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ffff 언어별 명칭}}}''' || || [[이탈리아어]] ||basso continuo (줄여서 그냥 continuo라고도 함) || || [[독일어]] ||Generalbass, Bezifferter Bass || || [[프랑스어]] ||Basse Continue || || [[영어]] ||Figured Bass, Thoroughbass || [목차] == 개요 == 저음부에서 지속적으로 쉬지 않고 베이스 반주를 곁들여 주는 주법을 말한다. 다른 말로는 '지속저음', '계속저음', '숫자저음'이라고도 한다. 무반주 작품을 제외하면, 바로크 시대의 거의 대부분의 기악곡 및 성악곡들은 이 주법을 사용한다. [[파일:attachment/basso-continuo.jpg|width=600]] 예: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의 두 대의 바이올린을 위한 [[협주곡]] BWV.1043 1악장 첫부분 일부. 아래쪽에 반주를 위한 숫자들이 표기된 것이 보인다. ~~절대로 손가락 번호 적어준 게 아니다. 애초에 6, 7은 손가락 번호가 될 수 없다.~~ 주로 담당하는 악기는 [[하프시코드]], [[오르간]], [[테오르보]],[* 테오르보 자체가 통주저음 연주에 적합하게 류트를 변형한 악기이다.] [[첼로]], [[콘트라베이스|비올로네]]이나, 경우에 따라 [[바순]], [[비올라 다 감바]]가 맡기도 한다. 주가 되는 건반악기의 경우 왼손 부분이 똑같이 따르면서, 오른손으로는 그에 걸맞는 즉흥적 화성을 넣어서 반주를 담당한다. 오른손의 화성은 거의 대부분 왼손 오선지의 상/하단에 숫자만을 표기하여 어떤 화성을 만들지 암시했는데, 이 때문에 통주저음은 또 '''숫자저음'''이라고도 불렸다. 반주자에 대한 배려가 없는 경우에는 아예 숫자마저도 생략하기 일쑤. 간혹 작곡자 자신이 가장 잘 어울린다고 생각하는 오른손 반주가 있을 경우에는 이를 표기하였고, 다른 부분은 즉흥적으로 창작하더라도 이 부분만큼은 작곡자를 존중하여 그대로 연주했는데 이것은 "오블리가토"라고 하였다. == 역사 == 16세기가 끝나갈 무렵 출판된 음악에서는 [[오르간]] 성부가 포함되어 있었는데, 이것은 가장 낮은 음을 표기하여 화성을 붙여 연주하도록 한 것이다. 17세기에 와서 독자적인 저음선율이 작곡되어 곡의 [[화성학|화성]]적 기반을 형성하였는데, 거기에 [[대위법]]을 적용시켜 성악과 어울리는 내성을 연주하도록 한것이다. 그후에는 [[건반]]이 바탕이 되어 [[첼로]], [[비올라 다 감바]], [[바순]] 같은 악기들이 보강되는, 흔히 바로크식 협주에 흔히 볼 수 있는 편성을 갖추게 된 것이다. == 보는 법 == 쉽게 말하면 원리는 현재 기타코드 읽는 방식과 거의 비슷하나 약속이 다르다. 잘하려면 화성학 기초가 필요하고 많이 다루어 보아야 하나, 간단하게 읽는 방법을 다음과 같이 소개한다. * 숫자는 구현할 화음의 음정관계를 표현한다. * 아무 표기도 없는 경우는 삼화음의 기본형을 생각하면 된다. 예를 들어 장조라면 도미솔, 단조라면 라도미. 즉 숫자 3, 숫자 5는 때때로 생략된다. * 삼화음의 제 1 전위를 표현하는 경우 숫자 6을 쓰거나 위에 6, 아래에 3을 써준다. 이럴 경우 장조라면 미솔도, 단조라면 도미라가 된다. 제 2 전위를 표현하고자 한다면 위에 6, 아래에 4를 쓴다(솔도미, 미라도 같은 화음) * 음정의 증감을 표현하기 위해 ♯(또는 +), ♭(또는 숫자 위에 빗금 (/))을 사용한다. 같은 목적으로 제자리표도 사용 가능하다. * 만약 음은 변하지 않는데 숫자만 변한다면 음정과의 관계대로 화음만 변화시키고 베이스음은 그대로 내주면 된다. 반면 숫자는 그대로인데 음만 변한다면 첫번째에서 구현한 화음은 그대로 두면서 베이스음만 변화시킨다. * 화성을 사용하지 않기를 작곡가가 원하는 경우도 있다. 이럴 경우 tasto solo("그 음만 연주하라") 라고 표기하기도 한다. 또는 숫자 0으로 표시하기도 한다. == 관련 영상 == [youtube(eoWtvPBKefc)] 1600-1650년대 이탈리아의 통주저음 설명. [youtube(OObAfpmUods)] 1650-1700년대 이탈리아의 통주저음 설명. [youtube(0BLr7Yt_ehw)]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바로크 음악, version=7)] [[분류:음악 용어]][[분류:기보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