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아시아의 항공사]][[분류:1992년 기업]] [include(틀:항공사/아시아/플래그 캐리어)] ||<-2><:><#04945C>'''{{{+2 {{{#white 투르크메니스탄 항공}}} }}}[br]{{{#white Türkmenhowaýollary[br]Turkmenistan Airlines}}}'''|| ||<-2><:>
<#ffffff> [[파일:투르크메니스탄 항공 로고.png|width=100%]] || ||<:><#ffffff,#2d2f34>'''{{{#04945C,#ffffff 부호}}}'''||<#ffffff,#2d2f34>[[콜사인]] (TURKMENISTAN)[br][[IATA#s-3]] (T5) [[ICAO#s-3]] (TUA) [[보잉/커스터머 코드|BCC]] (2K) || ||<:><#ffffff,#2d2f34>'''{{{#04945C,#ffffff 항공권 식별 번호}}}'''||<#ffffff,#2d2f34>542|| ||<:><#ffffff,#2d2f34>'''{{{#04945C,#ffffff 설립 연도}}}'''||<#ffffff,#2d2f34>[[1992년]] || ||<:><#ffffff,#2d2f34>'''{{{#04945C,#ffffff 허브 공항}}}'''||<#ffffff,#2d2f34>아시가바트 국제공항 || ||<:><#ffffff,#2d2f34>'''{{{#04945C,#ffffff 보유 항공기 수}}}'''||<#ffffff,#2d2f34>25 || ||<:><#ffffff,#2d2f34>'''{{{#04945C,#ffffff 취항지 수}}}'''||<#ffffff,#2d2f34>6 || ||<:><#ffffff,#2d2f34>'''{{{#04945C,#ffffff 항공 동맹}}}'''||<#ffffff,#2d2f34>미가입 || ||<:><#ffffff,#2d2f34>'''{{{#04945C,#ffffff 링크}}}'''||<#ffffff,#2d2f34>[[https://turkmenistanairlines.tm/|[[파일:투르크메니스탄 항공 로고.png|width=8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500C3E0-5CE0-46ED-8C5E-8EAB0E8AD6E7.jpg|width=100%]]}}} || || '''{{{#04945C [[보잉|{{{#04945C 보잉}}}]] [[보잉 777|{{{#04945C 777-22KLR}}}]]}}}''' || [목차] [clearfix] == 개요 == [[투르크메니스탄]]의 유일한 [[항공사]]이자 국영 [[플래그 캐리어]]이다. 본사는 [[아시가바트]]에 있다. == 역사 == [[1991년]] [[소련 붕괴]] 이듬해인 [[1992년]] 설립되었으며 초기에는 [[An-24]], Yak-42, [[Tu-154]]등의 구소련제 여객기만을 가지고 있었으나 [[보잉 737 클래식|보잉 737-300]]을 필두로 서방제 여객기들을 도입하기 시작했다. 1993년에는 [[Il-76]]으로 화물 노선 운항을 시작했다. 2001년 도입된 [[보잉 717]]은 구소련제 여객기들을 대체했다. 2009년과 2013년에는 각각 [[보잉 737 NG|보잉 737-700과 보잉 737-800]]을 도입했다. 2014년, [[보잉 777-200|보잉 777-200LR]]을 도입해 장거리 노선 운항을 시작했다. == 취항지 == || 국가 || 도시 || 공항 || 비고 || || 중국 || 베이징 || [[베이징 서우두 국제공항]] || 화물 || || 독일 || 프랑크푸르트 || [[프랑크푸르트암마인 국제공항]] || 화물 || || 인도 || 델리 || [[인디라 간디 국제공항]] || 화물 || || 러시아 || 모스크바 || [[도모데도보 국제공항]] || 화물[br]차터 || || 태국 || 방콕 || [[수완나품 국제공항]] || 화물 || || 튀르키예 || 이스탄불 || [[이스탄불 공항]] || 화물 || ||<|6> 투르크메니스탄 || 아시가바트 || 아시가바트 국제공항 || 허브 || || 다쇼구즈 || 다쇼구즈 공항 || || || 마리 || 마리 공항 || || || 튀르크메나바트 || 튀르크메나바트 공항 || || || 아타무라트 || 아타무라트 공항 || || || 튀르크멘바시 || 튀르크멘바시 공항 || || ||<|2> 아랍에미리트 || 아부다비 || [[아부다비 국제공항]] || 화물 || || 두바이 || [[두바이 국제공항]] || 화물 || 투르크메니스탄은 매우 폐쇄적인 독재국가이기에 자국민의 해외여행과 외국인의 자유여행을 금지하는 탓에 해외 여객 노선이 없다.[* 참고로 투르크메니스탄 이상의 독재국가([[북한]], [[에리트레아]])의 플래그 캐리어인 [[고려항공]]과 [[에리트레아 항공]]은 [[코로나 19]]의 영향으로 사실상 운항을 무기한 중단한 상황이다. 