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토탈 워: 워해머 2)] [include(틀:토탈 워: 워해머/세력)] [[분류:토탈 워: 워해머]] [목차] == 개요 == [[토탈 워: 워해머 2]]의 회오리의 눈 캠페인에 등장하나 플레이가 불가능한 세력에 대한 문서. 하단 세력들은 언락커 모드를 깔아야만 플레이가 가능하다. 1편과 달리 나가로스, 울쑤안, 러스트리아, 사우스랜드로 배경이 변경되었기 때문에 [[올드 월드]] + 다크랜드에만 연고가 있는 [[키슬레프]] 관련 세력은 없다. 반면 남부 왕국 세력은 신대륙[* 주로 헥소아틀과 인접한 러스트리아 북서쪽 해안가에 건설했다.]에 식민지들을 개척했기 때문인지 뉴 월드 콜로니라는 남부 왕국 하위세력이 러스트리아에 존재한다. == 1부 종족 == === 드워프 계열 === || [[파일:Karak Zorn_Total_War_Warhammer2.png|width=100]] || || 카락 조른 || 사우스랜드 남부 세계의 끝 산맥에 위치한 드워프 세력. 모티브는 과거에 건설되었으나 알 수 없는 이유로 드워프들과 연락이 끊긴 전설적인 드워프 성채 카락 조른이다. 모탈 엠파이어는 쏘렉의 추가로 등장하지 않는다. || [[파일:Greybeard's Prospectors_Total_War_Warhammer2.png|width=100]] || || 그레이비어드 광부 || 사우스랜드 코브라 패스에 위치한 드워프 세력. 창작된 세력으로 [[아라비]] 세력이 구현되지 않았기 때문에 아라비 지역에 배치된 브레토니아 세력처럼 대체제로 넣은 것으로 보인다. || [[파일:Spine of Sotek Dwarfs_Total_War_Warhammer2.png|width=100]] || || 소텍의 등뼈 || 러스트리아 [[소텍]]의 등뼈에 위치한 드워프 세력. 러스트리아에 위치한 유일한 드워프 진영. 창작된 세력이며 이름의 유래는 러스트리아의 거대한 산맥 소텍의 등뼈에서 따왔다. === 그린스킨 계열 === || [[파일:Arachnos_Total_War_Warhammer2.png|width=100]] || || 아라크노스 || 사우스랜드 남부 세계의 끝 산맥에 위치한 그린스킨 세력. 이름의 유래는 아라크노스 산으로 따온 것으로 보인다. 배불뚝이 [[그롬]] 플레이시 전쟁 상태로 시작한다. 반대로 [[엘사리온]]으로 플레이할 때는 아라크노스 산은 그롬이 점거하고 있으며, 아라크노스 팩션은 울쑤안에 토르 이브레스를 제외한 모든 이브레스 정착지를 점령하고 있다. || [[파일:Leaf-Cutterz Tribe_Total_War_Warhammer2.png|width=100]] || || 잎꾼 부족 || 2019년 4월 패치로 추가된 그린스킨 세력. 회오리의 눈 캠페인에서는 북부 붉은 강 지역에 위치한다. [[틱타크토]] 플레이시 초반 상대. || [[파일:Broken_Chainz_total_war_warhammer2.png|width=100]] || || 끊어진 사슬 || 2020년 12월 패치로 추가된 그린스킨 세력. 아리엘의 사자 진영 시작시 전쟁 상태이며, 나가로쓰 지역에 배치된 첫 그린스킨 세력. 원작에는 없는 창작 세력으로, 인게임에서는 다크 엘프로부터 탈출한 노예 오크들로 추측된다.[[https://totalwarwarhammer.gamepedia.com/Broken_Chainz#cite_note-1|햄탈워 위키]] === 뱀파이어 카운트 계열 === || [[파일:Necrarch Brotherhood_Total_War_Warhammer2.png|width=100]] || || 네크라르크 형제단 || 사우스랜드에서 등장하는 뱀파이어 카운트 세력. 