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2019-20 시즌, rd1=튀르키예 여자 배구 리그/2019-20 시즌)] ||<-2> '''{{{+1 {{{#fff 술탄라 리기}}}}}}''' || ||<-2> [[파일:Sultanlar_Ligi_logo.png|width=100%&align=center]] || || '''{{{#fff 정식 명칭}}}''' ||'''Vestel Venus Sultanlar Ligi''' || || '''{{{#fff 영문 명칭}}}''' ||'''Turkish Women's Volleyball League''' || || '''{{{#fff 창설}}}''' ||[[1983년]] || || '''{{{#fff 주관}}}''' ||[[유럽]] [[파일:튀르키예 국기.svg|width=25]] 튀르키예 배구 연맹[br](Turkish Volleyball Federation) || || '''{{{#fff 참가 구단 수}}}''' ||12개 구단 || || '''{{{#fff 최근 우승 구단}}}''' ||바키프방크^^(2018-19)^^ || || '''{{{#fff 자국 대회}}}''' ||튀르키예 컵 (Türkiye Voleybol Kupası)[br]튀르키예 슈퍼 컵 (Türkiye Voleybol Şampiyonlar Kupası) || || '''{{{#fff 국제 대회}}}''' ||[[CEV 챔피언스 리그]][br]CEV 컵[br]CEV 챌린지 컵 || || '''{{{#fff 스폰서}}}''' ||미카사 (MIKASA), AXA SIGORTA, VESTEL, OPET, 아즈바뎀 (ACIBADEM), [[터키 항공]], Orkid, B-good || || '''{{{#fff 중계}}}''' ||[[https://www.trtspor.com.tr/canli-yayin-izle/trt-spor-2/|[[파일:trtspor-logo.png|height=30]]]] || ||<-2> '''[[http://www.tvf.org.tr/venus-sultanlar-ligi/|{{{#fff 공식 웹 사이트}}}]]''' || [목차] [clearfix] == 개요 == 튀르키예 배구 협회 (Turkish Volleyball Federation)에서 주관하는 [[튀르키예]]의 배구 리그. 유럽 여자 배구 리그 랭킹 1위에 위치하고 있다.[* 보통 튀르키예 리그와 이탈리아 리그가 유럽의 양대산맥으로 꼽히며 러시아 리그까지 포함해 유럽 여자 배구계의 탑3 리그로 분류한다. 과거 한때 각광받던 아제르바이잔 리그는 재정 문제로 리그가 많이 위축되어 프랑스나 독일, 폴란드 리그 등에도 밀리는 분위기다.] == 명칭 변천사 == || '''기간''' || '''이름''' || || 2008~2012 || 아로마 여자 배구 리그 || || 2012~2014 || 아즈바뎀 여자 배구 리그 || || 2014~2016 || 튀르키예 여자 배구 리그 || || 2016~ || 베스텔 비너스 술탄라리기 || == 시즌별 일람 == [include(틀:튀르키예 여자 배구 리그)]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튀르키예 여자 배구 리그/2018-19 시즌)]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튀르키예 여자 배구 리그/2019-20 시즌)] === 역대 우승 구단 === [include(틀:튀르키예 여자 배구 리그 MVP)] ---- ||
{{{#fff '''시즌'''}}} || {{{#fff '''우승'''}}} || {{{#fff '''감독'''}}} || {{{#fff '''준우승'''}}} || {{{#fff '''감독'''}}} || {{{#fff '''MVP'''}}} || || 2005-06 ||<|3> '''[[엑자시바시 비트라|엑자시바시]]''' ||<|2> 마르코 모타 || [[바키프방크 SK|바키프방크]] || 볼로디미르 부자예프 || || || 2006-07 ||<|2> [[페네르바흐체(여자 배구)|페네르바흐체]] ||<|2> 아드난 크스타크 || || || 2007-08 || 주세페 쿠카리니 || || || 2008-09 ||<|3> '''[[페네르바흐체(여자 배구)|페네르바흐체]]''' ||<|2> 얀 더브란트 || [[엑자시바시 비트라|엑자시바시]] || 주세페 쿠카리니 ||[[파일:튀르키예 국기.svg|width=30]] [[세다 토카티로글루]] || || 2009-10 ||<|3> [[바키프방크 SK|바키프방크]] ||<|3> [[지오반니 귀데티]]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30]] [[예카테리나 