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JRA 현창마)] [include(틀:드림 호스 2000)]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172px-Tokino_minoru.jpg|width=100%]]}}} || ||<-2> 이름 || トキノミノル[br]Tokino Minoru || ||<-2> 출생 || [[1948년]] [[5월 2일]] || ||<-2> 죽음 || [[1951년]] [[6월 20일]] (3세)[* 당시 기준으로 4세.] || ||<-2> 성별 || 수컷 || ||<-2> 털색 || 갈색 (鹿毛,카게) || ||<-2> 아비 || 세프트(Theft) || ||<-2> 어미 || 타이런츠 퀸 2[br](第弐タイランツクヰーン) || ||<-2> 외조부 || 솔더니스(Soldennis) || ||<-2> 생산자 || 혼키리 목장 || ||<-2> 마주 || [[나가타 마사이치]] || ||<-2> 조교사 || 타나카 와이치로 (도쿄) || ||<-2> 성적 || '''10전 10승''' (10-0-0-0) || ||<-2> 총상금 || 425만 7150엔 || ||<|2> 주요[br]우승 || 클래식 || [[사츠키상]](1951)[br][[일본 더비]](1951) || || 중상 || [[아사히배 퓨처리티 스테이크스|아사히배 3세 스테이크스]](1950) || ||<-2> 상세 정보 || [[https://db.netkeiba.com/horse/000a01029a/|[[파일:netkeiba_logo.png|width=85]]]] | [[https://www.jbis.jp/horse/0000000465/|JBIS]] || [목차] [clearfix] == 개요 == >'''그 시절을 알고 있는 경마인들은 세월의 풍파 속에 줄어들었지만, 여전히 많은 이들은 '토키노 미노루야 말로 최강의 경주마'라 기억한다.''' - 칼럼 '환상의 말' 中 1950년대 활약한 일본의 전설적인 경주마. 10전 10승 무패의 성적을 거두고[* 그중 7승이 코스 레코드였다.] 클래식 2관을 달성하였으나 [[일본 더비|더비]] 제패 17일 후 갑작스럽게 죽은 '환상의 말'이다. == 혈통 == || 1대 || 2대 || 3대 || ||<|4>세프트[br]{{{-2 Theft[br]1932}}} [[아일랜드|[[파일:아일랜드 국기.svg|width=25px]]]]||<|2>테트라테마[br]{{{-2 Tetratema[br]1917}}}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더 테트라크'''[br]{{{-2 The Tetrarch}}}|| ||스카치 기프트[br]{{{-2 Scotch Gift}}}|| ||<|2>볼류스[br]{{{-2 Voleuse[br]1920}}}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볼타[br]{{{-2 Volta}}}|| ||선 워십[br]{{{-2 Sun Worship}}}|| ||<|4>타이런츠 퀸 2[br]{{{-2 第弐タイランツクヰーン[br]1934}}}||<|2>솔데니스[br]{{{-2 Soldennis[br]1918}}}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트레데니스[br]{{{-2 Tredennis}}}|| ||솔리제나[br]{{{-2 Soligena}}}|| ||<|2>타이런츠 퀸[br]{{{-2 Tyrant's Queen[br]1928}}}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br]||팔라리스[br]{{{-2 Phalaris}}}|| ||실버 퀸[br]{{{-2 Silver Queen}}}|| ||<-3>* 더 테트라크 '''3×4''' 18.75%[br]* 시에라, 세인포인 5x5 6.25%[br]* 에어셔 5x5 6.25% || 혈통상으로 [[증조할아버지]]인 더 테트라크(The Tetrarch)가 3×4로 배합되었는데, 토키노 미노루의 성공 이후로 일본에서 3x4 배합을 기적의 혈량이라 부르며 인기를 끌게 되었다.