이름의 유래는 뱀파이어 혈족인 네크라치 혈족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팩션 리더는 [[우소란]]으로 되어있지만, 일반 네크라르크 뱀파이어 군주로 나온다. 회오리의 눈 캠페인에서는 재의 강 바가르 지역을 점거하고 있다. 본래 카-사바르도 차지했지만 2020년 5월 패치로 카-사바르 지역에 [[임릭]]이 추가되면서 뺏겼다. || [[파일:Strygos Empire_Total_War_Warhammer2.png|width=100]] || || 스트리고스 제국 || 리용세의 르팡스 한정으로, 사우스랜드에서 적대 세력으로 등장한다. 본래 출시당시 빈 땅이었던 네헤카라 지역을 네크라르크랑 양분하고 있었으나, 2018년 1월 툼 킹 패치로 삭제당했다. 이후 2019년 12월 패치로 다시 추가되었지만 처음에 존재하였을 때랑은 좀 차이가 있는데, 회오리의 눈 캠페인에서는 리용세의 르팡스 플레이시 아라비 사막을 지배하는 적대 세력으로 등장히고, 그 외 다른 팩션으로 플레이하면 영원의 샘이라는 소규모 정착지 1개만 가진 소규모세력으로만 등장한다. 원작에서 스트리고스 제국은 배드랜드에 자리잡은 뱀파이어 세력이었으나 오크들의 공격으로 지도층은 살해당하고 유민들은 흩어지고 말았다. 스트리고스 뱀파이어들은 크게 몰락해서 현재의 스트리고이 뱀파이어가 되었고, 모우르카인 후손들은 [[스트리가니]]가 되었다. 배정당시 툼 킹 세력이 구현되지 않았기 때문에 넣은 것으로 보인다. 2020년 5월 패치로 팩션 리더가 우쇼란에서 카돈[* 우쇼란이 얼굴마담으로 내세웠던 인물. 스트리고스 제국을 침공한 그린스킨과의 전쟁에서 전사했다.]으로 변경되었다. === 브레토니아 계열 === || [[파일:Knights of Origo_Total_War_Warhammer2.png|width=100]] || || 오리고 기사단 || 사우스랜드 아라비 해안의 소규모 정착지 피루스 섬에 위치한 브레토니아 세력. 이름의 유래는 구판 독스 오브 워 용병이었던 오리고 기사단이다. || [[파일:Knights of the Flame_Total_War_Wahammer2.png|width=100]] || || 불꽃의 기사단 || 흑암의 아칸 플레이시 첫 상대로 등장하는 브레토니아 세력. 원작에서는 언급만 나온 기사단이었다. || [[파일:Thegan's Errantry_Total_War_Warhammer2.png|width=100]] || || 테간의 에런트리 || 사우스랜드 아라비 해안에 등장하는 브레토니아 세력. 불꽃의 기사단과 마찬가지로 원작에서는 언급만 나온 기사단이었다. 2019년 12월 패치로 리용세의 르팡스 플레이시 등장하지 않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 카오스 워리어 계열 === || [[파일:Servants to Chaos_Total_War_Warhammer2.png|width=100]] || || 카오스의 심복 || || [[파일:Puppets of Chaos_Total_War_Warhammer2.png|width=100]] || || 카오스의 꼭두각시 || || [[파일:Vessels of Chaos_Total_War_Warhammer2.png|width=100]] || || 카오스의 그릇 || || [[파일:Followers of Chaos_Total_War_Warhammer2.png|width=100]] || || 카오스의 추종자 || 회오리의 눈 캠페인에서 플레이어 세력의 의식을 방해하기 위해 출연하는 카오스 워리어 세력이다. || [[파일:Acolytes of the Keeper_total_war_warhammer2.png|width=100]] || || 수호의 복사 || 황혼의 자매 플레이에만 등장하는 카오스 워리어 세력. 