가모바]] || || 2010-11 || 조제 귀마레스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30]] [[류보프 소콜로바]] || || 2011-12 || '''[[엑자시바시 비트라|엑자시바시]]''' || 로렌초 미첼리 ||[[파일:튀르키예 국기.svg|width=30]] [[에스라 귀뮈쉬]] || || 2012-13 ||<|2> '''[[바키프방크 SK|바키프방크]]''' ||<|2> [[지오반니 귀데티]] || [[엑자시바시 비트라|엑자시바시]] || 로렌초 미첼리 ||<|2>[[파일:튀르키예 국기.svg|width=30]] [[괴즈데 손스르마]] || || 2013-14 || [[페네르바흐체(여자 배구)|페네르바흐체]] || [[마르첼로 아본단자]] || || 2014-15 || '''[[페네르바흐체(여자 배구)|페네르바흐체]]''' || [[마르첼로 아본단자]] || [[바키프방크 SK|바키프방크]] || [[지오반니 귀데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김연경]] || || 2015-16 || '''[[바키프방크 SK|바키프방크]]''' || [[지오반니 귀데티]] || [[페네르바흐체(여자 배구)|페네르바흐체]] || [[마르첼로 아본단자]]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킴벌리 힐]] || || 2016-17 || '''[[페네르바흐체(여자 배구)|페네르바흐체]]''' || [[마르첼로 아본단자]] || [[갈라타사라이 SK|갈라타사라이]] || 아타만 귀넬리길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30]] [[나탈리아 페레이라]] || || 2017-18 ||<|2> '''[[바키프방크 SK|바키프방크]]''' ||<|2> [[지오반니 귀데티]] ||<|2> [[엑자시바시 비트라|엑자시바시]] ||<|2> 마르코 모타 ||<|2>[[파일:중국 국기.svg|width=30]] [[주팅]] || || 2018-19 || || 2019-20 ||<-5> [*취소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해 리그 중단.] || || 2020-21 ||<|2> '''[[바키프방크 SK|바키프방크]]''' ||<|2> [[지오반니 귀데티]] ||<|2> [[페네르바흐체(여자 배구)|페네르바흐체]] ||<|2> [[조란 테르지치]] ||[[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30]] [[이사벨 하크]] || || 2021-22 ||[[파일:튀르키예 국기.svg|width=30]] [[제흐라 귀네슈]] || === 우승 횟수 === ||
{{{#fff '''구단'''}}} || {{{#fff '''우승'''}}} || {{{#fff '''우승 연도'''}}} || {{{#fff '''준우승'''}}} || {{{#fff '''준우승 연도'''}}} || || [[엑자시바시 비트라|엑자시바시]] || 17 || 1983-84, 1984-85, 1985-86, 1986-87, 1987-88, [br] 1988-89, 1993-94, 1994-95, 1998-99, 1999-00, [br] 2000-01, 2000-02, 2000-03, 2000-06, 2000-07, [br]2000-08, 2011-12 || 8 || 1989-90, 1990-91, 1992-93, 1997-98, 2008-09, [br]2012-13, 2017-18, 2018-19 || || [[바키프방크 SK|바키프방크]] || 13 || 1991-92, 1992-93, 1996-97, 1997-98, 2003-04, [br]2004-05, 2012-13, 2013-14, 2015-16, 2017-18, [br]2018-19, 2020-21, 2021-22 || 11 || 1994-95, 1998-99, 1999-00, 2000-01, 2001-02, [br]2002-03, 2005-06, 2009-10, 2010-11, 2011-12, [br]2014-15 || || [[페네르바흐체(여자 배구)|페네르바흐체]] || 5 || 2008-09, 2009-10, 2010-11, 2014-15, 2016-17 || 6 || 2006-07, 2007-08, 2013-14, 2015-16, 2020-21, [br]2021-22 || || 엠락 방크스 || 3 || 1989-90, 1990-91, 1995-96 || || || || 갈라타사라이 || 0 || || 1 || 2016-17 || == 항목별 수상 == [include(틀:튀르키예 여자 배구 리그 기록상)] ---- [include(틀:튀르키예 여자 배구 리그 베스트팀)] ---- ||<-5>
