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템플릿:리그 오브 레전드의 챔피언)] == 설명 문서 == 챔피언에 따라 아래의 표/이미지를 사용해주세요. [목차] == 챔피언 개요 작성 시 == ||<-6> {{{#gold 역할군 이하 문법 참조}}} || ||<:>[[리그 오브 레전드/챔피언/역할군#암살자|[[파일:Slayer_icon.png|width=64]][br]{{{#red '''암살자'''}}}]] ||<:>[[리그 오브 레전드/챔피언/역할군#전사|[[파일:Fighter_icon.png|width=64]][br]{{{#gold '''전사'''}}}]] ||<:>[[리그 오브 레전드/챔피언/역할군#마법사|[[파일:Mage_icon.png|width=64]][br]{{{#skyblue '''마법사'''}}}]] ||<:>[[리그 오브 레전드/챔피언/역할군#원거리|[[파일:Marksman_icon.png|width=64]][br]{{{#yellowgreen '''원거리'''}}}]] ||<:>[[리그 오브 레전드/챔피언/역할군#서포터|[[파일:Controller_icon.png|width=64]][br]{{{#aquamarine '''서포터'''}}}]] ||<:>[[리그 오브 레전드/챔피언#탱커|[[파일:Tank_icon.png|width=64]][br]{{{#slateblue '''탱커'''}}}]] || ||<-5>
{{{#gold 소속 이하 문법 참조}}} || ||<:> '''[[데마시아|[[파일:롤-데마시아-엠블럼.png|width=64]][br]{{{#!html 데마시아}}}]]''' ||<:> '''[[아이오니아|[[파일:롤-아이오니아-엠블럼.png|width=64]][br]{{{#!html 아이오니아}}}]]''' ||<:> '''[[슈리마|[[파일:롤-슈리마-엠블럼.png|width=64]][br]{{{#!html 슈리마}}}]]''' ||<:> '''[[필트오버|[[파일:롤-필트오버-엠블럼.png|width=64]][br]{{{#!html 필트오버}}}]]''' ||<:> '''[[녹서스|[[파일:롤-녹서스-엠블럼.png|width=64]][br]{{{#!html 녹서스}}}]]''' || ||<:> '''[[빌지워터(리그 오브 레전드)|[[파일:롤-빌지워터-엠블럼.png|width=64]][br]{{{#!html 빌지워터}}}]]''' ||<:> '''[[프렐요드|[[파일:롤-프렐요드-엠블럼.png|width=64]][br]{{{#!html 프렐요드}}}]]''' ||<:> '''[[자운|[[파일:롤-자운-엠블럼.png|width=64]][br]{{{#!html 자운}}}]]''' ||<:> '''[[밴들 시티|[[파일:롤-밴들시티-엠블럼.png|height=64]][br]{{{#!html 밴들 시티}}}]]''' ||<:> '''[[그림자 군도|[[파일:롤-그림자군도-엠블럼.png|width=64]][br]{{{#!html 그림자 군도}}}]]''' || ||<:> '''[[타곤|[[파일:롤-타곤-엠블럼.png|width=64]][br]{{{#!html 타곤}}}]]''' ||<:> '''[[공허(리그 오브 레전드)|[[파일:롤-공허-엠블럼.png|height=64]][br]{{{#!html 공허}}}]]''' ||<:> '''[[이쉬탈|[[파일:롤-이쉬탈-엠블럼.png|height=60]][br]{{{#!html 이쉬탈}}}]]''' ||<:> '''[[룬테라|[[파일:롤-룬테라-아이콘.png|height=64]][br]{{{#!html 룬테라}}}]]''' || == 스킬 표 작성 시 == ||
<:>[[파일:garen_Q.png]] || {{{#f0f0e7 스킬 설명}}} || ||
<:> [[파일:롤아이콘-마나.png|width=20]] {{{#f0f0e7 소모 자원}}} ||<:> [[파일:롤아이콘-사거리_신규.png|width=20]] {{{#f0f0e7 사거리}}} ||<:> [[파일:롤아이콘-쿨타임감소_신규.png|width=20]] {{{#f0f0e7 재사용 대기시간}}} || ||<-3><:> {{{#f0f0e7 스킬 효과 수치1 }}} || ||<-3><:> {{{#f0f0e7 스킬 효과 수치2 }}} || ||<-3><:> {{{#f0f0e7 ... }}} || ||<-3><:> {{{#!wiki style="width: 320px; margin: 0px auto;" [youtube(ZBh4Fc4j2Yc?rel=0&showinfo=0, width=320, height=180)]}}} || 기본적인 테이블의 구조는 위와 같으며, 각각의 사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보다 세부화된 예시는 아래를 참조하세요. {{{+3 테이블의 배경색(tablebgcolor)}}} * 테이블의 배경색은 해당 스킬이 패시브인지, 액티브인지 나타냅니다. 