등장시 황혼의 자매, 아벨로른 진영과 전쟁 상태가 된다. 원문은 'Acolytes of the Keeper'. === 비스트맨 계열 === || [[파일:Ripper-Horn Tribe_Total_War_Warhammer2.png|width=100]] || || 리퍼혼 부족 || || [[파일:Blooded-Axe Tribe_Total_War_Warhammer2.png|width=100]] || || 블러디 액스 부족 || || [[파일:Manblight Tribe_Total_War_Warhammer2.png|width=100]] || || 맨블라이트 부족 || || [[파일:Shadowgor Warherd_Total_War_Warhammer2.png|width=100]] || || 쉐도우고어 워허드 || || [[파일:Skrinderkin Warherd_Total_War_Warhammer2.png|width=100]] || || 스크린데르킨 워허드 || || [[파일:Stone-Horn Tribe_Total_War_Warhammer2.png|width=100]] || || 스톤 혼 부족 || 나가로스 서부에서 시작하는 비스트맨 하위 세력이다. 예외로 블러디 액스 부족과 맨블라이트 부족은 각가 사우스랜드 북부/남부에 위치한다. 주변 툼킹세력 초반이 부실한 관계로 의외로 네헤카라 서쪽이 폐허가 되는 경우가 가끔 존재한다. === 우드 엘프 계열 === || [[파일:Bowmen of Oreon_Total_War_Warhammer2.png|width=100]] || || 오레온의 궁수 || 사우스랜드 중부에 위치한 밀림의 심장을 점거한 세력. 본래는 구판 독스 오브 워의 용병 오레온의 궁수 설정에서 따웠다. || [[파일:Avengers of Allisara_total_war_warhammer2.png|width=100]] || || 알리사라의 복수자 || 2020년 12월 패치로 추가된 세력. 회오리의 눈 캠페인에서 불결한 쓰롯 플레이시에만 등장한다. 쓰롯 플레이시 나가로스 혹한의 길의 하위 영지인 대경기장을 점거하고 있다. 모티브는 아리엘의 자매 [[알리사라]]가 모라시의 흉계로 살해당하자 이에 대한 보복으로 그론드까지 쳐들어간 우드 엘프들의 설정에서 따온 것으로 보인다. || [[파일:Masque of Loec_total_war_warhammer2.png|width=100]] || || 로엑의 가면 || 2020년 12월 패치로 추가된 세력. 회오리의 눈 캠페인에서 불결한 쓰롯 플레이에서만 등장한다. 이름의 유래는 웃음의 엘프신 그림자춤꾼 로엑(Loec, The Shadow dancer). || [[파일:Greenbeard's Wargrove_total_war_warhammer2.png|width=100]] || || 녹색수염의 전쟁숲 || 2020년 12월 패치로 추가된 세력. 회오리의 눈 캠페인에서 불결한 쓰롯 플레이에서만 등장한다. 원문은 Greenbeard's Wargrove. === 노스카 계열 === || [[파일:Skeggi_Total_War_Warhammer2.png|width=100]] || || 스케기 || 러스트리아에 위치한 유일한 노스카 세력. 노스카인들에 세운 정착지 스케기에서 유래했다. 설정상 스케기는 제국력 888년 정착지를 세운 로스테릭슨의 딸 이름이었다고 한다. [[유칸나두자트]]가 등장하는 단편 소설에서는 헥소아틀로 향하는 유칸나두자트와 타르각스를 스케기 습격자들이 공격했다가 패퇴당하는 모습이 그려진다. || [[파일:Skaeling_Total_War_Warhammer.png|width=100]] || || 스케일링 || 1부에서도 출연했던 세력. 