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퍼시픽 네이션스 컵)] ||<-2><#fff>[[파일:Tonga_Rugby_Logo.png|width=100%]]|| ||<-2><#c10000> {{{+1 '''통가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 ||<-2><#fff> {{{#c10000 '''Tonga national rugby union team'''}}}[br] {{{#c10000 '''timi feohi ʻakapulu fakafonua ʻa Tonga'''}}} || || '''별칭''' ||'''이칼레 타히(ʻIkale Tahi)'''[* Sea Eagles] || || '''소속단체''' ||[[통가 럭비 유니언]] || || '''감독''' ||투타이 케푸 (Toutai Kefu) || || '''주장''' ||소나타네 타쿨루아 (Sonatane Takulua) || || '''최다 출전자''' ||소나타네 타쿨루아 (Sonatane Takulua) 55회 || || '''최다 득점자''' ||커트 모라스 (Kurt Morath) 340점 || || '''최다 트라이''' ||페투우 바이니콜로 (Fetu'u Vainikolo) 18회 || || '''홈 구장''' ||[[테우파이바 스포트 스타디움]][br](Teufaiva Sport Stadium) || || '''첫 국제경기''' ||VS [[피지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피지]] (9:6 승), 1924년 8월 25일 || || '''최다 점수차 승''' ||VS [[대한민국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대한민국''']] (119:0 승), 2003년 3월 22일 || || '''최다 점수차 패''' ||VS [[뉴질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뉴질랜드]] (0:102 패), 2021년 7월 3일[* 2000년 6월 19일에도 0:102로 진 적 있다] || || '''[[럭비 월드컵]]''' ||9회 출전, 최고 기록 조별리그 || || '''[[월드 럭비 랭킹]]''' ||최고 '''9위'''^^(2012)^^ / 최저 '''20위'''^^(2006)^^ || || '''역대 전적''' ||315전 121승 7무 187패 (38.4%)[* 2023년 10월 8일 기준, [[https://en.wikipedia.org/wiki/Tonga_national_rugby_union_team#Overall_record|출처]]] || [목차] [clearfix] == 개요 == [[통가]]의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이다. 경기 시작 전 그들만의 춤 의식인 시피 타우(Sipi Tau)를 선보인다.[[https://youtu.be/ME8NtctI_Ro|영상]] 아무래도 통가 섬이 피지, 사모아에 비해 훨씬 작고 인구도 적어서 상대적으로 약체인데, 2011년 월드컵에서 [[프랑스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프랑스]]를 꺾은 적이 있다. 티어1 국가를 상대로 6번밖에 승리하지 못했으며 21세기로 한정하면 3번에 불과하다[* 2011년 프랑스, 2012년 스코틀랜드, 2016년 이탈리아. 12년도 스코틀랜드와 16년도 이탈리아는 워낙 어벙하던 시절이라 1티어라고 하기에도 민망한데, 11년도에 그 대회 준우승팀을 이긴건 어떻게 가능했는지 신기할 지경]. == 역대 전적 == [[2023 럭비 월드컵]] 조별리그 종료일 이후를 기준으로 함. === 감독별 전적 === 통가는 1983년부터 2001년까지 9명의 감독이 있었다. 그 감독들의 전적은 자료가 없어 확인할 수 없다. || '''이름''' || '''기간''' || '''총전적''' || '''승''' || '''무''' || '''패''' || '''승률''' || ||[[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25]] 짐 러브 || 2001~2003 || 19전 || 6승 || || 13패 || '''31.6%''' || ||[[파일:호주 국기.svg|width=25]] 윌리 오[* 본명이 Viliami Ofahengaue인데 읽기 어려워서 O 라고 부른다] || 2004~2005 || 8전 || || 8패 || || '''0%''' || ||[[파일:호주 국기.svg|width=25]] 애덤 리치 || 2006~2007 || 7전 || 5승 || || 2패 || '''71.4%''' || ||쿠더스 피엘레아 || 2007~2010 || 16전 || 5승 || || 11패 || '''31.3%''' || ||[[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25]] 이시톨로 마카 || 2010~2011 || 14전 || 7승 || || 7패 || '''50%''' || ||[[파일:호주 국기.svg|width=25]] 투타이 케푸[* 이때는 임시 감독] || 2012 || 3전 || 1승 || || 2패 || 33.3% || ||마나 오타이 || 2012~2015 || 24전 || 11승 || 1무 || 12패 || '''45.8%''' || ||'''투타이 케푸''' || 2016~ ||<-5> 자료 없음 || === 주요 대회 성적 === ||<-4> '''[[럭비 월드컵|{{{#fff 럭비 월드컵}}}]]''' || || '''연도''' || '''개최국''' || '''최종 순위''' || '''비고''' || || [[1987 럭비 월드컵|1987]] ||[[파일:호주 국기.svg|width=30]] 호주[br][[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30]] 뉴질랜드 || 조별리그 ||조 4위 || || [[1991 럭비 월드컵|1991]] ||[[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30]] 잉글랜드[br][[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30]] 프랑스[br][[파일:IRFU 로고.png|width=30]] 