그 외 특수한 스킬의 경우에도 테이블의 색을 다르게 나타냅니다. * 패시브는 {{{}}}, 액티브는 {{{}}}, 그외 {{{#133C3F, #162c2d, #0f3e42}}}을 사용합니다. * || || || || || || {{{+3 이미지 }}} * 스킬의 이미지는 기본적으로 {{{[[파일:champion_skill.png]]}}}로 입력합니다. 가령 가렌 결정타의 경우 {{{[[파일:garen_Q.png]]}}}입니다. * 그 외에도 [[:분류:파일/리그 오브 레전드/챔피언/스킬]]의 문서를 참조하시면 됩니다. * 해당 방법이 안되는 경우, 해당 이미지명이 분류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입니다. 문서명을 바꾸어 분류해주세요. * 반드시 게임 클라이언트의 스킬 단축키에서 나타나는 이미지를 사용해야 합니다. 비공식 이미지나 버프, 디버프 이미지 등은 테이블에서 사용하지 않습니다. 아래의 스킬 설명 문단에서 다루어주세요. * 변신이나 조건부로 하나의 스킬에서 두 개 이상의 이미지가 사용되는 경우는 아래의 예시 참조. {{{+3 스킬 설명 }}} * 반드시 게임 클라이언트에서의 설명을 최우선으로 합니다. 참고로 게임 클라이언트의 설명도 업데이트마다 조금씩 바뀝니다. * 단, 효과의 수치가 변동하면 가독성을 위해 설명란에서 배제하고 아래의 스킬 효과 수치에서 설명합니다. {{{#!folding [ 예시 접기/펼치기 ] [br] 가령 [[티모]]의 실명 다트(Q)는 스킬 레벨을 올릴 때마다 피해량이 80~260, 실명 지속 시간이 1.5~2.5초까지 증가합니다. 거기다 수치에 계수가 포함되기 때문에 클라이언트 양식으로 작성하려면 아래와 같이 됩니다. ||
<:>[[파일:teemo_Q.png]] || {{{#f0f0e7 상대에게 80 / 125 / 170 / 215 / 260 {{{#mediumslateblue (+0.8 주문력)}}}의 마법 피해를 입히고 1.5 / 1.75 / 2 / 2.25 / 2.5초 동안 모든 기본 공격이 빗나가게 합니다.}}} || ----- 따라서 수치를 아래와 같이 수치칸으로 옮겨서 따로 나타냅니다. ||
<:>[[파일:teemo_Q.png]] || {{{#f0f0e7 상대에게 마법 피해를 입히고 일정 시간 동안 모든 기본 공격이 빗나가게 합니다.}}} || ||
[[파일:롤아이콘-마나.png|width=20]] {{{#F0F0E7 70 / 75 / 80 / 85 / 90}}} || [[파일:롤아이콘-사거리_신규.png|width=20]] {{{#F0F0E7 680}}} || [[파일:롤아이콘-쿨타임감소_신규.png|width=20]] {{{#F0F0E7 8}}} || ||<-3><:> [[파일:롤아이콘-마법피해.png|width=20]] {{{#F0F0E7 80 / 125 / 170 / 215 / 260 {{{#mediumslateblue (+0.8 주문력)}}} }}} [br] [[파일:롤아이콘-군중제어_실명.png]] {{{#F0F0E7 1.5 / 1.75 / 2 / 2.25 / 2.5}}}|| }}} * 수치가 고정되어 있다면 스킬표로 분리하지 않습니다. 예외로 [[블리츠크랭크]]와 같이 스킬 툴팁에 정확한 값이 나오지 않는다면 스킬표에 대신 기입합니다. * 클라이언트의 스킬 설명을 다른 색의 글자로 나타내거나, 기울임, 볼드 등으로 다양하게 나타내는 경우가 많아졌으니 [[색]]이나 [[나무위키 문법]] 또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0.18 패치로 대다수 챔피언들의 스킬 피해량 종류 및 스킬 효과에 따라 아래와 같이 글자 색이 배정되었습니다. 현재 클라이언트의 툴팁 변경이 진행 중인 상태로 챔피언 간 통일성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
<-3><:> {{{#f0f0e7 {{{#darkorange 물리 피해}}}, {{{#deepskyblue 마법 피해}}}, {{{#lightcyan 고정 피해}}}}}} || ||<-3><:> {{{#f0f0e7 {{{#palegoldenrod 이동 속도}}}, {{{#peachpuff 공격 속도}}}, {{{#plum 방해 효과}}}, {{{#turquoise 보호막}}}, {{{#lightgreen 체력 및 회복}}}}}} || ||<-3><:> {{{#f0f0e7 {{{#violet 절대 시야 및 은신}}}, {{{#coral 재사용}}}}}} || {{{+3 소모 자원 }}} * 소모 자원이 체력인 경우는 이미지를 [[파일:롤아이콘-체력_신규.png|width=20]]([[:파일:롤아이콘-체력_신규.png]])로 변경해주세요. * 소모 자원이 기력인 경우 [[파일:롤아이콘-기력_기본스탯.png|width=20]]([[:파일:롤아이콘-기력_기본스탯.png]])을 사용합니다. * 소모 자원이 특수한 경우[* 예: 럼블의 열기, 렝가의 야성 등], 챔피언의 패시브 아이콘을 사용합니다. * 소모 자원이 없는 경우, 수치를 -으로 나타내주세요. 