회오리의 눈 캠페인에서 알비온(알비온 섬 + 노스카 서부해안)을 점거하고 있다. || [[파일:Mung_Total_War_Warhammer2.png|width=100]] || || 뭉 || 나가로스와 접한 카오스 황무지에 위치한 세력. 아이언프로스트 빙하를 점거하고 있으며, 원작에서는 [[헝(Warhammer)]]의 일파였다. || [[파일:Aghol_Total_War_Warhammer2.png|width=100]] || || 야골 || 뭉과 동일하게 원작에서는 헝의 일파인 부족이다. 야골 황무지 영지를 점거하고 있다. || [[파일:Khrag_total_war_warhammer2.png|width=100]] || || 크라그 || 2021년 7월 패치로 추가. 옥시오틀 캠페인에서만 등장하는 노스카 하위세력. 옥시오틀 플레이시 초반 적대 세력으로 얼어붙은 도시를 제외한 데드우드 지역을 점거한 상태로 나온다. === 남부 왕국 계열[* 고유 병종이 없으며, 제국의 하위 로스터를 사용한다.] === || [[파일:New World Colonies_Total_War_Warhammer2.png|width=100]] || || 뉴 월드 콜로니 || 러스트리아에 위치한 남부 왕국 세력. 제국 로스터를 사용하며 고급 병종을 뽑지는 못한다. 원작에서는 [[틸레아]], [[에스탈리아]], 제국 등이 러스트리아 지역에 건설한 식민지들을 한데 묶은 것이다. 다만 틸레아인이 건설했다가 마즈다문디에게 파괴된 카다보 및 식민지 섬들(희생의 섬, 잘문트 섬)은 정착지로 구현되지는 않았다. 2019년 9월 패치로 세력 지도자가 헌츠맨 군주로 바뀌었다. 참고로 뉴 월드 콜로니의 깃발는 [[페르나도 피라초]]가 이끄는 길 잃은 군단에서 가져왔다. || [[파일:Sudenburg_Total_War_Warhammer2.png|width=100]] || || 서던부르크 || 사우스랜드 북부에 존재하는 세력. 설정상 아라비 십자군 전쟁 이후 제국인들이 아라비 지역에 세워진 도시이다. 틀라쿠아, 에신 클랜 시작시 전쟁 상태로 시작한다. 서던부르크는 독일어로 남쪽 땅이라는 뜻이다. [[파일:회오리서던부르크.jpg]] 다만, 인게임 내에서는 남부 왕국 계열로 분류되어 있다. === 새비지 오크 계열[* 그린스킨 병종 중 새비지 오크 병종만 뽑는 세력이다.] === || [[파일:Top Knotz_Total_War_Warhammer.png|width=100]] || || 상투머리 || 회오리의 눈 캠페인에서 배드랜드 남부가 일부 구현되면서 등장한 세력. 1편에서도 등장했으며. 세트라 플레이시 초반 상대이다. 죽음의 땅 소금 평원과 남부 배드랜드[* 정착지가 4개에서 2개로 축소되었다.]를 점거하고 있다. || [[파일:Blue Vipers_Total_War_Warhammer2.png|width=100]] || || 푸른 독사 || 유일하게 러스트리아에 위치한 그린스킨 세력이다. 다이어핀, 마르쿠스 플레이시 초반에 상대하는 세력. == 2부 종족 == === 하이 엘프 계열 === || [[파일:Saphery_Total_War_Warhammer2.png|width=100]] || || 사페리 || 울쑤안 동쪽 내해와 접한 하이 엘프 세력. 호에스의 백색탑이 위치해 있으며, 설정상 뛰어난 마법사들이 배출되는 곳으로 알려져 있다. || [[파일:Ellyrion_Total_War_Warhammer2.png|width=100]] || || 엘라리온 || 울쑤안 서쪽 내해와 접한 하이 엘프 세력. 설정상 뛰어난 명마들이 많이 산출되는 곳이라고 한다. 