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토탈 워: 워해머)] [include(틀:토탈 워: 워해머/세력)] [목차] == 개요 == [[토탈 워: 워해머]]에 등장하는 플레이 불가능 세력에 대해 서술하는 문서. 1편에서 반란군 및 이벤트로 등장하는 세력은 [[토탈 워: 워해머/반란군 및 기타 세력]] 참조. 여담으로 현재 1부 그랜드 캠페인에 등장하는 모든 세력은 모탈캠에도 등장한다. == 그랜드 캠페인 == === 제국 === || [[파일:Nordland_Total_War_Warhammer.png|width=100]] || || 노들란트 || 제국 북부에 위치한 소규모 세력. 오스트란트와 함께 바다 건너편에 노스카와 접하고 있다. || [[파일:Middenland_Total_War_Warhammer.png|width=100]] || || 미덴란트 || 준전설군주인 [[보리스 토드브링어]]가 배치된 세력. 미덴란트 영지를 점거한 상태로 등장한다. || [[파일:Talabecland_Total_War_Warhammer.png|width=100]] || || 탈라벡란트 || 제국 중앙부 ~ 동부에 위치한 세력. 영지의 크기는 매우 크지만 정착지는 2개(캠퍼바드, 탈라브하임)에 불과하다. || [[파일:Stirland_Total_War_Warhammer.png|width=100]] || || 스티어란트 || 아베란트, 오스터마르크와 함께 실바니아와 인접한 제국 세력. 설정상 제국에서 가장 가난한 지역으로, 뱀파이어 전쟁 이후 실바니아가 스티어란트에 편입되었지만 영향력이 미치지는 못한다고 한다. || [[파일:Wissenland_Total_War_Warhammer.png|width=100]] || || 위센란트 || 남부 회색산맥에 인접한 제국 세력. || [[파일:Averland_Total_War_Warhammer.png|width=100]] || || 아베란트 || 제국 남부의 아베란트에 위치한 세력. 검은 불 통로를 두고 국경의 공들과 인접하고 있다. || [[파일:Hochland_Total_War_Warhammer.png|width=100]] || || 호흘란트 || 눈에는 눈 캠페인에서 마린부르크와 함께 출연한다. || [[파일:Ostermark_Total_War_Warhammer.png|width=100]] || || 오스터마르크 || 제국 동부에 위치한 세력. 북쪽으로는 키슬레프, 남쪽으로 뱀파이어 카운트 세력인 템플레호프와 접경하고 있다. || [[파일:Ostland_Total_War_Warhammer.png|width=100]] || || 오스트란트 || 제국 북동부 오스트란트에 위치한 세력. 오스터마르크, 탈라벡란트와 함께 키슬레프와 접경하고 있다. || [[파일:Marienburg_Total_War_Warhammer.png|width=100]] || || 마린부르크 || 브레토니아 플레이시 전쟁 상태로 등장한다. 설정상 제국의 암군 디터 4세에게 막대한 뇌물을 바치고 독립했다는 설정을 가지고 있으며, 노들란트의 땅이었기 때문에 노들란트와의 외교관계가 좋지 못하다. 눈에는 눈 캠페인에서 호흘란트와 함께 출연한다. || [[파일:Empire Secessionists_Total_War_Warhammer.png|width=100]] || || 제국 분리주의자 || 제국 플레이시에만 등장하는 제국의 하위세력. 햄탈워 창작 세력으로, 카를 프란츠가 즉위한 뒤 반기를 든 세력이라는 설정을 가지고 있다. 소설 알트도르프의 대공에서도 언급되었다. === 드워프 === || [[파일:Barak Varr_Total_War_Warhammer.png|width=100]] || || 바락 바르 || 피의 강 지역에 위치한 드워프 세력으로, 드워프 세력 중 유일하게 항구를 가진 상태로 시작한다. || [[파일:Zhufbar_Total_War_Warhammer.png|width=100]] || || 즈후프바르 || 원작에서 엔지니어 캐릭터인 [[그림 벌록슨]]이 즈후프바르 출신이다. 모탈 엠파이어 캠페인에서는 페릭 클랜이 배치되면서 즈후브바르 영지 전체를 점령하고 있던 1부와는 달리 세력이 크게 줄었다. || [[파일:Karak Norn_Total_War_Warhammer.png|width=100]] || || 카라크 노른 || 남부 회색산맥에 위치한 드워프 세력. 구부러진 달 진영 시작시 전쟁 상태이다. || [[파일:Karak Azul_Total_War_Warhammer.png|width=100]] || || 카라크 아줄 || 나가쉬의 폐허 지역에 위치한 드워프 세력. 