칸을 삭제하셔도 무방합니다. {{{+3 사거리 }}} * 공식 사이트나 패치 노트 등 라이엇 공식 정보만 작성합니다. * 단, 공식적으로 밝혀지지 않거나 명백히 잘못된 수치라면 그외 비공식 사이트나 실험 등의 결과로 작성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추정)을 붙여주세요. * 스킬의 적중 범위 등은 기재하지 않습니다. 아래의 스킬 효과 수치에 기재해주세요. {{{+3 재사용 대기시간}}} * 초 기준으로 별도 단위 없이 숫자로 작성해주세요. * 재사용 대기시간 셀에는 오로지 재사용 대기시간만을 기재합니다. [[야스오(리그 오브 레전드)|야스오]]의 질풍검(E)과 같이 스킬 사용을 위해 재사용 대기시간 외의 별도 조건이 필요한 경우, 해당 조건은 아래 스킬 설명에서 다루기 바랍니다. {{{+3 스킬 효과 수치 }}} * 스킬을 사용하여 얻을 수 있는 주된 효과의 수치에 대해 작성해주세요. * 기본적으로 스킬 효과 수치1에는 게임 클라이언트에서 '''확인 가능한 수치'''만을 기재해주세요. * 동시에 해당 효과가 적용되는 것들끼리는 같은 셀을 사용해주세요. * 스킬 레벨이 아닌 챔피언 레벨에 따라 수치가 변동되는 경우 청백색(#azure) 글자색과 변동 수치 마지막에 [[파일:롤아이콘-레벨.png|width=20]]([[:파일:롤아이콘-레벨.png]])을 사용해주세요. 글자 크기와 맞추기 위해 |width=20 부분도 함께 적용바랍니다. * 다른 스킬과 서로 상호작용하는 스킬의 경우, 청백색(#azure) 글자색에 '''볼드 강조'''로 해당 스킬을 표기해주세요. * 스킬 계수 양식 || 공격력 계수 || {{{#orange (+추가, 총 공격력)}}} || || 주문력 계수 || {{{#mediumslateblue (+ 주문력)}}} || || 마나 계수 || {{{#dodgerblue (+추가, 최대 마나)}}} || || 체력 계수 || {{{#limegreen (+추가, (챔피언 이름) 최대 체력)}}} || || 방어력 계수 || {{{#gold (+추가, 총 방어력)}}} || || 마법 저항력 계수 || {{{#lightskyblue (+추가, 총 마법 저항력)}}} || * 스킬 아이콘 양식 * 글자와 크기를 맞추기 위해 파일명 뒤에 |width=20를 추가 바랍니다. || [[파일:롤아이콘-체력_신규.png|width=20]] '''체력''' || [[:파일:롤아이콘-체력_신규.png]] || || [[파일:롤아이콘-체력재생_신규.png|width=20]] '''체력 재생''' || [[:파일:롤아이콘-체력재생_신규.png]] || || [[파일:롤아이콘-마나.png|width=20]] '''자원''' || [[:파일:롤아이콘-마나.png]] || || [[파일:롤아이콘-마나재생.png|width=20]] '''자원 재생 및 자원 회복''' || [[:파일:롤아이콘-마나재생.png]] || || [[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width=20]] '''공격력''' || [[:파일:롤아이콘-공격력_신규.png]] || || [[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width=20]] '''주문력''' || [[:파일:롤아이콘-주문력_신규.png]] || || [[파일:롤아이콘-물리피해.png|width=20]] '''물리 피해''' || [[:파일:롤아이콘-물리피해.png]] || || [[파일:롤아이콘-마법피해.png|width=20]] '''마법 피해''' || [[:파일:롤아이콘-마법피해.png]] || || [[파일:롤아이콘-고정피해.png|width=20]] '''고정 피해''' || [[:파일:롤아이콘-고정피해.png]] || || [[파일:롤아이콘-치명타피해.png|width=20]] '''치명타 피해''' || [[:파일:롤아이콘-치명타피해.png]] || || [[파일:롤아이콘-최대물리피해.png|width=20]] '''최대 물리 피해''' || [[:파일:롤아이콘-최대물리피해.png]] || || [[파일:롤아이콘-최대마법피해_신규.png|width=20]] '''최대 마법 피해''' || [[:파일:롤아이콘-최대마법피해_신규.png]] || || [[파일:롤아이콘-최대고정피해.png|width=20]] '''최대 고정 피해''' || [[:파일:롤아이콘-최대고정피해.png]] || || [[파일:롤아이콘-물리방어력_신규.png|width=20]] '''방어력''' || [[:파일:롤아이콘-물리방어력_신규.png]] || || [[파일:롤아이콘-물리방어관통_신규.png|width=20]] '''방어력 관통''' || [[:파일:롤아이콘-물리방어관통_신규.png]] || || [[파일:롤아이콘-마법저항력_신규.png|width=20]] '''마법 저항력''' || [[:파일:롤아이콘-마법저항력_신규.png]] || || [[파일:롤아이콘-마법저항관통_신규.png|width=20]] '''마법 저항력 관통''' || [[:파일:롤아이콘-마법저항관통_신규.png]] || || [[파일:롤아이콘-이동속도_신규.png|width=20]] '''이동 