티리온의 군마인 말한디르가 이곳 출신이다. || [[파일:Caledor_Total_War_Warhammer2.png|width=100]] || || 칼레도르 || 울쑤안 서남쪽에 위치한 하이 엘프 세력. 녹틸러스 백작(드레드플릿) 플레이시 전쟁 상태로 시작한다. 설정상 하이 엘프 스페셜 캐릭터인 [[임릭]]이 이곳 출신이며, 하이 엘프의 기병인 드래곤 프린스가 이 지역의 병종이다. 다크 엘프들이 드래곤의 알들을 훔쳐가고 드래곤들이 동면에 들어가면서 드래곤 프린스들도 용을 타지 못하고 이실미르 군마를 타고 있는 실정. 임릭이 칼레도르의 기사단이라는 별개 세력으로 나옴에 따라 소규모 세력으로 남았다. 칼레도르 기사단 플레이로 6개의 정착지를 점거하면 연방하는 선택지로 연방시킬 수 있다. || [[파일:Cothique_Total_War_Warhammer2.png|width=100]] || || 코티크 || 이브레스와 크레이스 사이에 위치한 하이 엘프 세력. 티리온, 테클리스 형제가 태어난 곳이기도 하다. || [[파일:Chrace_Total_WAR_Warhammer2.png|width=100]] || || 크레이스 || 울쑤안 북부에 위치한 하이 엘프 세력. 이 지역의 유명한 병종으로 크레이스의 백사자, 화이트라이언들[* 다크 엘프 암살자들로부터 크레이스의 나무꾼들이 피닉스 킹을 구하면서 유래하였다.]이 있다. 하이 엘프 네임드인 [[코힐]]의 고향. || [[파일:Tiranoc_Total_War_Warhammer2.png|width=100]] || || 티라녹 || 나가리드와 칼레도르 사이에 위치한 하이 엘프 세력. 티라녹 전차의 본고장이다. 이곳 출신의 네임드로 티라녹의 대공이자 티리온의 종자 [[엘디라]]가 있다. || [[파일:Fortress of Dawn_Total_War_Warhammer2.png|width=100]] || || 여명의 요새 || 회오리의 눈 캠페인에서만 등장하는 세력. 원작에서는 사우스랜드 남단의 섬에 설치된 하이 엘프의 요새였으나, 햄탈워에서는 러스트리아 - 사우스랜드 사이에 위치하게 되었다. 하이 엘프 트레일러에서 퀵 헤드테이커가 이끄는 스케이븐의 공격을 받은 테클리스가 로세른으로 텔레포트하는테, 형 티리온에게 여명의 요새가 함락되었다고 언급한다. || [[파일:Tor Elasor_Total_War_Warhamemr2.png|width=100]] || || 토르 엘라소르 || 회오리의 눈 캠페인에서만 등장하는 세력. 원작에서는 [[인드]] 남단에 위치한 하이 엘프의 식민지였다. 햄탈워 2편에서는 축척을 왜곡해서 사우스랜드 동남부 지역에 위치한 군도로 등장하게 되었다. 말루스 다크블레이드(해그 그리프)의 초반 상대이기도 하다. || [[파일:Citadel of Dusk_Total_War_Warhammer2.png|width=100]] || || 황혼의 성채 || 회오리의 눈 캠페인에서만 등장하는 세력. 러스트리아의 끝 지역을 점거하고 있다. 원작 설정에서는 하이 엘프들이 러스트리아 하단에 세운 요새였다. === 다크 엘프 계열 === || [[파일:Ghrond_Total_War_Warhammer2.png|width=100]] || || 그론드 || 헬레브론(하르 가네스) 플레이시 초반 상대. 원작에서는 다크 엘프 최강의 도시국가들(나가론드, 하르 가네스, 해그 그래프, 그론드, 카론드 카르, 클라 카론드) 중 하나로 모라시의 근거지였다. 문양에는 메두사가 그려져 있는데, 이는 메두사들이 본래 그론드의 여마법사들이었기 때문이다. || [[파일:Deadwood Sentinels_Total_War_Warhammer2.png|width=100]] || || 데드우드 센티넬 || 나가로스 동북부에 배정된 다크 엘프 세력. 