[* 정확히는 유럽에서 먼저 3×4 이론이 만들어졌고 토키노 미노루의 성공으로 일본에서도 퍼지게 된 것이다.] 전형제 누나 달링(ダーリング, 1947)의 모계 3대 후손으로 [[그린 그래스]]가 있다. 외조모 타이런츠 퀸은 [[코이와이 농장]]에서 수입한 번식 암말로 [[맥스 뷰티]]의 모계 선조이기도 하다. == 생애 == === 데뷔 이전 === [[홋카이도]] 미츠이시초[* 현 [[신히다카초]].]의 목장에서 탄생했다. 당시 [[아명]]은 [[퍼펙트]]. 아비인 세프트는 1947년~1951년 리딩 사이어였으나 그당시엔 비주류였던 단거리 혈통이라는 인식이 있어서 한동안 구매자가 나오지 않았다. 그러다 조교사 다나카 와이치로의 설득으로 영화 제작사 다이에이의 사장 [[나가타 마사이치]]가 100만엔에 구입했다. 하지만 나가타는 퍼펙트에게 그다지 관심을 가지지 않았고 경주에도 아명인 퍼펙트 그대로 출전하였다. === 1950년 === 퍼펙트는 사나운 성질 때문에 데뷔전 출전이 거부되었지만 쿠리바야시 토모지[* 당시 최강 암말이라 불렸던 [[쿠리후지]]의 마주였다. 토키노 미노루가 10전 10승으로 11전 11승의 쿠리후지 다음 가는 업적을 세웠음을 생각하면 의미심장한 인연.]의 중재로 출주가 다시 허락되었다. 아니나 다를까 출발 전에 난동을 부려 기수인 이와시타 미츠마사를 떨어트리기도 했지만 레이스가 시작되자 엄청난 속도로 달려 2위 말을 8마신 차이로 제치고 잔디 800미터에서 일본 레코드를 달성했다. 퍼펙트의 우승 소식을 들은 나가타는 처음엔 퍼펙트를 완전히 잊고 있어서 "뭔데 그건?"이라고 되물었지만, 곧 크게 기뻐하면서 퍼펙트의 이름을 다이에이의 초대 사장인 키쿠치 히로시의 관명인 토키노에 '키쿠치가 생전에 이루지 못했던 꿈이 결실을 맺길 바란다'는 뜻의 미노루를 붙인 토키노 미노루로 바꿨다. 이후 토키노 미노루는 연전연승을 거듭하며 [[아사히배 퓨처리티 스테이크스|아사히배 3세 스테이크스]]에서도 2위와 4마신 차이로 우승했다. === 1951년 === 토키노 미노루의 활약은 경마를 잘 모르던 사람들에게도 알려져 이듬해 [[사츠키상]]에 출전했을 때는 역대 사츠키상 최고의 단승 지지율인 73.3%를 기록[* 2위 기록은 2005년 사츠키상에서 63.0%를 기록한 [[딥 임팩트(말)|딥 임팩트]].]했고, 토키노 미노루는 기대에 부응하듯 기존 레코드를 6초 1이나 단축시킨 2분 3초 0을 기록하며 우승했다. 하지만 사츠키상에서 돌아온 토키노 미노루에게서 보행 이상이 발견되었고, 곧 오른쪽 앞다리 발굽에 금이 간 것으로 판명되었다. 태어났을 때부터 오른쪽 앞다리가 약해서 그곳을 감싸면서 달리는 버릇이 있었던게 터지고 만것이다. 게다가 왼쪽 앞다리마저 붓기까지 해서 나가타는 더비([[도쿄 우준]]) 출주를 포기할까 고민했으나, 다행히 대회 전날부터 상태가 회복되어 출주할 수 있게 되었다. 그래도 혹시 몰라서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해 발굽 사이에 펠트를 끼워 넣었다. 더비 당일 도쿄 경마장에는 7만명이 넘는 관중들이 왔다고 전해지며, 일본 경마 역사상 최초로 내마장이 관전용으로 개방되었다.[* 정식으로 표를 사고 들어온 유료 입장객 기준으로는 60505명이지만, 관전용으로 내마장까지 개방해야 했을 정도로 정원 한계를 아득히 넘어선 상황이어서 정확한 집계가 불가능했다.] 토키노 미노루는 부상 때문에 지지율이 조금 떨어지긴 했어도, 여전히 단승 50.5%라는 압도적인 인기 1위였다. 레이스 출발에서 살짝 삐끗하고 이와시타도 부상을 두려워하여 1코너 시점까지는 마군에 갇혀 후방에 있었으나, 마군이 열린 틈을 노려 3코너 시점에서 최전방의 오리온을 제치고 선두에 선 뒤 2등인 잇세이와 1.5마신 차이로 가볍게 1착, 기존 기록을 0.3초 경신하며 더비를 제패했다. 경주 직후 이 '신마'를 보겠다며 관객들이 쇄도하여 목책이 파손되기도 했고, 염원하던 더비 제패를 이룬 나가타도 아이처럼 기뻐하며 관객들에게 모자를 흔들었으며, 결국 기념 촬영은 관객들에게 둘러싸인 채 진행되었다. 나가타는 기자들에게 토키노 미노루가 [[킷카상]]까지 제패하여 삼관마가 된다면 일본 경주마 최초로 미국 원정을 가겠다고 발표했다.