{{{#fff '''파이널 라운드 수상'''}}} || || '''연도''' || '''공격상''' || '''블로킹상''' || '''세터상''' || '''리베로상''' || || 2016-17 || 세다 토카티로글루[br](갈라타사라이) || [[에다 에르뎀]][br](페네르바흐체) || 감제 알리카야[br](갈라타사라이) || 니한 귀넬리귈[br](갈라타사라이) || || 2017-18 || 괴즈데 손스르마[br](바키프방크) || 베이자 아리치[br](엑자시바시) || [[잔수 외즈바이]][br](바키프방크) || 기젬 외르게[br](바키프방크) || == 역대 기록 == === 시즌별 득점왕 === || '''시즌''' || '''이름''' || '''총득점''' || '''세트''' || '''평균''' || || 2008-09 ||[[파일:쿠바 국기.svg|width=30]] 미르카 프란시아 || || || || || 2009-10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30]] [[예카테리나 가모바]] || || || || || 2010-11 ||<|2>[[파일:폴란드 국기.svg|width=30]] [[마우고자타 글린카]] || || || || || 2011-12 || || || || || 2012-13 ||[[파일:세르비아 국기.svg|width=30]] [[요바나 브라코체비치]] || || || || || 2013-14 ||<|2>[[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김연경]] || 474점 || 93세트 || 5.10 || || 2014-15 || 435점 || 77세트 || 5.65 || || 2015-16 ||<|2>[[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30]] 조이스 실바 || 485점 || 108세트 || 4.49 || || 2016-17 || 538점 || 105세트 || 5.12 || || 2017-18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width=30]] 알레시아 리귤릭 || 590점 || 106세트 || 5.57 || || 2018-19 ||[[파일:쿠바 국기.svg|width=30]] [[멜리사 바르가스]] || 622점 || 99세트 || 6.28 || || 2019-20[*취소] ||<|2>[[파일:세르비아 국기.svg|width=30]] [[티아나 보스코비치]] || 402점 || 66세트 || 6.09 || || 2020-21 || 692점 || 104세트 || 6.65 || || 2021-22 ||[[파일:루마니아 국기.svg|width=30]] 알렉시아 카루타수 || 594점 || 110세트 || 5.40 || * 출처 : [[https://women.volleybox.net/women-turkiye-bayanlar-voleybol-ligi-2008-09-o814|Volleybox]], [[https://it.wikipedia.org/wiki/Voleybol_1.Ligi_2012-2013_(femminile)|이탈리아 위키피디아]] == 대회 == === 튀르키예 컵 === ||<-2> [[파일:튀르키예여자배구리그_튀르키예컵 로고.png|height=100]] || || 원문명 ||Türkiye Kadınlar Voleybol Türkiye Kupası || || 영어명 ||Turkish Women's Volleyball Cup || || 한국어명 ||튀르키예 컵 || * 정규 리그 전반기 11경기가 끝나고 정규 리그 후반기 시작 직전, 1월 초중순에 열린다. * 보통 전반기 성적을 기준으로 대진표가 만들어진다. 1-8, 2-7, 3-6, 4-5, 이렇게 8강을 치르며 준결승과 결승전까지 단판으로 치러진다. * 1994년에 신설했다. * MVP는 2013-14 시즌부터 수상한다. [include(틀:튀르키예 여자 배구 컵 MVP)] ---- ||