노스카 하위세력인 야골과 접하고 있다. 2021년 7월 패치로 추가된 파후악스의 유령 세력 플레이 한정으로 데드우드 센티넬 세력이 삭제되고 대신 노스카 하위세력인 '크라그(Khrag)'가 등장하도록 변경되었다. || [[파일:Drackla Coven_Total_War_Warhammer2.png|width=100]] || || 드락클라 코벤 || 회오리의 눈 캠페인에서만 등장하는 다크 엘프 세력. 나가로스 서부에 위치한다. || [[파일:Cult of Excess_Total_War_Warhammer2.png|width=100]] || || 무절제의 교단 || 티리온(로세른) 플레이에서만 등장한다. 하이 엘프 사회에서 암약하고 있는 다크 엘프 및 카오스 교단이 모티브로 추정된다. || [[파일:Blood Hall Coven_Total_War_Warhammer2.png|width=100]] || || 블러드 홀 코벤 || 회오리의 눈 캠페인에서만 등장하는 다크 엘프 세력. 러스트리아 북서부 용의 군도를 점거한 상태로 등장한다. || [[파일:Scourge of Khaine_Total_War_Warhammer2.png|width=100]] || || 스커지 오브 케인 || 다크 엘프 케인 교단이 모티브로 추정되는 세력. 울쑤안 나가리드 왕국 지역을 점거하고 있다. || [[파일:Ss'ildra Tor_Total_War_Warhammer2.png|width=100]] || || 실드라 토르 || 마즈다문디와 모라시 사이에 위치한 다크 엘프 세력. || [[파일:Karond Kar_Total_War_Warhammer2.png|width=100]] || || 카론드 카르 || 회오리의 눈 캠페인에서 알라스 아나르의 초반 상대로 등장하는 다크 엘프 세력. 원작에서는 다크 엘프 최강의 도시국가들 중 하나로 [[로키르 펠하트]]의 거점이며, 가장 유명한 비스트마스터인 [[비스트로드 라카스]]의 출신지이기도 하다.[* 햄탈워에서도 이를 반영했는데, 로키르 펠하트(축복받은 공포 진영)와 비스트로드 라카스(일천아귀 진영)는 특정 조건을 완료하면 카론드 카르와 연방하는 이벤트가 있다.] || [[파일:Clar Karond_Total_War_Warhammer2.png|width=100]] || || 클라르 카론드 || 다크 엘프 최강의 도시국가들 중 하나로, 다크 엘프 병종 쉐이드들의 고향 도시라는 설정이 있다. || [[파일:The Forgebound_Total_War_Warhammer2.png|width=100]] || || 포지바운드 || 트레치 크레이븐테일(릭투스 클랜) 플레이시 초반 상대이다. === 리자드맨 계열 === || [[파일:Southern Sentinels_Total_War_Warhammer2.png|width=100]] || || 남부 파수병 || 회오리의 눈 캠페인에서만 등장하는 세력. 스크롤크(페스틸런스 클랜), 로키르 펠하트(축북받은 공포) 플레이시 초반 상대로 등장한다. || [[파일:Xlanhuapec_Total_War_Warhammer2.png|width=100]] || || 잘란후아펙 || 회오리의 눈 캠페인에서만 등장하는 세력. 안개의 도시라는 이명을 가진 리자드맨의 사원도시. 템플 가드인 [[차칵스]]가 이곳에서 활동하고 있다. 2019년 4월 패치로 모탈 엠파이어에서 소텍 교단이 잘란후아펙에서 시작하면서 모탈캠에서는 삭제된 상태다. || [[파일:Defenders_of_the_Great_Plan_Total_War_Warhammer2.png|width=100]] || || 위대한 계획의 수호자 || 나카이(밀림의 혼) 진영의 봉신 세력이다. 