속도''' || [[:파일:롤아이콘-이동속도_신규.png]] || || [[파일:롤아이콘-공격속도_신규.png|width=20]] '''공격 속도''' || [[:파일:롤아이콘-공격속도_신규.png]] || || [[파일:롤아이콘-생명력흡수_신규.png|width=20]] '''생명력 흡수''' || [[:파일:롤아이콘-생명력흡수_신규.png]] || || [[파일:롤아이콘-흡혈.png|width=20]] '''흡혈''' || [[:파일:롤아이콘-흡혈.png]] || || [[파일:롤아이콘-회복효과.png|width=20]] '''체력 회복''' || [[:파일:롤아이콘-회복효과.png]] || || [[파일:롤아이콘-보호막_신규.png|width=20]] '''보호막''' || [[:파일:롤아이콘-보호막_신규.png]] || || [[파일:롤아이콘-물리보호막.png|width=20]] '''물리 보호막''' || [[:파일:롤아이콘-물리보호막.png]] || || [[파일:롤아이콘-마법보호막.png|width=20]] '''마법 보호막''' || [[:파일:롤아이콘-마법보호막.png]] || || [[파일:롤아이콘-사거리_신규.png|width=20]] '''사거리''' || [[:파일:롤아이콘-사거리_신규.png]] || || [[파일:롤아이콘-스킬가속.png|width=20]] '''스킬 가속''' || [[:파일:롤아이콘-스킬가속.png]] || || [[파일:롤아이콘-강인함_신규.png|width=20]] '''강인함''' || [[:파일:롤아이콘-강인함_신규.png]] || * 군중 제어기 아이콘 양식 || [[파일:롤아이콘-군중제어_둔화.png|width=20]] '''둔화''' || [[:파일:롤아이콘-군중제어_둔화.png]] || || [[파일:롤아이콘-군중제어_실명.png|width=20]] '''실명'''[* 실명 외에 시야 차단에도 사용합니다.] || [[:파일:롤아이콘-군중제어_실명.png]] || || [[파일:롤아이콘-군중제어_침묵.png|width=20]] '''침묵''' || [[:파일:롤아이콘-군중제어_침묵.png]] || || [[파일:롤아이콘-군중제어_속박.png|width=20]] '''속박''' || [[:파일:롤아이콘-군중제어_속박.png]] || || [[파일:롤아이콘-군중제어_기절.png|width=20]] '''기절''' || [[:파일:롤아이콘-군중제어_기절.png]] || || [[파일:롤아이콘-군중제어_에어본.png|width=20]] '''공중에 뜸''' || [[:파일:롤아이콘-군중제어_에어본.png]] || || [[파일:롤아이콘-군중제어_넉백.png|width=20]] '''넉백'''[* 넉백 외에도 그랩, 플링에도 사용합니다.] || [[:파일:롤아이콘-군중제어_넉백.png]] || || [[파일:롤아이콘-군중제어_도발.png|width=20]] '''도발''' || [[:파일:롤아이콘-군중제어_도발.png]] || || [[파일:롤아이콘-군중제어_매혹.png|width=20]] '''매혹''' || [[:파일:롤아이콘-군중제어_매혹.png]] || || [[파일:롤아이콘-군중제어_공포.png|width=20]] '''공포''' || [[:파일:롤아이콘-군중제어_공포.png]] || || [[파일:롤아이콘-군중제어_제압.png|width=20]] '''제압''' || [[:파일:롤아이콘-군중제어_제압.png]] || || [[파일:롤아이콘-군중제어_수면.png|width=20]] '''수면''' || [[:파일:롤아이콘-군중제어_수면.png]] || * 이 외의 수치는 편집자 재량껏 작성해주시면 됩니다. 단, 테이블에서 나타내지 못해도 테이블 아래의 문단에서 더 자세한 설명이 가능하므로, 과도한 아이콘 사용이나 수치 나열, 주석 등은 자제해주세요. {{{+3 스킬 영상}}} * mp4 영상의 경우 아래 문법을 이용합니다. {{{ ||<-3><:> [include(틀:video, src=영상주소, width=320, height=180)] || }}} * 유튜브 영상의 경우 아래 문법을 이용합니다. {{{ ||<-3><:> {{{#!wiki style="width: 320px; margin: 0px auto;" [youtube(영상주소?rel=0&showinfo=0, width=320, height=180)]}}} || }}} * 특정 영상 광고 등으로 악용될 수 있으므로, 스킬 영상은 다음의 우선순위를 따져 올립니다. 1. 라이엇 공식 유튜브 계정 영상 [[https://www.youtube.com/channel/UC05nHSmEFeHLA5qCf8QwJfQ|League of Legends - Top Secret Channel]], [[https://www.youtube.com/user/RiotGamesInc|League of Legends]], [[https://www.youtube.com/channel/UCooLkG0FfrkPBQsSuC95L6w|League of Legends - Korea]] 1. 