{{{#fff '''연도'''}}} || {{{#fff '''우승 구단'''}}} || {{{#fff '''세트'''}}} || {{{#fff '''준우승 구단'''}}} || {{{#fff '''MVP'''}}} || || 2008-09 || [[엑자시바시 비트라|'''엑자시바시''']] || 3-1[br]3-2 || [[페네르바흐체(여자 배구)|페네르바흐체]] || || || 2009-10 || '''[[페네르바흐체(여자 배구)|페네르바흐체]]''' || 2-3[br]3-2 || [[바키프방크 SK|바키프방크]] || || || 2010-11 ||<|2> '''[[엑자시바시 비트라|엑자시바시]]''' || 3-0 || 닐루페르 || || || 2011-12 || 3-0 || [[갈라타사라이(여자 배구)|갈라타사라이]] || || || 2012-13 ||<|2> '''[[바키프방크 SK|바키프방크]]''' ||<|2> [[리그전]] || [[엑자시바시 비트라|엑자시바시]] || || || 2013-14 || [[페네르바흐체(여자 배구)|페네르바흐체]] ||[[파일:튀르키예 국기.svg|width=30]] [[괴즈데 크르다르-손스르마|괴즈데 손스르마]] || || 2014-15 || '''[[페네르바흐체(여자 배구)|페네르바흐체]]''' || 3-2 || [[바키프방크 SK|바키프방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김연경]] || || 2015-16 ||<-4> 개최 안됨 || || 2016-17 || '''[[페네르바흐체(여자 배구)|페네르바흐체]]''' || 3-0 || [[바키프방크 SK|바키프방크]] ||[[파일:튀르키예 국기.svg|width=30]] [[에다 에르뎀]] || || 2017-18 || '''[[바키프방크 SK|바키프방크]]''' || 3-0 ||<|2> [[페네르바흐체(여자 배구)|페네르바흐체]] ||[[파일:중국 국기.svg|width=30]] [[주팅]] || || 2018-19 || '''[[엑자시바시 비트라|엑자시바시]]''' || 3-1 ||[[파일:세르비아 국기.svg|width=30]] [[티아나 보스코비치]] || || 2019-20 ||<-4> [*취소] || || 2020-21 ||<|2> '''[[바키프방크 SK|바키프방크]]''' || 3-0 || [[엑자시바시 비트라|엑자시바시]] ||[[파일:튀르키예 국기.svg|width=30]] [[제흐라 귀네슈]] || || 2021-22 || 3-2 || [[페네르바흐체(여자 배구)|페네르바흐체]] ||[[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30]] [[이사벨 하크]] || ---- ||
{{{#fff '''구단'''}}} || {{{#fff '''우승'''}}} || {{{#fff '''우승 연도'''}}} || {{{#fff '''준우승'''}}} || {{{#fff '''준우승 연도'''}}} || || [[엑자시바시 비트라|엑자시바시]] || 9 ||1998-99, 1999-00, 2000-01, 2001-02, 2002-03, 2008-09, 2010-11, 2011-12, 2018-19 || 4 ||1997-98, 2012-13, 2017-18, 2020-21 || || [[바키프방크 SK|바키프방크]] || 8 ||1994-95, 1996-97, 1997-98, 2012-13, 2013-14, 2017-18, 2020-21, 2021-22 || 4 ||2000-01, 2009-10, 2014-15, 2016-17 || || [[페네르바흐체(여자 배구)|페네르바흐체]] || 3 ||2009-10, 2014-15, 2016-17 || 3 ||2008-09, 2013-14, 2018-19, 2021-22 || || 엠락방크 || 1 ||1995-96 || || || === 튀르키예 슈퍼 컵 === ||<-2> [[파일:axa-sigorta-şampiyonlar-kupası.png|height=100]] || || 원문명 ||Türkiye Voleybol Kadınlar Şampiyonlar Kupası || || 영어명 ||Turkish Women's Volleyball Super Cup || || 한국어명 ||튀르키예 슈퍼 컵 || * 매년 리그 개막 직전인 10월에 개최된다. * 2009년 신설되었으며, MVP는 2014년부터 수상되었다. * 전 시즌 [[튀르키예 여자 배구 리그#s-4|튀르키예 리그]]와 [[튀르키예 여자 배구 리그#s-6.|튀르키예 컵]]의 우승 구단이 참가한다. 둘 다 같은 구단이 우승했을 경우 나머지 참가 구단은 임의로 정한다. [include(틀:튀르키예 여자 배구 슈퍼컵 MVP)] ---- ||