자체적으로는 군대를 뽑을 수 없고, 나카이의 고유 의례를 통해 군단이 스폰되는 방식이다. || [[파일:Children of the Old Ones_Total_War_Warhammer2.png|width=100]] || || 올드 원의 자식들 || 2019년 9월 패치로 추가된 리자드맨 세력. 마르쿠스 불프하르트(헌츠마샬의 원정대) 플레이에서만 등장하는 리자드맨 세력이다. 적대 수치가 높아질 때마다 군단이 스폰되어 마르쿠스의 영지를 공격한다. 또한 어떠한 외교도 불가능하다. || [[파일:Sentinels of Xeti_Total_War_Warhammer2.png|width=100]] || || 제티의 파수병 반란군 || 러스트리아 서남부에 배치된 리자드맨 세력. 칼리다(리바라스 궁정) 플레이시 초반 상대이다. 2019년 4월 패치로 영역이 페스터 클랜에게 뺏기면서 크게 줄어들었다. 원래 세력 명칭은 제티의 파수병(Sentinels of Xeti)인데 한글판에서는 제티의 파수병 반란군으로 오역되었다. || [[파일:Zlatlan_Total_War_Warhammer2.png|width=100]] || || 즐라틀란 || 회오리의 눈 캠페인에서만 등장하는 세력. 원작에서는 거대한 재앙 이후 사우스랜드에서 유일하게 파괴되지 않은 리자드맨의 사원도시였다. || [[파일:Tlaxtlan_Total_War_Warhammer2.png|width=100]] || || 틀락스틀란 || 마르쿠스 불프하르트(헌츠마샬의 원정대)와 전쟁 상태로 시작하는 리자드맨 세력. 설정상 달의 도시라는 이명을 가지고 있다. 거대한 재앙 이후에도 살아남은 러스트리아의 사원도시 중 하나. 리자드맨 전용 랜드마크인 월식의 사원을 건설할 수 있다. || [[파일:Wardens_of_the_Living_Pools_total_war_warhammer2.png|width=100]] || || 살아있는 웅덩이의 감시자 || 2020년 12월 패치로 추가되는 세력. 러스트리아의 마법 숲 지역을 점거하고 있다. === 스케이븐 계열 === || [[파일:Clan Gnaw_Total_War_Warhamemr2.png|width=100]] || || 그나우 클랜 || 마즈다문디(헥소아틀) 플레이시 초반 상대로 등장하는 스케이븐 세력이다. || [[파일:Clan Mordkin_Total_War_Warhammer2.png|width=100]] || || 모르드킨 클랜 || 사우스랜드에 위치한 스케이븐 세력. 원작에서는 나가쉬의 언데드들과 싸우면서 해골처럼 흰칠을 하거나 염색을 한다는 설정이 붙어있었지만 인게임에서는 반영되지 않았다. [[크록-가르]] 플레이시 초반에 상대하는 세력이다. || [[파일:Clan Septik_Total_War_Warhammer2.png|width=100]] || || 셉틱 클랜 || 나가로스에 배치된 스케이븐 세력. 말레키스 플레이시 초반 상대로 등장한다. || [[파일:Clan Spittel_Total_War_Warhammer2.png|width=100]] || || 스피텔 클랜 || 러스트리아 남부에 배치되어 있다. 원작에서는 리자드맨 가죽을 갑옷에다 뒤집에쓴 스케이븐 클랜이라는 설정이 있었으나, 인게임으로 반영되지만 않았다. || [[파일:Clan Mange_Total_War_Warhammer2.png|width=100]] || || 맨지 클랜 || 2019년 4월 패치로 추가된 스케이븐 세력. 러스트리아 서쪽 지역에 위치한다. 과거에 스카이레 클랜이 있었던 자리를 대신하여 등장하는 팩션이다. 스카이레 클랜은 이킷 클로가 추가되면서 화산 군도로 자리를 옮겼다. || [[파일:Clan Fester_Total_War_Warhammer2.png|width=100]] || || 페스터 클랜 || 2019년 4월 패치로 등장한 스케이븐 세력. 