틀:고스트타입)] [include(틀:노말타입)] [include(틀:독타입)] [include(틀:드래곤타입)] [include(틀:물타입)] [include(틀:벌레타입)] [include(틀:악타입)] [include(틀:얼음타입)] [include(틀:에스퍼타입)] [include(틀:전기타입)] [include(틀:페어리타입)] || [include(틀:격투타입)] [include(틀:땅타입)] [include(틀:풀타입)] || [anchor(앵커-종족치)] ||<-8> [[종족치|{{{#white 종족치}}}]] || || {{{#white 포켓몬}}} || {{{#white HP}}} || {{{#white 공격}}} || {{{#white 방어}}} || {{{#white 특수공격}}} || {{{#white 특수방어}}} || {{{#white 스피드}}} || {{{#white 합계}}} || || [[파일:917MS.png|width=50]][br]타랜툴라 || 35 || 41 || 45 || 29 || 40 || 20 || 210 || || [[파일:918MS.png|width=50]][br]트래피더 || 60 || 79 || 92 || 52 || 86 || 35 || 404 || [anchor(앵커-울음소리)] ||<-8> [[울음소리(포켓몬스터)|{{{#FFFFFF 울음소리}}}]] || ||<-2> [[파일:917MS.png|width=50]][br]{{{#FFFFFF 타랜툴라}}} || ||<#ffffff,#000000><-2><:>{{{#!HTML}}}|| ||<-2> [[파일:918MS.png|width=50]][br]{{{#FFFFFF 트래피더}}} || ||<#ffffff,#000000><-2><:>{{{#!HTML}}}|| [anchor(앵커-도감 설명)] ||<-2> {{{#white 도감설명[br]스크롤 압박이 있습니다. 도감 설명을 넘기고 싶으시면 [[#앵커-도감설명 스킵|{{{#white skip}}}]]을 눌러주세요.}}} || ||<-2> [[파일:917MS.png|width=50]][br]{{{#white 0917 타랜툴라}}} || || 스칼렛 ||몸을 감싸고 있는 실타래는 천적인 스라크의 낫을 튕겨 낼 정도의 탄력을 자랑한다. || || 바이올렛 ||엉덩이에서 나오는 실은 와이어에 필적하는 강도를 자랑하며 그 비밀에 대해서는 현재 연구 중이다. || ||<-2> [[파일:918MS.png|width=50]][br]{{{#white 0918 트래피더}}} || || 스칼렛 ||나뭇가지나 천장에 실로 달라붙어 소리 없이 행동한다. 먹잇감에게 들키기 전에 쓰러뜨린다. || || 바이올렛 ||튼튼하고 끈끈한 실을 영역 안에 둘러쳐서 침입자를 함정에 빠트린다. || ||<-2> [anchor(앵커-도감설명 스킵)] || [anchor(앵커-전용기)] || {{{#white 전용기}}} || || [[스레드트랩]] || == 개요 == [[포켓몬스터 스칼렛·바이올렛]]의 신규 포켓몬. 모티브는 타랜툴라의 경우 [[타란툴라]]와 실타래, 트래피더는 [[투망거미]]. == 포획 및 스토리 == ||<#88960e> {{{#FFFFFF 스토리 진행 가능 작품}}} || 사용불가 || || {{{#FFFFFF 사유}}} || 너무 낮은 종족값, 미진화체인 타랜툴라의 높은 육성 난이도, 느린 레벨업 속도 || || {{{#FFFFFF 기타 사용 방법}}} || 전용기 스레드트랩으로 상대방의 스피드를 떨어뜨리거나 끈적끈적네트, 추억의 선물 등의 변화기 위주 플레이 || 극초반에 등장하는 벌레 타입 포켓몬 치고 진화 레벨도 비교적 높은 편인데, 종족값 자체도 낮고, 스탯들도 전부 애매하게 분배되어 있어서 레벨 차이 등으로 밀어붙이는 게 아닌 이상 스토리에서 사용하기 정말 힘들다. 