{{{#fff '''연도'''}}} || {{{#fff '''우승 구단'''}}} || {{{#fff '''세트'''}}} || {{{#fff '''준우승 구단'''}}} || {{{#fff '''MVP'''}}} || || 2009 ||<|2> [[페네르바흐체(여자 배구)|'''페네르바흐체''']] || 3-0 || [[엑자시바시 비트라|엑자시바시]] || || || 2010 || 3-1 || [[바키프방크 SK|바키프방크]] || || || 2011 ||<|2> '''[[엑자시바시 비트라|엑자시바시]]''' || 3-1 || [[페네르바흐체(여자 배구)|페네르바흐체]] || || || 2012 || 3-0 || [[갈라타사라이(여자 배구)|갈라타사라이]] || || || 2013 ||<|2> '''[[바키프방크 SK|바키프방크]]''' || 3-2 || [[엑자시바시 비트라|엑자시바시]] || || || 2014 || 3-0 || [[페네르바흐체(여자 배구)|페네르바흐체]] ||[[파일:튀르키예 국기.svg|width=30]] 괴즈데 손스르마 || || 2015 || '''[[페네르바흐체(여자 배구)|페네르바흐체]]''' || 3-2 || [[바키프방크 SK|바키프방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김연경]] || || 2016 ||<-4> 개최 안됨 || || 2017 || '''[[바키프방크 SK|바키프방크]]''' || 3-0 || [[페네르바흐체(여자 배구)|페네르바흐체]] ||[[파일:튀르키예 국기.svg|width=30]] [[나즈 아이데미르]] || || 2018 ||<|3> '''[[엑자시바시 비트라|엑자시바시]]''' || 3-1 ||<|3> [[바키프방크 SK|바키프방크]]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조던 라슨]] || || 2019 || 3-1 ||<|2>[[파일:세르비아 국기.svg|width=30]] [[티아나 보스코비치]] || || 2020 || 3-2 || || 2021 || '''[[바키프방크 SK|바키프방크]]''' || 3-0 || [[엑자시바시 비트라|엑자시바시]] ||[[파일:튀르키예 국기.svg|width=30]] [[잔수 외즈바이]] || || 2022 || '''[[페네르바흐체(여자 배구)|페네르바흐체]]''' || 3-0 || [[바키프방크 SK|바키프방크]]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30]] [[아리나 페도로프체바]] || * 2011 슈퍼컵은 페네르바흐체 주전 세터 나즈 아이데미르가 협회의 경고 조치로 경기에 참가하지 못했다. ||
{{{#fff '''구단'''}}} || {{{#fff '''우승'''}}} || {{{#fff '''우승 연도'''}}} || {{{#fff '''준우승'''}}} || {{{#fff '''준우승 연도'''}}} || || [[엑자시바시 비트라|엑자시바시]] || 5 ||2011, 2012, 2018, 2019, 2020 || 3 ||2009, 2013, 2021 || || [[바키프방크 SK|바키프방크]] || 4 ||2013, 2014, 2017, 2021 || 6 ||2010, 2015, 2018, 2019, 2020, 2022 || || [[페네르바흐체(여자 배구)|페네르바흐체]] || 4 ||2009, 2010, 2015, 2022 || 3 ||2011, 2014, 2017 || || 갈라타사라이 || 0 || || 1 ||2012 || == 여담 == * 3부 리그까지 존재한다. 과거에는 1부 리그에 12개 구단이 참가했지만, 2021시즌 부터는 4개 구단이 늘어난 16개 구단이 되었다. 1부 리그의 이름은 'Sultanlar Ligi', 2부 리그의 이름은 '1. Ligi'이다. * 정규리그 이후 파이널 방식이 고정되지 않고 국가대표 일정에 따라 매시즌 바뀌는 것으로 유명하다. 다만 2016-17 시즌 이후 골든셋 제도를 적극 받아들이며 어느 정도 파이널 라운드의 형식이 갖춰졌다. * 바키프방크, 페네르바흐체, 엑자시바시, 갈라타사라이 이 네 구단이 리그 강호로 구분된다. 특히 최근 몇 년간 바키프방크와 엑자시바시의 리그 독주가 이어졌다. 유럽 다른 리그도 마찬가지 이지만, 강팀과 약팀의 전력 차이가 상당히 큰데, 따라서 약팀들끼리나 약팀과의 경기에는 관중이 적은 편이다. 반면 [[이스탄불 더비]]로 진행되는 페네르바흐체-갈라타사라이 경기나 4대 구단간의 경기에는 많은 관중이 몰린다. * [[김연경]]은 동양인 최초 튀르키예 리그 MVP이다. * [[V-리그|한국]]과 달리 중계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는다. [[김연경]]이 2011년에 튀르키예리그에 진출한 뒤로 MBC 스포츠나 스포티비등 국내 방송사가 중계를 하기 시작했다. == 관련 문서 == * [[이탈리아 여자 배구 리그]] == 둘러보기 == [include(틀:튀르키예 관련 문서)] [[분류:튀르키예 여자 배구 리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