리그 오브 레전드 홈페이지 뉴스 게시판에 첨부된 영상 [[http://www.leagueoflegends.co.kr/?m=news&cate=champion|한국]], [[http://na.leagueoflegends.com/en/news|북미]] 1. 비공식 위키, 유튜브 계정에 게시된 영상 중 공식 영상의 내용을 100% 재현한 영상 1. 구 클라이언트 챔피언 상점 영상 * 단, 위의 출처의 영상이라도 해상도나 기타 요인에 따라 순위가 바뀔 수 있습니다. 해상도는 높은 해상도를 우선시하며, 스킬 사용과 무관한 요소(배경음이나 UI, 커서 등)이 있다면 순위가 하락합니다. * 챔피언 업데이트 등으로 공식 영상이 현 챔피언 스킬 내용과 차이가 있음에도 해당 영상이 없는 경우, 현재 스킬을 반영하는 비공식 영상을 더 우선할 수 있습니다. 단, 스킬의 시전자와 대상자 이외의 캐릭터가 화면 내에 없어야하며, 소환사 이름이 표시되지 않는 영상에 한합니다. * 구 클라이언트 영상 URL 관련 클라이언트 스킬 영상 URL은 아래와 같은 규칙을 지니고 있습니다. 예시: http://d28xe8vt774jo5.cloudfront.net/abilities/videos/0127_02.mp4 (리산드라의 얼음 파편 영상 URL) 0127 : 챔피언 고유번호 입니다. 공식 홈페이지 스킬 영상 URL에서 해당 챔피언의 고유번호를 찾을 수 있으니 참조 바랍니다. 02 : 스킬 번호 입니다. 패시브가 01이며 궁극기가 05입니다. === 예시 === ==== [[베인(리그 오브 레전드)#s-4.3|패시브 스킬 (베인W)]] ==== ||
<:>[[파일:vayne_W.png]] || {{{#f0f0e7 같은 대상에게 공격 또는 스킬이 세 번 명중하면 대상 최대 체력에 비례하여 추가 고정 피해를 입힙니다. (최소 50)}}} {{{#gray ''몬스터에게는 최대 200의 피해를 입힙니다.''}}} || ||<-3> {{{#F0F0E7 [[파일:롤아이콘-고정피해.png|width=20]] {{{#limegreen 대상 최대 체력의 4 / 6.5 / 9 / 11.5 / 14 %}}}}}}[br]{{{#F0F0E7 최소 고정 피해량: 50 / 65 / 80 / 95 / 110}}} || ||<-3><:> [include(틀:video, src=http://d28xe8vt774jo5.cloudfront.net/abilities/videos/0067_03.mp4, width=320, height=180)] || * 위의 스킬은 베인의 은화살(W)입니다. * 패시브 스킬의 경우 테이블의 색을 {{{}}}로 합니다. * 보통 각 챔피언의 기본 지속 효과가 해당 예시에 속하지만, 베인처럼 일반 스킬이 패시브라 해당 테이블을 사용해야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반대로 [[아지르]]처럼 기본 지속 효과가 액티브라 사용하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 [[조이(리그 오브 레전드)#s-4.5|액티브 스킬 (조이R)]] ==== ||<:> [[파일:zoe_R.jpg|width=64]] ||<:> {{{#f0f0e7 조이가 1초 동안 근처 위치로 순간이동한 뒤 다시 돌아옵니다. 순간이동한 동안에는 스킬 사용과 기본 공격은 할 수 있지만, 이동은 불가능합니다.}}} ----- {{{#gray ''또한 조이는 순간이동한 동안 벽 너머를 볼 수 있습니다.''}}} || ||
<:> [[파일:롤아이콘-마나.png|width=20]] {{{#F0F0E7 50}}} ||<:> [[파일:롤아이콘-사거리_신규.png|width=20]] {{{#F0F0E7 575}}} ||<:> [[파일:롤아이콘-쿨타임감소_신규.png|width=20]] {{{#F0F0E7 11 / 8 / 5}}} || ||<-3><:> {{{#!wiki style="width: 320px; margin: 0px auto;" [youtube(60Y1K_5r5g4?rel=0&showinfo=0, height=180)]}}} || * 위의 스킬은 조이의 차원 넘기(R)입니다. * 액티브 스킬의 경우 테이블의 색을 {{{}}}로 합니다. ==== [[잭스(리그 오브 레전드)#s-4.5|패시브+액티브 스킬 (잭스R)]] ==== || [[파일:jax_R.png]] || {{{#f0f0e7 '''기본 지속 효과''': 3초 안에 세 번째 기본 공격을 가할 때마다 {{{#deepskyblue 마법 피해}}}를 추가로 입힙니다. '''사용 시''': 잭스가 가로등을 휘둘러 주변 적에게 {{{#deepskyblue 마법 피해}}}를 입힙니다. 챔피언을 맞히면 {{{#gold 방어력}}}, {{{#lightskyblue 마법 저항력이}}} 증가하며 다음 8초 안에 맞힌 챔피언 하나당 {{{#gold 방어력}}}, {{{#lightskyblue 마법 저항력이}}} 추가로 증가합니다. 이때 세 번째가 아닌 두 번째 공격마다 {{{#deepskyblue 마법 피해}}}를 추가로 입힙니다.