테헨하우인(소텍 교단) 플레이시 초반 상대로 등장한다. [[버민타이드]] 시리즈에서 우버스라이크 5인방과 싸우는 스케이븐 세력이 이 녀석들이다. || [[파일:Clan Gritus_total_war_warhammer2.png|width=100]] || || 그리투스 클랜 || 2020년 12월 패치로 추가된 세력. 과거 몰더 클랜이 있던 자리를 대신하는 팩션이다. 몰더 클랜은 플레이어블 팩션이 되면서 사우스랜드 남부에서 나가로스 북부로 옮겨진 자리를 대신 땜방한 팩션. === 툼 킹 계열 === || [[파일:Numas_Total_War_Warhammer2.png|width=100]] || || 누마스 || 원작에서는 풍뎅이 도시라는 이명을 가진 툼 킹의 도시이다. 저주받은 왕자 [[아포파스]], 툼 프린스 [[투탄카누트]]가 이곳 출신이다. || [[파일:Dune Kingdoms_Total_War_Warhammer2.png|width=100]] || || 듄 왕국 || 사우스랜드 움직이는 모래 지역을 점거하고 있는 툼 킹 세력. 회오리의 눈 캠페인에서 [[임릭]] 플레이시 전쟁 상태로 시작한다. || [[파일:Rakaph Dynasty_Total_War_Warhamemr2.png|width=100]] || || 라카프 왕조 || 원작에서 흑암의 아칸 근거지였던 아칸의 검은 탑을 점거한 툼 킹 세력. 이름은 설정상 존재하는 툼 킹의 군주 라카프 2세에서 따온 것으로 보인다. || [[파일:The Sentinels_Total_War_Warhammer2.png|width=100]] || || 센티넬 || 나가쉬의 검은 피라미드를 점거한 툼 킹 세력이라는 설정이 붙은 창작 세력. 뱀파이어 카운트 템플레호프 세력과 마찬가지로 선전포고와 지불만 가능하다. === 뱀파이어 코스트 계열 === || [[파일:Vampire Coast Mutineers_Total_War_Warhammer2.png|width=100]] || || 뱀파이어 코스트 변절자 || [[루터 하콘]](각성자)에게 반기를 든 뱀파이어 코스트 해적들이라는 설정을 가진 창작 세력이다. === 변절 육군 계열 === [[토탈 워: 워해머 2/변절 육군|변절 육군]] 항목 참조. == 삭제된 세력 == === 남부 왕국 === || [[파일:Wh2_human.png|width=100]] || || 사르토사의 해적 || 이름 그대로 사르토사에 위치했던 남부 왕국의 하위 세력. 원작에 있던 [[사르토사]]의 해적들이 모티브다. 2018년 11월 패치로 뱀파이어 코스트의 전설군주 [[아라네사 솔츠파이트]]가 추가되면서 남부 왕국 세력에서 뱀파이어 코스트 세력으로 바뀌었다. === 뱀파이어 카운트 === || [[파일:Vampire_coast_crest_old_total_war_warhammer2.png|width=100]] || || 뱀파이어 코스트 || 러스트리아 흡혈귀 해안에 위치했던 세력. 뱀파이어 카운트의 하위 세력이었다. 2018년 11월 [[뱀파이어 코스트]]가 정규세력으로 출연하면서 삭제. == 관련 문서 == * [[토탈 워: 워해머/소규모 세력]] * [[토탈 워: 워해머 2/변절 육군]] * [[토탈 워: 워해머 2/소규모 세력/필멸의 제국들]] * [[토탈 워: 워해머/반란군 및 기타 세력]] == 출처 == [[https://www.honga.net/totalwar/warhammer2/index.php|로얄 밀리터리 아카데미]] [[https://totalwarwarhammer.gamepedia.com/Factions|토탈 워 워해머 위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