[* [[나가타 마사이치]] 문서를 보면 알 수 있지만, 나가타는 평소 허풍과 과장이 심한 언행으로 '나가타 나팔'이라는 별명으로 유명했다. 기자들도 그의 말을 곧이곧대로 적었다가 망신을 당한 전적이 많았기에, 그의 말은 절반 정도만 사실로 간주하고 기사에 실었을 정도였다. 그러나 당시만큼은 나가타의 말에 그 누구도 반박하지 않았을 정도로 토키노 미노루의 인기는 대단했다.] === 급작스러운 죽음 === [[일본 더비]] 5일 후, 토키노 미노루가 기운이 없다는 보고가 올라왔지만 대수롭지 않게 여기고 조교를 잠깐 쉬는 정도로 넘어갔다. 그로부터 일주일 후 토키노 미노루의 눈이 붉어진 것이 확인되고 다음날 수의사의 진찰 결과 [[파상풍]]에 걸린 것으로 밝혀졌다.[* 1950년대 당시까지만 해도 파상풍은 굉장히 치료가 어려운 질병이었다. 말은 고사하고 인간용 백신을 구하는 것도 하늘에 별 따기였던 시절.] 현재까지도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다.[* 개중에는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umamusme&no=1744333|이전에 발굽 갈라짐 부상을 당했을 때 해당 부위로 파상풍 균이 침입]]했을 거란 추측도 있다.] 근처 대학병원에서도 파상풍 혈청이 없어서 나가타가 직접 [[고다이라]]에 혈청을 찾으러 가기도 했다. 나가타는 "경주마로써 다시 일어설 수 없더라도 상관 없으니 제발 목숨만은 살려달라"며 거액의 치료비를 아낌없이 지원했고, 필사적인 치료로 잠시동안은 상태가 나아지나 했지만.. 결국 [[일본 더비]] 제패 17일만인 6월 20일에 토키노 미노루는 소식을 듣고 급하게 찾아온 이와시타의 곁에서 조용히 숨을 거뒀다. 토키노 미노루의 죽음은 큰 화제가 되어 여러 신문에 보도가 되었고, 이중 [[마이니치 신문]]에서 그를 '환상의 말'이라 칭한 것이 지금까지도 기억되고 있다. === 죽음 이후 === 토키노 미노루의 파상풍 진료 일지는 소중한 연구 자료로 활용되었고, 경주마에 의무적으로 파상풍 백신을 접종하도록 규정된 후 더 이상 파상풍으로 경주마가 죽는 사례는 발생하지 않았다. 어떤 의미에선 그저 소모품에 불과했던 경주마에 대한 인식을 재고하고 나아가 경마가 단순한 도박판이 아닌 사람의 마음을 뜨겁게 하는 스포츠로 자리잡을 수 있게 한 기틀을 마련했다고 할 수 있는 경주마. 나가타는 토키노 미노루의 죽음에 대해 책임감을 느끼고 그를 비판하는 여론에 반박하지 않았으며, 다시는 그가 소유한 말에 [[영구 결번/스포츠|토키노 관명을 붙이지 않았다]]. 1955년 나가타가 경영하던 [[다이에이|다이에이 영화사]]에서 토키노 미노루를 소재로 한 영화 '''환상의 말'''을 제작하였다. 1966년에는 도쿄 경마장에 토키노 미노루의 동상이 건립. 죽음으로 인해 뛸 수 없었던 마지막 삼관 킷카상이 열리는 교토 경마장 방향을 바라보도록 설치되었다. 1969년부터 [[교도통신배]]에 토키노 미노루 기념이라는 부제가 붙었다. 현재 중앙경마에서 마명관경주[* 경주마의 이름을 딴 경주.]가 열리는 명마들 중에 삼관마가 아닌 것은 토키노 미노루가 유일하다.[* 세인트라이트 기념, 신잔 기념, 야요이상 딥 임팩트 기념, 교도통신배 토키노 미노루 기념. 지방으로 가면 카사마츠의 오구리 캡 기념 등 제법 있다.] 원래 중앙경마의 마명관경주는 사기업 등의 홍보가 될 수 있으므로 관명이 들어간 이름은 붙이지 않는다. 그러나 토키노는 원래 이 말의 마주가 쓰던 관명이 아니었고, 마주가 토키노라는 관명을 붙인 말은 토키노 미노루가 유일했다. 기업 등의 이름에서 따온 관명도 아니라 홍보가 될 여지도 없어서 JRA는 "토키노"를 관명으로 생각하지 않았다. 1984년 [[JRA 경마의 전당]] 현창마 원년 멤버로 선정되었다. == 여담 == * 이당시 중앙 경마는 지방 경마에도 흥행에 밀려 [[일본 더비|더비]] 개최마저 불안한 상황이었다.[* 이유는 크게 두가지가 있는데 첫번째는 [[제2차 세계대전]]의 후유증으로 많은 경주마들이 짐말로 징발되었다가 복귀가 불가능할 정도로 혹사를 당한 탓에 경주마로 쓸 말이 턱없이 부족했었고, 두번째는 당시 중앙 경마는 농림성에서 직접 주관하는 국영경마여서 다른 도박에 비해 공제율이 매우 높았기 때문이다. 