멸망하지 않은 드워프 홀드 중 가장 남쪽에 위치해있다. || [[파일:Karak Ziflin_Total_War_Warhammer.png|width=100]] || || 카라크 지플린 || 북부 회색산맥에 위치한 드워프 세력. 계시의 계절 캠페인에도 등장하며, 모탈 엠파이어 캠페인에서는 [[하인리히 케믈러]]가 흑석 초소로 이사오면서 주 정착지도 흑석초소로 변경당했다. || [[파일:카라크 카드린.png|width=100]] || || 카라크 카드린 || 1부에서는 마이너 세력이었으나, 모탈 엠파이어에서는 2018년 5월 패치로 웅그림 아이언피스트가 배치됨에 따라 플레이어블 세력으로 변경되었다. 설정상 슬레이어 교단의 수도이기도 하다. || [[파일:Karak Hirn_Total_war_Warhammer.png|width=100]] || || 카라크 히른 || 검은 산맥에 배치된 드워프 세력. || [[파일:Kraka Drak_Total_War_Warhammer.png|width=100]] || || 크라카 드락 || 거인가 산맥에 위치한 드워프 세력. 설정상 거대한 재앙 이후 다른 드워프들과 교류가 끊기고 노스카 지역에 고립되어 독자적인 문화를 가진 [[노스 드워프]]라는 설정이 있다. === 뱀파이어 카운트 === || [[파일:Mousillon_Total_War_Warhammer.png|width=100]] || || 무지용 || 브레토니아의 버려진 공작령인 무지용을 점거한 뱀파이어 세력. 준전설군주인 [[붉은 공작]]이 배치되어 있다. || [[파일:Templehof_Total_War_Warhammer.png|width=100]] || || 템플레호프 || 슈바르츠하펜과 드라켄호프 성을 제외한 실바니아 지역을 점거한 뱀파이어 세력이다. 전쟁 선포와 지불을 제외하면 외교가 불가능하도록 설정되어있다. === 그린스킨 === || [[파일:Black Venom_Total_War_Warhammer.png|width=100]] || || 검은 맹독 || || [[파일:Crooked Moon Mutinous Gits_Total_War_Warhammer.png|width=100]] || || 구부러진 달 불복종 분자 || 스카스닉이 자리를 비운 사이 반란을 일으켰다는 창작 설정을 가진 세력. || [[파일:Scabby Eye_Total_War_Warhammer.png|width=100]] || || 딱지앉는 눈 || 서부 배드랜드에 위치한 그린스킨 하위세력이다. || [[파일:Broken Nose_Total_War_Warhammer.png|width=100]] || || 부러진 콧등 || 볼트 지역에 위치한 그린스킨 하위세력이다. || [[파일:Red Eye_Total_War_Warhammer.png|width=100]] || || 붉은 눈 || 원작에서는 그림고어 아이언하이드가 활동했던 곳이다. || [[파일:Red Fangs_Total_War_Warhammer.png|width=100]] || || 붉은 송곳니 || 그린스킨(그림고어, 아자그) 플레이시 초반 상대. 원래 검은 암반의 지도자는 [[고르팡 롯것]]인데, 햄탈워에서는 그림고어에게 축출되는 것으로 나왔다. || [[파일:Teef Snatchaz_Total_War_Warhammer.png|width=100]] || || 이빨날리개 || 우르자그 플레이시 초반 상대. || [[파일:Bloody Spearz_Total_War_Warhammer.png|width=100]] || || 피묻은 창끝 || 드워프 세력 플레이시(토그림, 1부 웅그림, 그롬브린달) 초반 상대. || [[파일:Skullsmasherz_Total_War_Warhammer.png|width=100]] || || 해골분쇄기 || 북부 회색산맥 그룽진트를 장악한 세력. === 브레토니아 === || [[파일:Artois_Total_War_Warhammer.png|width=100]] || || 아르투아 || 아덴 숲 영지에 배치된 세력. || [[파일:Lyonesse_Total_War_Warhammer.png|width=100]] || || 리용세 || 리용세 영지에 배치된 세력. 리용세의 소규모 정착지인 무지용에 뱀파이어 카운트 하위세력인 무지용이 배정되어 있어서, 브레토니아 세력 중 유일하게 영지가 통일되지 않은 세력이다. 지도자인 [[아달라르]]는 원작 설정에서 리용세의 공작이었다. || [[파일:Bastonne_Total_War_Warhammer.png|width=100]] || || 바스통 || 지도자로 설정된 [[보에몽]][* 인게임에서는 영어식으로 번역하여 보헤몬드로 나온다.]