}}} || ||<-3> [[파일:롤아이콘-마법피해.png|width=20]] {{{#f0f0e7 80 / 120 / 160 {{{#mediumslateblue (+0.6 주문력)}}} }}} || || [[파일:롤아이콘-마나.png|width=20]] {{{#f0f0e7 100}}} || [[파일:롤아이콘-사거리_신규.png|width=20]] {{{#white 375}}} || [[파일:롤아이콘-재사용대기시간.png|width=20]] {{{#f0f0e7 100 / 90 / 80}}} || ||<-3> [[파일:롤아이콘-마법피해.png|width=20]] {{{#f0f0e7 150 / 250 / 350 {{{#mediumslateblue (+1.0 주문력)}}} }}} || ||<-3> [[파일:롤아이콘-물리방어력_신규.png|width=16]] {{{#f0f0e7 + 25 / 45 / 65 {{{#orange (+0.4 추가 공격력)}}} (기본 방어력) }}}[br][[파일:롤아이콘-마법저항력_신규.png|width=16]] {{{#f0f0e7 + 15 / 27 / 39 {{{#orange (+0.24 추가 공격력)}}} (기본 마법 저항력) }}}[br][[파일:롤아이콘-물리방어력_신규.png|width=16]] {{{#f0f0e7 + 15 / 20 / 25 {{{#orange (+0.1 추가 공격력)}}} (추가 챔피언당 방어력) }}}[br][[파일:롤아이콘-마법저항력_신규.png|width=16]] {{{#f0f0e7 + 9 / 12 / 15 {{{#orange (+0.06 추가 공격력)}}} (추가 챔피언당 마법 저항력) }}} || ||<-3> [include(틀:video, src=https://d28xe8vt774jo5.cloudfront.net/champion-abilities/0024/ability_0024_R1.webm, width=320)] || * 위의 스킬은 잭스의 무기의 달인(R)입니다. * 패시브와 액티브가 모두 있는 경우, 일단 맨 처음 효과 이미지셀에 {{{<|2>}}}을 넣어 2개의 셀과 맞닿을 수 있게 합니다. 그 후, 각각의 셀을 위/아래로 입력하시면 됩니다. * 아래의 스킬 수치 테이블에도 각각의 소모 자원/사거리/재사용 대기시간과 스킬 수치셀을 넣어주시면 됩니다. 해당 예시에는 패시브 효과의 소모 자원/사거리/재사용 대기시간이 존재하지 않아 셀을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 [[제드(리그 오브 레전드)#s-4.2|물리 피해 스킬 (제드Q)]] ==== ||
<:>[[파일:zed_Q.png]] || {{{#f0f0e7 제드와 그림자가 표창을 던져, 각각 처음 맞는 적에게 {{{#darkorange 물리 피해}}}를 입히고 이후 추가로 맞히는 적에게는 감소된 {{{#darkorange 물리 피해}}}를 입힙니다.}}} || ||
[[파일:롤아이콘-기력_기본스탯.png|width=20]] {{{#F0F0E7 75 / 70 / 65 / 60 / 55}}} || [[파일:롤아이콘-사거리_신규.png|width=20]] {{{#F0F0E7 900}}} || [[파일:롤아이콘-쿨타임감소_신규.png|width=20]] {{{#F0F0E7 6}}} || ||<-3><:> [[파일:롤아이콘-물리피해.png|width=20]] {{{#F0F0E7 80 / 115 / 150 / 185 / 220 {{{#orange (+1.0 추가 공격력)}}} - 최초 피해 }}} [[파일:롤아이콘-물리피해.png|width=20]] {{{#F0F0E7 48 / 69 / 90 / 111 / 132 {{{#orange (+0.6 추가 공격력)}}} - 관통 피해 }}} || ||<-3><:> [include(틀:video, src=https://d28xe8vt774jo5.cloudfront.net/champion-abilities/0238/ability_0238_Q1.webm, width=320, height=180)] || * 위의 예시는 제드의 예리한 표창(Q)입니다. * 물리 피해는 [[파일:롤아이콘-물리피해.png|width=20]]({{{[[파일:롤아이콘-물리피해.png]]}}})아이콘을 사용하며 피해량은 {{{#darkorange 진한 주황색}}}(#darkorange)을, 계수는 {{{#orange 오렌지색}}}(#orange)을 사용하여 나타냅니다. * 치명타 판정이 적용되는 물리 피해는 [[파일:롤아이콘-치명타피해.png|width=20]]({{{[[파일:롤아이콘-치명타피해.png]]}}}), 최대 물리 피해는 [[파일:롤아이콘-최대물리피해.png|width=20]]({{{[[파일:롤아이콘-최대물리피해.png]]}}})로 표시합니다. ==== [[애니(리그 오브 레전드)#s-4.3|마법 피해 스킬 (애니W)]] ==== ||
<:>[[파일:annie_W.png]] || {{{#f0f0e7 원뿔 모양의 불을 발사하여 해당 지역에 있는 모든 적에게 {{{#deepskyblue 마법 피해}}}를 입힙니다. }}} || ||