이러한 현상은 1954년 [[일본중앙경마회]]가 설립되면서 점차 나아지기 시작했다.] 하지만 토키노 미노루의 활약으로 당시로서는 상상할 수 없었던 흥행을 기록하면서 한숨 돌리게 되었다. 어쩌면 [[하이세이코]] 이전에 있었던 최초의 스타 호스였던 셈. 경마 평론가 [[오오카와 케이지로]]는 이를 보고 '이제야 경마가 모두의 것이 되었구나'라고 감탄했다고 한다. *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의 등장인물 [[하야카와 타즈나]]는 여기서 모티브를 얻은 것으로 추정된다. * 토키노 미노루 마주의 승부복은 현재는 샤다이 산하 그린 팜의 승부복으로 사용중이다. 이 그린 팜의 소유마 중 유일한 G1마가 바로 [[퀸 스푸만테]]. * 토키노 미노루의 대표적인 피해마는 잇세이와 미츠하타. 이 두 말의 전적에서 토키노 미노루와 붙은 경기를 제외하고 보면 잇세이는 2000m 이하 전승에 미츠하타는 2400m 이상 전승을 기록하고 있어, 토키노 미노루가 없었다면 당대를 완벽하게 양분한 명마 콤비였을 상황이었다. 토키노 미노루와의 상대전적으로 보면 잇세이 5전 5패(2착만 5회)에 미츠하타 4전 4패인데, 그나마 토키노 미노루와 가장 근접했던 잇세이마저도 토키노 미노루의 조교 상태가 100%가 아니었던 도쿄 우준 당시 1.5마신 차이가 최소 착차라 말 그대로 영혼까지 털렸다. == 경주 성적 == {{{#!wiki style="word-break:keep-all;" ||경주일 || 경마장 || 경기명 || 트랙 || 인기 || 착순 || 기수 || 1착마[br](2착마) || ||<-8> 1950년 {{{-1 (3세, 현 2세)}}} || || 7.23 || [[하코다테 경마장|하코다테]] || 신마 || 잔디 800m || 2 || '''1착'''[*레코드] ||<|6> 이와시타 미츠마사 || (매터혼) || || 8.23 || [[삿포로 경마장|삿포로]] || 오픈 || 더트 1000m || 1 || '''1착''' || (후미 와카) || || 9.3 || 삿포로 || 삿포로 스테이크스 || 더트 1200m || 2 || '''1착'''[*레코드] || (트럭 오)[* 1951년 [[킷카상]], 1952년 가을 [[천황상]] 우승마.] || || 10.1 || [[나카야마 경마장|나카야마]] || 오픈 || 잔디 1000m || 1 || '''1착'''[*레코드] || (샤다이 블루스) || || 10.15 || 나카야마 || 우승 || 잔디 1100m || 1 || '''1착'''[*레코드] || (해피 우네비) || || 12.10 || 나카야마 || [[아사히배 퓨처리티 스테이크스|아사히배 3세 스테이크스]] || 잔디 1100m || 1 || '''1착'''' || (잇세이)[* 1951년 제1회 [[야스다 기념|야스다상]] 우승마다.] || ||<-8> 1951년 {{{-1 (4세, 현 3세)}}} || || 4.1 || 나카야마 || 선발 핸디캡 || 잔디 1800m || 1 || '''1착'''[*레코드] ||<|4> 이와시타 미츠마사 || (잇세이) || || 4.28 || [[도쿄 경마장|도쿄]] || 오픈 || 잔디 1800m || 1 || '''1착''' || (잇세이) || || 5.13 || 나카야마 || '''[[사츠키상]]''' || 잔디 2000m || 1 || '''1착'''[*레코드] || (잇세이) || || 6.3 || 도쿄 || '''[[도쿄 우준]]''' || 잔디 2400m || 1 || '''1착''''[*레코드] || (잇세이) ||}}} [include(틀:사츠키상)] [include(틀:일본 더비)] ---- [include(틀:아사히배 퓨처리티 스테이크스)] [[분류:경주마/일본 생산]][[분류:경주마/일본 조교]][[분류:1948년 출생/경주마]][[분류:1951년 죽은 동물]][[분류:현역 중 죽은 경주마]][[분류:헤로드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