특히 이러한 점들 때문에 미진화체인 타랜툴라의 육성이 매우 까다롭다보니 보통은 잘해야 초반부 풀타입 포켓몬의 약점을 찌르는 용도로만 잠깐 사용되고 버려지는 편. 그나마 진화만 시켜두면 초반부 보스인 [[콜사]](풀타입)와 [[피나(포켓몬스터)|피나]](악타입)의 저격 요원으로 사용할 수 있기에 초반 지역에서 만큼은 쏠쏠하게 도움을 받을 수 있긴 하다. 필드에서의 트래피더는 쟝고랑 세비퍼처럼 야생에서 스라크랑 만나면 싸우는 모습을 볼 수 있다. == 대전 == 시즌 초기엔 총합 404라는 형편없는 종족값과 단일 벌레 타입이라는 포켓몬 자체의 한계 때문에 많은 트레이너들이 "이 녀석을 랭크배틀에서 쓸 일이 있을까?" 하고 의구심을 품었지만, 뜻밖에도 잠재력이 풍부한 포켓몬으로 밝혀졌다. 특성인 불면도 배틀에서 자주 보이는 버섯모와 뽀록나의 버섯포자나 하마돈과 토오의 하품 등을 무시하면서도 역으로 기점을 잡을 수 있게 해주기 때문에 나쁘지 않은 특성이란 평. 전용기인 [[스레드트랩]]은 [[킹실드]], [[블로킹(포켓몬스터)|블로킹]]과 같이 공격기만 방어하는 기술로, 만약 그 공격이 접촉기였다면 상대의 스피드를 1랭크 떨어뜨린다. 그 외에도 [[끈적끈적네트]], [[덤벼들기]], [[실뿜기]], [[암석봉인]], [[위액]], [[카운터]] 등을 배우고, 교배기로 [[추억의선물]]도 배우므로 도구로 레드카드를 주고, 스피드 컨트롤러로 써먹을수 있다. 기점마련용 선봉으로 꽤 괜찮은 활약을 할 수 있으며 특히 현 환경에 얼마 없는 끈적끈적네트 사용자[* 또 다른 사용자로는 [[비나방]]과 [[귀뚤톡크]]가 있다. 다만 귀뚤톡크는 실전에서 사용하기 어려워서 버려진다.]라는 점에서 충분히 채용할 만한 가치는 있다. 레드카드를 지닌 채로 [[끈적끈적네트]]와 [[배대뒤치기(포켓몬스터)|배대뒤치기]]를 채용하면 1턴에 네트를 깔고 공격을 1대 맞고 버틴 뒤 레드카드를 발동, 상대를 강제 교체시킨 뒤 후공 배대뒤치기로 한 번 더 강제 교체시켜 상대 엔트리를 전부 확인하면서 짤딜을 골고루 넣어 기합의띠를 무효화시키고 양념을 치는 등의 역할도 가능하며, [[추억의선물]]을 배우기 때문에 슬슬 죽을 것 같다 싶으면 이거 쓰고 안정적으로 퇴장하는 것도 된다. 나머지 한 자리에는 생존 및 상대방의 스피드 하락을 동시에 노리는 스레드트랩, 레드카드가 빠지는 것을 고려하여 상대의 도구를 훔치는 도둑질, 아니면 선공기인 기습을 채용하는 것도 생각해 볼 수 있다. 종합적으로 끈적끈적네트를 통한 기점 마련, 레드카드와 배대뒤치기로 상대방의 엔트리 확인 및 짤딜로 기합의띠 무효화, 추억의선물로 유연한 퇴장, 도둑질로 도구 강탈까지 가능해서 유틸성이 좋은 포켓몬으로 평가받고 있다. 종족값만 좋았다면 더욱 고평가를 받았을 포켓몬인데, 여러모로 낮은 종족값에 발목을 잡히는 것이 매우 안타깝다고 할 수 있지만, 바꿔 말하면 '''낮은 종족값임에도 역할이 확실하고 기술폭도 역할에 부합하다면 충분히 활약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훌륭한 모범 사례'''라고 할 수 있다. 풀 타입 이상으로 좋은 대우를 받지 못하는 벌레 타입이라서 벌레 타입을 보유만 해도 좋은 평가를 받기 어려운 것을 감안하면 낮은 종족값과 좋지 못한 타입을 갖고 있어도 상위호환 걱정 없이 독특한 활로로 사용할 수 있는 마이너 포켓몬의 귀감이라고 해도 손색이 없다. ...그렇다고는 해도 어디까지나 마이너 포켓몬, 벌레 포켓몬 중 그렇다는 거지, 내구도 좋지 않고 느리기까지 한 트래피더로는 배대뒤치기는 커녕 기띠 없이는 끈넷조차 확정으로 깐다는 보장이 없으며, 끈넷을 깔아도 느린 스피드 때문에 추억의선물 사용 전 이미 기점을 내주고 맞아서 볼로 들어가기 일수다. 9세대 끈넷 포켓몬들이 전부 심각한 하자가 있기에 부에몬들의 스피드 강점기가 계속되는 중이며, 트래피더의 부실한 성능도 이에 한 몫 했다고 볼 수 있다.