[[파일:롤아이콘-마나.png|width=20]] {{{#F0F0E7 70 / 80 / 90 / 100 / 110}}} || [[파일:롤아이콘-사거리_신규.png|width=20]] {{{#F0F0E7 625}}} || [[파일:롤아이콘-쿨타임감소_신규.png|width=20]] {{{#F0F0E7 8}}} || ||<-3> [[파일:롤아이콘-마법피해.png|width=20]] {{{#F0F0E7 70 / 115 / 160 / 205 / 250 {{{#mediumslateblue (+0.85 주문력)}}}}}} || ||<-3><:> [include(틀:video, src=http://d28xe8vt774jo5.cloudfront.net/abilities/videos/0001_03.mp4, width=320, height=180)] || * 위의 스킬은 애니의 소각(W)입니다. * 마법 피해는 [[파일:롤아이콘-마법피해.png|width=20]]({{{[[파일:롤아이콘-마법피해.png]]}}}) 아이콘을 사용하며 피해량은 {{{#deepskyblue 푸른색}}}(#deepskyblue)을, 계수는 {{{#mediumslateblue 청자색}}}(#mediumslateblue)을 사용하여 나타냅니다. * 스킬의 최대 피해량을 나타낼 때는 [[파일:롤아이콘-최대마법피해_신규.png|width=20]]{{{[[파일:롤아이콘-최대마법피해_신규.png]]}}})를 사용합니다. [[애니비아]]나 [[카서스]]의 스킬처럼 인게임에서 자체적으로 치명타 판정이 뜨는 것도 포함합니다. ==== [[트리스타나#s-4.2|공격 속도 증감 스킬 (트리스타나Q)]] ==== ||
<:>[[파일:tristana_Q.png]] || {{{#f0f0e7 {{{#white 사용 시}}}: 7초 동안 트리스타나의 공격 속도가 상승합니다.}}} || ||
[[파일:롤아이콘-마나.png|width=20]] {{{#F0F0E7 0}}} || [[파일:롤아이콘-사거리_신규.png|width=20]] {{{#F0F0E7 -}}} || [[파일:롤아이콘-쿨타임감소_신규.png|width=20]] {{{#F0F0E7 20 / 19 / 18 / 17 / 16}}} || ||<-3> [[파일:롤아이콘-공격속도_신규.png|width=20]] {{{#F0F0E7 + 50 / 65 / 80 / 95 / 110 %}}} || ||<-3><:> [include(틀:video, src=http://d28xe8vt774jo5.cloudfront.net/abilities/videos/0018_02.mp4, width=320, height=180)] || * 위의 스킬은 트리스타나의 속사(Q)입니다. * [[파일:롤아이콘-공격속도_신규.png|width=20]]({{{[[파일:롤아이콘-공격속도_신규.png]]}}}) 이미지를 사용합니다. 수치 앞에는 +/- 를 써주세요. * 공격 속도를 감소시키는 스킬은 사라지는 추세라 예시가 적습니다. [[누누/8.17 업데이트 전]]을 참조해주세요. ==== [[질리언(리그 오브 레전드)#s-4.4|이동 속도 증감 스킬 (질리언E)]] ==== ||
<:>[[파일:zilean_E.png]] || {{{#f0f0e7 질리언이 2.5초 동안 아군 챔피언의 이동 속도를 높이거나 적의 이동 속도를 늦춥니다.}}} || ||
<:> [[파일:롤아이콘-마나.png|width=20]] {{{#F0F0E7 50}}} ||<:> [[파일:롤아이콘-사거리_신규.png|width=20]] {{{#F0F0E7 700}}} ||<:> [[파일:롤아이콘-쿨타임감소_신규.png|width=20]] {{{#F0F0E7 15}}} || ||<-3><:> [[파일:롤아이콘-이동속도_신규.png|width=20]] {{{#F0F0E7 40 / 55 / 70 / 85 / 99%}}} || ||<-3><:> [[파일:롤아이콘-군중제어_둔화.png|width=20]] {{{#F0F0E7 40 / 55 / 70 / 85 / 99%}}} || ||<-3><:> [include(틀:video, src=http://d28xe8vt774jo5.cloudfront.net/abilities/videos/0026_04.mp4, width=320, height=180)] || * 위의 스킬은 질리언의 시간 왜곡(E)입니다. 일부 스킬의 경우 이동 속도 증가를 연노란색(#lemonchiffon)으로 표시합니다. * 이동 속도를 증가시키는 효과는 [[파일:롤아이콘-이동속도_신규.png|width=20]]({{{[[파일:롤아이콘-이동속도_신규.png]]}}})를 사용합니다. * 이동 속도를 감소시키는 효과는 [[파일:롤아이콘-군중제어_둔화.png|width=20]]({{{[[파일:롤아이콘-군중제어_둔화.png]]}}})를 사용합니다. ==== [[피들스틱(리그 오브 레전드)#s-4.2|군중 제어 스킬 (피들스틱Q)]] ==== ||
<:>[[파일:FiddleQ.png]] || {{{#f0f0e7 적을 공포에 질리게 하여 일정시간 동안 피들스틱의 반대 방향으로 도망치게 합니다.}}} || ||
