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튀니지의 역사)] ||<-3><:>{{{#fff {{{+1 '''튀니지 제1공화국'''}}}[br]'''First Republic of Tunisia''' [br] '''الجمهورية التونسية'''}}}|| ||<-2><:>[[파일:튀니지 국기.svg|width=100%]]||<:>[[파일:튀니지 제1공화국 국장.png|width=100%]]|| ||<-2><#e70013><:> {{{#fff '''국기'''}}}||<#e70013><:>{{{#ffffff '''국장'''}}}[* 해당 국장은 1963년부터 1989년까지 사용했다. 그 이후로는 현재의 튀니지 국장과 동일하다.)]|| ||<-3><:>{{{#ffffff '''1957년 7월 25일 ~ 2014년 1월 26일'''}}}|| ||<-2><:> {{{#fff '''성립 이전'''}}} ||<:> {{{#fff '''성립 이후'''}}} || ||<-2><:>'''{{{#fff 튀니지 왕국}}}''' ||<#e70013><:> [[튀니지|{{{#fff '''튀니지 제2공화국'''}}}]] || ||<:> {{{#fff '''위치'''}}} ||<-2>[[튀니지]]|| ||<:> {{{#fff '''수도'''}}} ||<-2>[[튀니스]]|| ||<:> {{{#fff '''정치 체제'''}}} ||<-2>[[공화제]]|| ||<:> {{{#fff '''공용어'''}}} ||<-2>[[아랍어]]|| [목차] [clearfix] == 개요 == 1957년부터 2014년까지 [[튀니지]]에 존속했던 공화제 국가였다. [[튀니지 혁명]]으로 개헌되면서 제2공화국으로 넘어갔다. == 역사 == 왕국으로 독립한 튀니지는 그 이듬해에 입헌군주국에서 공화국으로 체제가 전환되었다. 초대 대통령에 [[하비브 부르기바]]가 당선되었으나 그는 헌법까지 바꿔가면서 30년간 장기집권을 했고, 결국 1987년 [[지네 엘 아비디네 벤 알리]]에게 쫓겨났다. 하지만 세속주의 정책이나 여권신장 정책, 아프리카 식민지 국가들의 독립 운동 후원 등 대내외적으로 꽤 괜찮은 정책도 수행해서인지 부르기바는 독재자 치고는 아직까지도 국민들에게 좋은 평가를 받고 있으며, [[튀니지 혁명]] 이후에도 웬만한 도시의 큰 길에는 하비브 부르기바의 이름이 붙어있다. == [[튀니지 혁명]] == == 역대 대통령 == * 1957–1987 초대 대통령 [[하비브 부르기바]] * 1987–2011 제2대 대통령 [[지네 엘 아비디네 벤 알리]] * 2011 제3대 대통령 푸아드 메바자[* 의회 의장으로서 헌법위원회에 의해 벤 알리가 축출된 이후 제헌의회가 선출되기 전까지 임시 대통령이 되었다.] * 2011–2014 제4대 대통령 문시프 알 마르주키[* 마르주키는 직접 선출되지는 않았지만, 다음 선거까지 제헌의회에서 임시로 선출되었다. 사실상 튀니지 제1공화국의 마지막 대통령이자 제2공화국의 초대 대통령.] [[분류:튀니지의 역사]][[분류:21세기 멸망]][[분류:나무위키 아프리카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