[* 끈적끈적네트를 밟으면 부스트에너지가 스피드가 아니라 엉뚱한 능력치로 소비되기에 스피드 티어에서 순식간에 2랭크 가량이 떨어져 운영에 큰 차질이 생기는데, 끈넷몬들이 하도 약해서 이 사실을 모르는 경우도 많다. 게다가 끈적끈적네트를 쓸 수 있는 포켓몬들은 읽기 너무 쉽기 때문에 부스트에너지를 보유한 패러독스 포켓몬으로 빠르게 교대하거나 고속스핀이나 안개제거로 제거하는 경우가 많다.] == 다른 매체에서의 모습 == === 애니메이션 === == 기타 == * [[어지리더]] 이후 12년 만에 등장한 최종 진화형 순수 벌레타입 포켓몬이며, 역대 거미 포켓몬 최초로 실제 거미처럼 다리가 4쌍(8개)이다. * [[아리아도스]], [[전툴라]], [[깨비물거미]]를 이은 거미 포켓몬이다. 또한 미진화체인 타랜툴라의 모티브는 전툴라의 모티브가 된 종과 같다. * 진화하면서 외모가 크게 역변해버린다는 평이 많다. 꽁무니에 실타래가 있다는 점, 얼굴의 무늬만 빼면 원형을 찾아볼 수 없는 수준인데, 귀여웠던 진화 전 모습에서 상상하기 어려운 비주얼인 데다가 다소 징그러운 모습이라 디자인에 대한 불평이 많은 포켓몬이다.[* 일본 웹 검색에서 "트래피더 디자인", "트래피더 기분 나빠" 등이 자동 완성될 정도.] * 색이 다른 타랜툴라는 검은색에 가까운 어두운 회색에 발 끝과 실은 붉은색이며, 색이 다른 트래피더의 모습은 검정색과 빨간색[* 정확하게는 배 부분만 붉은색이고, 다른 부분은 어두운 분홍색에 가깝다.]이 어우러져서 [[스파이더맨]]처럼 보인다. * 초반에 나오는 벌레 타입 포켓몬 치고는 진화 레벨이 15 레벨로 높은 편이다.[* 가장 진화 레벨이 높은 건 [[아리아도스|페이검]]과 [[펜드라|마디네]] 계열로 아리아도스나 휠구로 진화하는 레벨이 22나 되는데, 마디네의 경우 5세대의 진화 레벨이 전반적으로 높아 발생한 현상이다.] * 8세대의 [[애프룡]], [[단지래플]]에 이어 등장한 경험치량이 60만 그룹인 포켓몬이다. * 트래피더는 일러스트나 인게임 모델링은 아래의 4개의 다리로 서있지만, 레츠고 모드로 이동 시 실제 거미처럼 8개의 다리로 기어가는 모습을 볼 수 있다. * 타랜툴라와 트래피더 모두 유독 입이 보이지 않는 편이지만, 자세히 보면 입이 있다. 특히 트레이딩 카드 게임의 일러스트에 자세히 구현되어 있는 입을 볼 수 있다. * 거미형 포켓몬이라는 점과 색이 다른 모습의 붉은색 + 검정색 조합 탓에 [[스파이더맨]]과 엮이기도 한다. === 삽화 === ||<-2> '''{{{#fff 포켓몬스터 스칼렛·바이올렛의 도감 이미지}}}''' || || [[파일:917 타랜툴라 dex.png|width=100%]] || [[파일:918 트래피더 dex.png|width=100%]] || || '''타랜툴라''' || '''트래피더''' || === 국가별 명칭 === ||<:> {{{#FFF 언어}}} ||<:>{{{#FFF 이름}}} ||<:>{{{#FFF 유래}}} || || 한국어 || 타랜툴라 || [[타래]] + 타란툴라 || || 일본어 || タマンチュラ || 球(구) + 타란툴라 || || 영어 || Tarountula || Tarantula(타란툴라) + Round(동그란) || ||<:> {{{#FFF 언어}}} ||<:>{{{#FFF 이름}}} ||<:>{{{#FFF 유래}}} || || 한국어 || 트래피더 || Trap(함정) + Spider(거미) || || 일본어 || ワナイダー || 罠(함정) + Spider(거미) || || 영어 || Spidops || Spider(거미) + Ops(Operations; 군사작전) || [[분류:9세대 포켓몬]][[분류:벌레타입 포켓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