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통가)] [include(틀:폴리네시아의 외교)] [include(틀:통가의 대외관계)] [목차] == 개요 == [[통가]]의 대외관계에 대한 문서. 통가는 19세기에서 20세기까지 [[영국]]의 지배를 받다가 독립했다. 영국과는 협력이 활발하며 [[영연방]]에 가입되어 있다. [[미국]]과는 20세기에 영국의 지배에서 벗어난 뒤에 수교했고 양국은 영국과의 관계와 마찬가지로 교류와 협력이 활발하다. [[호주]], [[뉴질랜드]]와는 경제적으로 긴밀한 편이며 통가인들중에는 호주, 뉴질랜드로 건너가는 경우가 자주 있다. == 아시아 ==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크기=40)] [[대한민국]]과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한국-통가 관계)]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크기=40)] [[일본]]과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일본-통가 관계)] 일본과는 정치적으로 협력하고 있다. 양국은 [[입헌군주제]]국가라는 공통점이 존재하며 교류, 협력이 활발하다. 일본 정부는 통가를 지원하고 있다. == 유럽 == === [include(틀:국기, 국명=영국, 출력=, 크기=40)] [[영국]]과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영국-통가 관계)] [[영국]]은 통가를 지배한 적이 있었다. 그리고 통가는 호주의 일부로 영국의 지배를 받다가 20세기에 독립했다. 영국의 영향으로 통가는 영어가 공용어로도 지정되어 있고 영연방에 가입되어 있다. 통가는 영국의 영향으로 [[기독교]]를 대부분의 주민들이 믿고 있다. == 아메리카 ==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크기=40)] [[미국]]과의 관계 === 영국과의 관계와 마찬가지로 미국과도 매우 우호적이다. 통가는 미국과 매우 가깝기 때문에 군사협력을 포함한 여러교류가 활발하다. == 오세아니아 == === [include(틀:국기, 국명=호주, 출력=, 크기=40)] [[호주]]와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호주-통가 관계)] [[호주]]와는 교류가 많은 편이고 통가인들중에도 호주로 건너가는 경우가 많다. 또한, [[호주]]는 통가의 개발 원조 최대 공여국이며 양국은 [[영연방]]회원국들이다. === [include(틀:국기, 국명=뉴질랜드, 출력=, 크기=40)] [[뉴질랜드]]와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뉴질랜드-통가 관계)] 뉴질랜드도 호주와 마찬가지로 통가와의 교류와 협력이 많이 있다. 그리고 뉴질랜드도 통가와 함께 영국의 지배를 받다가 독립했다. 양국은 영연방 회원국들이다. 통가인들도 뉴질랜드에 건너가는 경우가 많이 있다. === [include(틀:국기, 국명=피지, 출력=, 크기=40)] [[피지]]와의 관계 === [[피지]]와는 [[영연방]]에 가입되어 있지만, 미네르바 환초를 두고 영토갈등을 벌이고 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469&aid=0000450597|#]] === [include(틀:국기, 국명=사모아, 출력=, 크기=40)] [[사모아]]와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사모아-통가 관계)] == 지역별 관계 == * [[한국-통가 관계]] * [[영국-통가 관계]] * [[호주-통가 관계]] * [[뉴질랜드-통가 관계]] * [[사모아-통가 관계]] == 관련 문서 == * [[영연방]] * [[태평양 공동체]] * [[대국관계일람/오세아니아 국가]]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통가, version=225)] [[분류:통가의 외교]][[분류:나무위키 외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