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420년 출생]][[분류:스페인의 가톨릭 신부]][[분류:가톨릭 수도사제]][[분류:1498년 사망]] |||| '''{{{+1 토마스 데 토르케마다}}}[br] Tomás de Torquemada'''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토마스 데 토르케마다.jpg|width=100%]]}}} || ||<|2> '''출생''' ||[[1420년]] [[10월 14일]]|| ||[include(틀:국기, 국명=카스티야 연합 왕국)] || ||<|2> '''사망''' ||[[1498년]] [[9월 16일]] (향년 77세)|| ||[include(틀:국기, 국명=스페인 제국)] [[아빌라]]||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카스티야 연합 왕국)] ⇀ [include(틀:국기, 국명=스페인 제국)] || || '''직업''' ||[[이단심문관]]|| || '''종교''' ||[[가톨릭]]|| [목차] == 개요 == [[스페인 종교재판]]에서 초대 종교재판소장을 맡았던 [[이단심문관]]. 그리고 15세기 스페인 종교재판 당시 오직 자신이 믿는 종교의 순수성을 지키기 위해 무고한 사람들을 화형시켜 학살하던 광신도로 악명이 높다.[* 특히 [[무어인]]들과 [[유대인]]들이 주요 희생양들이었다. 이 때문에 무어인들의 후손인 북아프리카인들과 유대인들 사이에서 평가가 매우 좋지 않다.] 아이러니한것은 본인의 출신 또한 개종한 유대인 가문 출신(콘베르소)이었다. == 행적 == 1420년 10월 14일, [[카스티야 연합 왕국]]에서 출생했다. 어린 시절에 지역 수도원에서 활동하고 이때 그는 학문, 금욕주의적인 성격으로 명성을 얻게되고 승진한다. 이후 [[이사벨 1세]]의 밑에서 일하게 되면서 그녀에게 큰 영향들을 주었다. 고해사제가 되고나서 그는 마라노와 [[모리스코]]가 스페인에 위협이 된다고 생각하게 되고 이후 교황의 승인을 받아 종교재판을 실행하기 시작한다. 후에는 건강 문제로 사임했는데 이에 '''[[교황청]]에서도 토르케마다의 광신이 너무 심하다고 판단하여''' 둘러대서 일부러 해임시킨 것으로도 추측된다. == 대중매체 == [[프랭크 허버트]]의 [[듄의 신황제]]에서는 신황제 레토 2세가 언급한다. 불경한 존재였기 때문에 모든 기록에서 토르케마다의 이름을 지워 버렸다고 나온다. 영국의 SF 만화인 [[네메시스 더 워락]]에 본작의 메인 빌런이자 지구의 황제인 토마스 데 토르케마다의 모티브가 되었다. 심지어 단순 모티브가 아닌, '''설정상 토르케마다 본인이 환생한 존재'''이다.[* 이는 토르케마다라는 존재 자체가 시간을 넘나들며 환생을 거듭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네메시스에 큰 영향을 받은 [[Warhammer 40,000]]의 등장인물인 [[토르케마다 코테아즈]]의 모티브이기도 하다. [[유비소프트]]의 게임 [[어쌔신 크리드 시리즈]]에 [[템플 기사단]]의 일원으로 등장한다. 영화 크리스토퍼 콜럼버스(Christopher Columbus: The Discovery)(1992)에서 [[말론 브란도]]가 연기하였다. 영화 [[세계사(영화)|세계사]]에서는 [[멜 브룩스]]가 연기하였고, 고문기술자, 수녀, 유대인들과 함께 춤추며 노래를 부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