아일랜드[br][[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width=30]] 스코틀랜드[br][[파일:웨일스 국기.svg|width=30]] 웨일스 || --예선 탈락-- ||아시아/오세아니아 3위 || || [[1995 럭비 월드컵|1995]]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width=30]] 남아공 || 조별리그 ||조 3위 || || [[1999 럭비 월드컵|1999]] ||[[파일:웨일스 국기.svg|width=30]] 웨일스 || 조별리그 ||조 3위 || || [[2003 럭비 월드컵|2003]] ||[[파일:호주 국기.svg|width=30]] 호주 || 조별리그 ||조 5위 || || [[2007 럭비 월드컵|2007]]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30]] 프랑스 || 조별리그 ||조 3위 || || [[2011 럭비 월드컵|2011]] ||[[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30]] 뉴질랜드 || 조별리그[* 같은 조 프랑스를 잡았다. 프랑스를 포함하여 럭비계가 굉장히 당황스러워했다.] ||조 3위 || || [[2015 럭비 월드컵|2015]] ||[[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30]] 잉글랜드 || 조별리그 ||조 4위 || || [[2019 럭비 월드컵|2019]] ||[[파일:일본 국기.svg|width=30]] 일본 || 조별리그 ||조 4위 || || [[2023 럭비 월드컵|2023]]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30]] 프랑스 || 조별리그 ||조 4위 || 태평양 3강(피지, 사모아, 통가)중 최약체라 월드컵 조별리그까지는 무난히 가는데 그 이상은 안된다. 인구 10만의 섬나라에서 이렇게까지 하는 것도 굉장한 일이긴 한데, 사실 통가 대표팀 선수단은 대부분 통가 혈통의 뉴질랜드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3> [[퍼시픽 네이션스 컵|'''{{{#fff 퍼시픽 트라이 네이션스}}}''']] (1982 ~ 2005) || || '''주요 참가국''' ||<-2> '''우승''' || ||[[파일:사모아 국기.svg|width=30]] 사모아 ||<-2> 11회 || ||[[파일:피지 국기.svg|width=30]] 피지 ||<-2> 9회 || ||[[파일:통가 국기.svg|width=30]] 통가 ||<-2> 3회 || ||<-3> [[퍼시픽 네이션스 컵|'''{{{#fff 퍼시픽 네이션스 컵}}}''']] (2006 ~ 2023) || || '''주요 참가국''' || '''우승''' || '''준우승''' || ||[[파일:피지 국기.svg|width=30]] 피지 || 6회 || 5회 || ||[[파일:사모아 국기.svg|width=30]] 사모아[* 2014년 일본과 공동 우승] || 4회 || 4회 || ||[[파일:일본 국기.svg|width=30]] 일본 || 3회[* 2014년 사모아와 공동 우승] || || ||[[파일:통가 국기.svg|width=30]] 통가 || || 3회 || === 국가별 상대전적 === || '''상대국''' || '''총전적''' || '''승''' || '''무''' || '''패''' || '''승률''' || ||[[파일:웨일스 국기.svg|width=30]] [[웨일스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웨일스]] || 9전 || || || 9패 || '''0%''' || ||[[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30]] [[뉴질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뉴질랜드]] || 7전 || || || 7패 || '''0%''' || ||[[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30]] [[잉글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잉글랜드]] || 4전 || || || 4패 || '''0%''' || ||[[파일:IRFU 로고.png|width=30]] [[아일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아일랜드]] || 3전 || || || 3패 || '''0%''' ||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width=30]] [[남아프리카 공화국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남아공]] || 3전 || || || 3패 || '''0%''' ||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30]] [[아르헨티나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아르헨티나]] || 2전 || || || 2패 || '''0%''' ||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width=30]] [[스코틀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스코틀랜드]] || 6전 || 1승 || || 5패 || 16.7% || ||[[파일:호주 국기.svg|width=30]] [[호주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호주]] || 4전 || 1승 || || 3패 || 25% || ||[[파일:피지 국기.svg|width=30]] [[피지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피지]] || 94전 || 27승 || 3무 || 64패 || 28.7%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30]] [[프랑스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프랑스]] || 6전 || 2승 || || 4패 || 33.3% || ||[[파일:조지아 