은 구판 브레토니아 5판에서 스페셜 캐릭터로 룰과 미니어처 모델이 존재했었다. || [[파일:Parravon_Total_War_Warhammer.png|width=100]] || || 파라봉 || 카르가손과 함께, 아델 로렌과 접경하는 브레토니아 하위세력. === 카오스 워리어 계열 === || [[파일:Chaos_gathering_total_war_warhammer.png|width=100]] || || 카오스 개더링 || 카오스 플레이에서 '젠취의 배반' 이벤트와 함께 등장하는 세력. [[사르소라엘]]이 지도자이다. || [[파일:Challenger of the Hound_total_war_warhammer.png|width=100]] || || 사냥개 신의 도전자 || 노스카 플레이에서만 등장하는 세력. 카오스 신 [[코른(Warhammer)]]을 상징한다. || [[파일:Challenger of the Eagle_total_war_warhammer.png|width=100]] || || 독수리 신의 도전자 || 노스카 플레이에서만 등장. 카오스 신 [[젠취]]를 상징한다. || [[파일:Challenger of the Crow_total_war_warhammer.png|width=100]] || || 까마귀 신의 도전자 || 노스카 플레이에서만 등장. 카오스 신 [[너글]]을 상징한다. || [[파일:Challenger of the Serpent_total_war_warhammer.png|width=100]] || || 독사 신의 도전자 || 노스카 플레이에서만 등장. 카오스 신 [[슬라네쉬]]를 상징한다. === 비스트맨 계열 === || [[파일:Redhorn Tribe_total_war_warhammer.png|width=100]] || || 레드 혼 부족 || || [[파일:Jagged-Horn Tribe_total_war_warhammer.png|width=100]] || || 재기드 혼 부족 || || [[파일:Warherd_of_Chaos_total_war_warhammer.png|width=100]] || || 카오스의 워허드 || 다른 비스트맨 하위 세력과는 달리, 카오스 이벤트와 함께 카오스 황무지에서 등장하는 세력이다. 비스트맨 세력과의 연방은 불가능하다. === 우드 엘프 계열 === || [[파일:Torgovann_Total_War_Warhammer.png|width=100]] || || 토르고반 || 토르고반 영지를 점거한 세력. 원작에서 토르고반의 군주는 우드 엘프의 대장장이인 다이스인데, 인게임에서는 일반 글레이드 로드로만 나왔다. 세월의 떡갈나무 영지 서쪽에 위치한 세력. || [[파일:Wydrioth_Total_War_Warhammer.png|width=100]] || || 위드리오스 || 위드리오스 영지를 점거한 세력. 세월의 떡갈나무 영지 동쪽에 위치하고 있다. 군주 핀돌은 원작 설정에서 언급된 위드리오스의 지도자이나, 별다른 설정이 없어서 일반 글레이드로드로만 나왔다. === 노스카 계열 === || [[파일:Goromadny Tribe_Total_War_Warhammer.png|width=100]] || || 고로마드니 부족 || 카오스 황무지와 가장 인접한 고로마드니 지역을 점거하고 있다. || [[파일:Varg_Total_War_Warhammer.png|width=100]] || || 바르그 부족 || 세력 지도자로 설정된 [[수르다 에크]]가 컬트적인 인기를 끌었다. 항목 참조. || [[파일:Helspire Tribe_Total_War_Warhammer.png|width=100]] || || 헬스파이어 부족 || || [[파일:Naglfarlings_Total_War_Warhammer.png|width=100]] || || 나글파링 부족 || 트로그(원터투스) 플레이시 초반 상대로 등장하는 노스카 부족. || [[파일:Vanaheimlings_Total_War_Warhammer.png|width=100]] || || 바나헤임링 부족 || 바나헤임링 산맥을 점거한 노스카 부족. || [[파일:Skaeling_Total_War_Warhammer.png|width=100]] || || 스케일링 || 바르그와 함께 노스카 패치 이전부터 있었던 부족. 울프릭(노스카) 플레이시 전쟁 상태로 시작한다. || [[파일:Bjornling_Total_War_Warhammer.png|width=100]] || || 피요들링 부족 || 다른 부족들과 달리, 카오스 침공 이벤트로 등장한다. ==== 카오스 각성 ==== || [[파일:Graeling_Total_War_Warhammer.png|width=100]] || || 그레일링 부족 || 헬스파이어 산맥에서 각성된다. || [[파일:Baersonling_Total_War_Warhammer.png|width=100]] || || 베어손링 부족 || 고로마드니 산맥 영지에서 각성된다. || [[파일:Sarl_Total_War_Warhammer.png|width=100]] || || 사알 부족 || 트롤하임 산맥 영지에서 각성된다. 