다만 고려항공은 2023년 8월 22일 운항을 재개했으나 에리트레아 항공은 아직도 운항을 재개하지 않았다.] == 서비스 == 국내에는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타본 외국인들의 말을 조합해보면 무려 '''그 [[고려항공]] 이상으로 막장이라고 한다.''' 2013년에는 [[비즈니스인사이더]]가 선정한 세계 최악의 항공사 Top 20에서 그 고려항공도 5위였는데 투르크메니스탄 항공은 무려 '''1위'''를 차지하는 굴욕을 겪었을 정도.[* [[https://www.businessinsider.com/worst-airlines-to-fly-economy-2013-5#1-turkmenistan-airlines-20|#1]] [[https://www.viraltravel.com/the-15-worst-airlines-in-the-world/|#2]]] [[스카이트랙스]]의 승객들의 평가에서도 10점 만점에 4점을 받고 온통 혹평투성이이며, [[https://www.airlinequality.com/airline-reviews/turkmenistan-airlines/|#]] [[트립어드바이저]]를 들어가봐도 지연이 심하고 승무원들도 무례할 뿐만 아니라[* 고려항공도 승무원들은 친절하다고 한다.] 영어도 전혀 못 하고, [[기내식]]도 형편없으며 [[기내 엔터테인먼트]]도 PTV로만 제공된다는 비판이 많다.[* 좌석마다 개인 화면이 있는데 그게 PTV라는 이야기다.] [[https://www.tripadvisor.com/Airline_Review-d8729175-Reviews-Turkmenistan-Airlines|#]] 더구나 객석 앞마다 [[투르크메니스탄 대통령|대통령]]의 초상화가 붙었던 것도 고려항공 기내방송에서 북한 체제를 찬양하는 것이 [[오버랩]]될 수밖에 없다. 다만 이 항공사에 호감을 표한 승객도 은근히 많은 것을 감안하면 케바케인 모양. 애초에 투르크메니스탄 자체가 매우 폐쇄적인 독재국가라 투르크메니스탄 관련 항공편[* 출국이든 입국이든]을 이용하는 사람도 그리 많지 않을 것인 만큼 "[[짬처리|대충 서비스해도 괜찮겠지]]"라는 방만한 생각 하에 서비스를 대충 할 가능성도 높아보인다. == 보유 기종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urkb77l.jpg|width=100%]]}}} || ||<-2> 여객기 [[보잉 777-200|보잉 777-22KLR]]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urkcl60.jp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urkil76.webp|width=100%]]}}} || || 전용기 [[CRJ200|챌린저 870]] || 화물기 [[Il-76|Il-76TD]] || || 제작사 || 기종 || 보유 대수 || 비고 || ||<|5> 보잉 || 737-700 || 4 || 1기는 VIP || || 737-800 || 8 || || || 757-200 || 3 || || || 777-200LR || 4 || 1기는 VIP || || 777-300LR || 2 || [* 구 [[캐세이퍼시픽 항공]] 출신 기재. 좌석도 그대로 가져왔다.] || ||<|2> 봉바르디에 || 챌린저 650 || 1 || VIP || || 챌린저 870 || 1 || VIP || || 일류신 || Il-76TD || 4 || 화물 || == 사건 사고 == * [[1993년]] [[An-2]]가 추락했다. 탑승했던 4명은 모두 생존했다. == 기타 == * [[투르크메니스탄]]이 상대적으로 인지도가 낮긴 해도 세계 최악의 [[독재]] 국가 중 하나이자 현재진행형으로 지도자 [[우상화]]를 하는 나라로 악명이 높은 만큼 투르크메니스탄 항공의 항공기에는 '''기내에도 [[투르크메니스탄 대통령|대통령]] 사진이 걸려 있었다.''' [[https://earthlymission.com/wp-content/uploads/2019/05/amazing_travel_photos_turkmenistan_fb.jpg|실제 사진]][* 사진의 주인공은 [[구르반굴리 베르디무하메도프]] 전 대통령이다. [[사파르무라트 니야조프]] 시기에는 니야조프의 사진을 걸어놨다고 한다.] 하다못해 [[우상화/북한|지도자 우상화]]에 열 올리는데 둘째 가라면 서러운 '''[[북한]]'''조차도 '''[[고려항공]] 기내에까지 [[김일성]]과 [[김정일]] 사진을 걸어놓지는 않는데 말이다.''' 다만 [[세르다르 베르디무하메도프]][* 구르반굴리 베르디무하메도프 대통령의 '''[[독재자/세습|아들이다.]]''']가 집권한 후에는 기내에 대통령의 초상화가 치워진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