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토머스 채터턴}}}[br]Thomas Chatterton'''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Thomas Chatterton.jpg|width=100%]]}}} || ||<|2> '''필명''' ||토머스 로울리[br]Thomas Rowley|| ||데키무스[br]Decimus|| ||<|2> '''출생''' ||[[1752년]] [[11월 20일]]|| ||[[영국]] [[잉글랜드]] [[브리스틀]]|| ||<|2> '''사망''' ||[[1770년]] [[8월 24일]] (향년 17세)|| ||[[영국]] [[잉글랜드]] 홀본|| || '''직업''' ||시인|| [목차] [clearfix] == 개요 == [[영국]]의 최연소 [[시인(문학)|시인]]. == 생애 == 1752년 잉글랜드 브리스틀에서 태어났으며, [[음악가]]였던 그의 아버지[* 아들과 [[동명이인]]이었다.]는 채터턴이 태어나기 3달 전에 세상을 떠났다. 채터턴은 어려서부터 친구들과 잘 어울리지 않아서 주변 사람들로부터 [[지진아]] 취급을 받았고, 하루의 대부분을 [[다락방]]에서 보냈다. 그러던 어느 날, 돌아가신 아버지가 간직하던 [[악보]]를 우연히 보게 된 채터턴은 악보에 아름답게 쓰여있는 [[프랑스어]] [[대문자]]에 매료되었고, 그 후로 뛰어난 지능을 발휘하기 시작하였다. 채터턴은 자선 학교에 입학하여 또래 아이들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읽기, 쓰기, 산수 등을 깨우쳤고, 10살의 나이에 '마지막 공현축일에(On the last epiphany)라는 시를 썼으며, 11살에는 <브리스틀 저널(Bristol Journal)>이라는 신문에 글을 기고하기도 하였다. 이후 그는 자신이 지은 시를 [[15세기]]의 [[수도자]] 토머스 롤리(Thomas Rowley)라는 가공의 인물이 지은 것처럼 꾸미고, 롤리의 이름으로 지은 시에 자신의 영감을 모두 쏟아부어 운율과 정서 면에서 [[낭만주의]]의 선구자이자 천재 시인으로 자리잡았다. 하지만 명성과는 달리 그는 평생을 지독한 가난에 시달렸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롤리의 시(=채터턴 자신의 시)를 출판사에 보내 시집을 출판해달라고 요청하였으나 거절당하였다. 1770년 [[런던]]으로 가서 [[서사시]], [[희곡]] 등을 마구 써냈으나, 돈이 쉽게 벌리지 않아 금세 빈궁에 빠졌고, 이에 자포자기하여 결국 17세의 나이에 [[비소]]를 먹고 자살하였다. 사후 그가 롤리의 것처럼 지은 시는 어린 소년의 순수한 상상력 덕분에, [[윌리엄 워즈워스]], [[퍼시 비시 셸리]] 등 19세기 영국 낭만파 시인들에게 영향을 끼쳤다. ||[[파일:Henry_Wallis_-_Chatterton_-_Google_Art_Project.jpg|width=430]] || || 채터턴의 죽음 (헨리 월리스 그림) || [[분류:영국의 시인]] [[분류:1752년 출생]] [[분류:1770년 사망]][[분류:브리스톨 출신 인물]][[분류:영국의 자살한 인물]][[분류:자살한 작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