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현대전/태국 함선)] [[파일:JRIFeSE.jpg]] [목차] == 개요 == 톤부리급 [[해방함]]은 태국 해군이 해안 방어를 위해서 1935년 12월 일본에 총 2척을 주문, 1937년 인수했던 함선급으로 203mm 2연장 포탑 2개로 무장하고 있다. == 제원 (톤부리 / 스리 아유타야) == * 상비배수량: 2,015톤 * 만재배수량: 2,265톤 / 2,350톤 * 전장: 77.01미터 * 전폭: 14.43미터 / 13.41미터 * 흘수선: 4.19미터 * 기관/축: MAN 디젤기관 2기/2축 * 출력: 5,200마력 * 속력: 15.8노트 * 항속거리: 12노트로 11,100해리 * 무장: 20.3cm 50구경 2연장 함포 2기, 76.2mm 단장고각포 4기, 40mm 단장기포 4기, 20mm 단장기포 4기 * 승조원: 234명 == 상세 == 명칭의 유래는 태국의 고대 왕조인 톤부리 왕조와 아유타야 왕조. 기존에는 주명인 촌부리라고 되어 있었는데, 이 촌부리와 톤부리는 엄연히 다른 말이다.[* 촌부리라는 함선은 따로 있다.] [[프랑스-태국 전쟁]] 중 일어난 [[코 창 해전]]에서 대파되어 연안에 착저 하고 만다. 사실상 격침이나 다를 바 없을 정도의 피해를 입었지만 당시 태국 해군의 기함이었다는 상징성 때문에 인양된 뒤 어찌저찌 수리되었고, 전후까지 살아남아 연습함으로 활용되었다. 그리고 함교와 주포가 해군학교에 보존되는 등 나름 행복하고 명예로운 최후를 맞았다. 한편 자매함인 스리 아유타야는 전후 쿠데타에서 쿠데타측의 공격으로 좌초된다. [[https://en.wikipedia.org/wiki/Thonburi-class_coastal_defence_ship|참조: 영어]], [[https://ja.wikipedia.org/wiki/トンブリ級海防戦艦|참조: 일본어]], [[https://th.wikipedia.org/wiki/เรือหลวงธนบุรี|참조: 태국어1]], [[https://th.wikipedia.org/wiki/เรือหลวงศรีอยุธยา|참조: 태국어2]] == 매체에서 == * [[전함소녀]]에서 1번함 [[톤부리(전함소녀)|톤부리]]가 모니터함으로 등장한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톤부리(전함소녀), version=25, paragraph=1)] [[분류:호위함]][[분류: 해상 병기/세계 대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