국기.svg|width=30]] [[조지아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조지아]] || 7전 || 2승 || || 5패 || 28.6% || ||[[파일:사모아 국기.svg|width=30]] [[사모아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사모아]] || 69전 || 27승 || 4무 || 38패 || 39.1%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30]] [[이탈리아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이탈리아]] || 5전 || 2승 || || 3패 || 40%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30]] [[캐나다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캐나다]] || 11전 || 5승 || || 6패 || 45.5% || ||[[파일:일본 국기.svg|width=30]] [[일본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일본]] || 18전 || 9승 || || 9패 || 50% || ||[[파일:루마니아 국기.svg|width=30]] [[루마니아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루마니아]] || 5전 || 3승 || || 2패 || 60% ||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미국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미국]] || 10전 || 9승 || || 1패 || 90% || || 그외[* [[칠레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칠레]], 쿡 제도, [[홍콩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홍콩]], [[코트디부아르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코트디부아르]], [[나미비아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나미비아]], 뉴칼레도니아, 파푸아뉴기니, [[포르투갈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포르투갈]], 솔로몬 제도, [[대한민국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대한민국''']], [[스페인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스페인]], 타히티, [[우루과이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우루과이]], [[짐바브웨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짐바브웨]]] || 26전 || 26승 || || || 100% || 어느정도 수준은 있어서 때문에 자신보다 약한 상대를 찾아다닐 입장은 아닌데, 그렇다고 강팀을 상대하자니 맨날 쥐어 터지는 상황이다. == 개인 기록 == 현역은 '''볼드체''' || '''타이틀''' || '''이름''' || '''포지션''' || '''기록''' || '''기간/시점''' || '''비고''' || ||최다 출전 || '''소나타네 타쿨루아''' || 스크럼하프 || 54회 || 2014~ || || ||주장으로서 최다 출전 || 닐리 라투 || 플랭커 || 42회 || 2006~2016 || || ||최다 트라이 || '''소나타네 타쿨루아'''[br]페투우 바이니콜로 || 스크럼하프[br]윙 || 17회 || 2014~[br]2011~2016 ||경기당 0.31회[br]경기당 0.61회 || ||최다 트라이 (경기당) || 페투우 바이니콜로 || 윙 || 경기당 0.61개 || 2011~2016 ||총 17회 || ||최다 득점 || 커트 모라스 || 플라이하프 || 340점 || 2009~ ||경기당 8.5점 || ||한 경기 최다 득점 || 피에어 홀라 || 센터 || 44점 || 2003.3.22 ||vs '''대한민국''' || ||한 경기 최다 트라이 || 벤허 키발루 || No.8 || 5개 || 2003.3.22 ||vs '''대한민국''' || || 최연소 출전 || 엘리시 부니폴라 || 플라이하프 || 17세 292일 || 1990.3.24 ||vs 피지 || || 최고령 출전 || 파카하루 발루 || 플랭커 || 37세 362일 || 1987.6.3 ||vs 아일랜드 || == 유니폼 == 자국의 깃발에 맞게 빨간 상의와 양말, 흰 바지를 거의 대부분 입어 왔다. 어웨이는 색반전. 가끔 바지까지 빨간색이거나, 어웨이가 온통 하얀색인 경우도 있었다. || '''연도''' || '''장비 제작''' || ||1974~1980년대 ||[[파일:영국 국기.svg|width=25]] [[엄브로]] || ||1980년대~1999 ||[[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25]] 캔터베리 || ||2000~2002 ||캐리스브룩 || ||2003~2005 ||[[파일:호주 국기.svg|width=25]] Sekem || ||2005~2008 ||[[파일:호주 국기.svg|width=25]] 쿠가 || ||2008 ||[[파일:일본 국기.svg|width=25]] 사무라이 스포츠웨어 || ||2008~2010 ||아오니우 || ||2011~2012 ||[[파일:호주 국기.svg|width=25]] 쿠가, BLK || ||2012~2015 ||[[파일:영국 국기.svg|width=25]] 쿠크리 || ||2016~202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5]] [[미즈노]] || ||2021 ||Siomai Print || ||2021~ ||Force XV || == 선수단 == 통가의 자연/인문지리적 특성상 '''모든''' 선수가 해외에서 활동하고 있고, 대부분 해외 국적자다. [include(틀:2023 럭비 월드컵 프랑스/선수단/통가)] [[분류:통가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