원작에서 울프릭이 사알 부족 출신이었다. || [[파일:Aesling_Total_War_Warhammer.png|width=100]] || || 아이슬링 부족 || 헬의 산맥에서 각성된다. === 남부 왕국[* 고유 로스터가 없기 때문에 제국의 로스터를 공유한다.] === || [[파일:에스탈리아.png|width=100]] || || 에스탈리아 || 에스탈리아 지역을 점거하고 있는 남부 왕국 세력. 카즈라크 플레이시 전쟁 상태로 시작한다. || [[파일:Tilea_Total_War_Warhammer.png|width=100]]|| || 틸레아 || 틸레아 영지를 점거하고 있는 남부 왕국 세력. 원작에서는 여러 도시들이 있지만, 햄탈워 1편에서는 미랄리아노와 루치니 밖에 구현되지 못했다. || [[파일:Border Princes_Total_War_Warhammer.png|width=100]] || || 국경의 공들 || 2개 영지(서부 국경의 공, 동부 국경의 공)를 점거한 남부 왕국 세력. 모티브는 신성로마제국의 변경백으로, 변방 대공들의 느슨한 연합 체제에 가깝다. === 키슬레프[* 고유 로스터가 없기 때문에 제국 로스터를 공유한다.] === || [[파일:키슬레프.png|width=100]] || || 키슬레프 || 4개 영지, 9개 정착지를 가진 세력. 수도는 키슬레프로 남부 주에 위치해 있다. 원작에서 지도자는 차리나 [[카타린]]이지만, 햄탈워 1부와 필멸캠은 [[드미트리 차리요프]]라는 인물이 대신해서 나온다. === 새비지 오크[* 그린스킨 로스터 중 새비지 오크 로스터만을 사용한다.] === || [[파일:Top Knotz_Total_War_Warhammer.png|width=100]] || || 상투머리 || 남부 배드랜드를 점거한 세력. 회오리의 눈, 필멸자 제국 캠페인에서도 등단하는 세력 중 하나이다. || [[파일:Skull-takerz_Total_War_Warhammer.png|width=100]] || || 스컬테이커즈 || 새비지 오크로 분류되지만 다른 유닛들을 뽑아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유목 상태'''로 시작하는 유일한 그린스킨 하위세력이다. == 눈에는 눈 캠페인 전용 == === 제국 === || [[파일:Middenheim_total_War_warhammer.png|width=100]] || || 미덴하임 || 준전설군주 [[보리스 토드브링어]]가 배정된 세력으로, 원작에서는 미덴란트의 주도였다. || [[파일:Cult_of_Ulric_total_war_warhammer.png|width=100]] || || 울릭 교단 || 겨울과 늑대의 신 [[울릭]]을 섬기는 교단. 원작에서 지도자는 [[에밀 팔가이르]]지만 햄탈워에서는 베른하르트 헤르기그(Bernhardt Hergiger)라는 인물이 세력 지도자로 나왔다. || [[파일:Carroburg_total_war_warhammer.png|width=100]] || || 카로부르크 || 원작에서는 미덴란트 남부에 위치한 도시. 본래 선제후령이던 드락발트의 주도였으나, 비스트맨의 준동으로 드락발트가 멸망당한 뒤 미덴란트에 흡수되었다. === 그린스킨 === || [[파일:The Black Pit Tribe_total_war_warhammer.png|width=100]] || || 검은 구덩이 || || [[파일:Gloomy Woodz Tribe_total_war_warhammer.png|width=100]] || || 우울한 나무 || === 비스트맨 === || [[파일:Shadowgor Warherd_Total_War_Warhammer2.png|width=100]] || || 쉐도우고어 부족 || 눈에는 눈 캠페인에서는 남부 호흘란트 지역에서 등장한다. 2부 캠페인에서는 나가로스의 붉은 사막(회오리의 눈) / 검은 등뼈 산맥(필멸의 제국)에서 등장. || [[파일:Ripper-Horn Tribe_Total_War_Warhammer2.png|width=100]] || || 리퍼혼 부족 || 2부 캠페인에서도 등장하지만 올드 월드가 아닌 나가로스 지역에서 등장한다. 회오리의 눈과 필멸의 제국 캠페인에서 세력 리더는 [[그락타르]]가 아닌 피협곡 갈라크(Gallak Blood-Gorge)로 나온다. || [[파일:Skrinderkin Warherd_total_war_warhammer.png|width=100]] || || 스크린데르킨 부족 || 서부 드락발트 지역에서 등장한다. 회오리의 눈 캠페인에서는 흑요석 봉우리 지역에서 등장. == 계시의 계절 캠페인 전용 == 계시의 계절 캠페인에서만 등장하는 세력만 서술한다. === 그린스킨 === || [[파일:Skull Crag_total_war_warhammer.png|width=100]] || || 데프 그라인다즈 || === 브레토니아 === || [[파일:gisoreux_total_war_warhammer.png|width=100]] || || 기소르 || 올드 월드 캠페인에서는 아르투아와 통합되어 나온다. || [[파일:Montfort.png|width=100]] || || 몽포르 || 올드 월드 캠페인에서는 바스통과 통합되어 나온다. || [[파일:Brionne_total_War_warhammer.png|width=100]] || || 브리욘 || 올드 월드 캠페인에서는 카르가손와 통합되어 나온다. || [[파일:Aquitaine_total_war_warhammer.png|width=100]] || || 아키텐 || 올드 월드 캠페인에서는 보르들로와 통합되어 나온다. 설정상 [[붉은 공작]]이 아키텐의 공작이었다. 3편 불멸캠에서 보르들로를 차지하게 되었다. ||[[파일:Quenelles.png|width=100]] || || 퀘넬 || 올드 월드 캠페인에서는 파라봉과 통합되어 나온다. === 비스트맨 === || [[파일:Brayherd of the Shadowgave_total_war_warhammer.png|width=100]] || || 쉐도우게이브의 브레이허드 || [[몰구르]]가 세력지도자로 등장하며, 계시의 계절 최종보스 포지션이다. === 우드 엘프 === || [[파일:Modryn.png|width=100]] || || 모드린 || || [[파일:Cythral.png|width=100]] || || 시트랄 || || [[파일:Arranoc_total_War_Warhammer.png|width=100]] || || 아라녹 || || [[파일:Atylwyth_total_war_warhammer.png|width=100]] || || 아트위스 || 아트위스는 오역으로 원래 명칭을 '아틸위스'이다. || [[파일:Anmyr_total_war_warhammer.png|width=100]] || || 안미르 || || [[파일:Tirsyth.png|width=100]] || || 타르시스 || || [[파일:fyr_darric_total_war_warhammer.png|width=100]] || || 피르 데릭 || == 삭제된 세력 == 1부 출시 당시에는 있었으나 DLC 추가 및 패치로 삭제되었다. === 드워프 === || [[파일:Karak Izor_total_war_warhammer.png|width=100]] || || 카락 이조르 || 볼트 지역에 위치했던 드워프 하위세력. 왕과 전쟁군주 DLC로 [[벨레가르 아이언해머]]가 추가되면서 삭제되었다. === 뱀파이어 카운트 === || [[파일:Schwartzhafen_total_war_warhammer.png|width=100]] || || 슈바르츠하펜 || 서부 실바니아의 슈바르츠하펜에 위치했던 뱀파이어 카운트 하위세력. [[이자벨라 폰 카르슈타인]] FLC 추가로 폰 카르슈타인 진영이 추가되면서 삭제되었다. === 그린스킨 === || [[파일:necksnappers_total_war_warhammer.png|width=100]] || || 목꺾는자 || 남부 회색산맥 영지의 카락 아즈가라즈에 위치했던 그린스킨 하위세력. 왕과 전쟁군주 DLC로 [[스카스닉]]이 추가되면서 사라졌다. || [[파일:Orcs of the Bloody Hand_total_war_warhammer.png|width=100]] || || 블러디 핸드의 오크들 || 서부 배드랜드의 에크룬드에 위치했던 그린스킨 하위세력. FLC로 [[우르자그]]가 추가되면서 블러디 핸즈로 바뀌어 플레이어블이 되었다. == 관련 문서 == * [[토탈 워: 워해머 2/소규모 세력]] * [[토탈 워: 워해머 2/소규모 세력/필멸의 제국들]] == 출처 == [[https://www.honga.net/totalwar/warhammer/faction.php?l=en&v=warhammer]] [[https://totalwarwarhammer.fandom.com/wiki/The_Old_World]] [[분류:토탈 워: 워해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