[[파일:롤아이콘-마나.png|width=20]] {{{#F0F0E7 65}}} || [[파일:롤아이콘-사거리_신규.png|width=20]] {{{#F0F0E7 575}}} || [[파일:롤아이콘-쿨타임감소_신규.png|width=20]] {{{#F0F0E7 15 / 14 / 13 / 12 / 11}}} || ||<-3> [[파일:롤아이콘-군중제어_공포.png|width=20]] {{{#F0F0E7 1.25 / 1.5 / 1.75 / 2 / 2.25 }}} || ||<-3><:> [include(틀:video, src=http://d28xe8vt774jo5.cloudfront.net/abilities/videos/0009_02.mp4, width=320, height=180)] || * 위의 스킬은 10.7 패치 이전 피들스틱의 공포(Q)입니다. * 군중제어기 이미지를 사용합니다. {{{[[파일:롤아이콘-군중제어_군중제어기명.png|width=20]]}}}를 쓰시면 됩니다.(공포/기절/둔화/에어본 등) 위에 있는 예시 목록도 참조바랍니다. ==== [[소라카#s-4.5|치유 스킬 (소라카R)]] ==== ||
<:>[[파일:soraka_R.png]] || {{{#f0f0e7 신의 권능을 빌어 모든 아군 챔피언의 체력을 회복시킵니다. 체력이 40% 이하인 챔피언에게는 기원의 위력이 50% 증가합니다.}}} || ||
[[파일:롤아이콘-마나.png|width=20]] {{{#F0F0E7 100}}} || [[파일:롤아이콘-사거리_신규.png|width=20]] {{{#F0F0E7 전 지역}}} || [[파일:롤아이콘-쿨타임감소_신규.png|width=20]] {{{#F0F0E7 160 / 145 / 130}}} || ||<-3> [[파일:롤아이콘-회복효과.png|width=20]] {{{#F0F0E7 150 / 250 / 350 {{{#mediumslateblue (+0.55 주문력)}}}}}} [br] [[파일:롤아이콘-회복효과.png|width=20]] {{{#F0F0E7 225 / 375 / 525 {{{#mediumslateblue (+0.825 주문력)}}}}}} {{{#F0F0E7 - 최대 회복량}}} || ||<-3><:> [include(틀:video, src=http://d28xe8vt774jo5.cloudfront.net/abilities/videos/0016_05.mp4, width=320, height=180)] || * 해당 스킬은 소라카의 기원(R)입니다. * [[파일:롤아이콘-회복효과.png|width=20]]({{{[[파일:롤아이콘-회복효과.png]]}}})을 사용합니다. 마나를 회복하는 스킬의 경우 [[파일:롤아이콘-마나재생.png|width=20]]({{{[[파일:롤아이콘-마나재생.png]]}}})을 사용합니다. * [[파일:롤아이콘-생명력흡수_신규.png|width=20]]({{{[[파일:롤아이콘-생명력흡수.png]]}}})와 [[파일:롤아이콘-흡혈.png|width=20]]({{{[[파일:롤아이콘-흡혈.png]]}}})은 흡혈 및 주문흡혈율이 올라가거나 '''피해량에 비례해 회복량이 올라가는''' 스킬에서만 사용합니다. 차이에 유의해주세요. ==== [[모르가나(리그 오브 레전드)#s-4.4|보호막 스킬 (모르가나E)]] ==== ||
<:>[[파일:morgana_E.png]] || {{{#f0f0e7 모르가나가 아군 챔피언에게 5초 동안 {{{#turquoise 마법 피해를 흡수하는 보호막}}}을 씌웁니다. 보호막이 유지되는 동안 {{{#plum 방해}}} 및 {{{#plum 이동 불가}}} 효과에 면역됩니다.}}} || ||
[[파일:롤아이콘-마나.png|width=20]] {{{#F0F0E7 80}}} || [[파일:롤아이콘-사거리_신규.png|width=20]] {{{#F0F0E7 800}}} || [[파일:롤아이콘-쿨타임감소_신규.png|width=20]] {{{#F0F0E7 26 / 24 / 22 / 20 / 18}}} || ||<-3><:> [[파일:롤아이콘-마법보호막.png|width=20]] {{{#F0F0E7 80 / 135 / 190 / 245 / 300 {{{#mediumslateblue (+0.7 주문력)}}}}}}|| ||<-3><:> [include(틀:video, src=http://d28xe8vt774jo5.cloudfront.net/abilities/videos/0025_04.mp4, width=320, height=180)] || * 위의 스킬은 모르가나의 칠흑의 방패(E)입니다. * 아이콘은 [[파일:롤아이콘-보호막_신규.png|width=20]]({{{[[파일:롤아이콘-보호막_신규.png]]}}})을 사용하며, {{{#turquoise 터키석색}}}(#turquoise)을 사용하여 나타냅니다. 물리 피해만 흡수하는 보호막은 [[파일:롤아이콘-물리보호막.png|width=20]]({{{[[파일:롤아이콘-물리보호막.png]]}}})를, 마법 피해만 흡수하는 보호막은 [[파일:롤아이콘-마법보호막.png|width=20]]({{{[[파일:롤아이콘-마법보호막.png]]}}})를 사용해주세요. * 방어력/마법저항력/피해감소 등은 [[파일:롤아이콘-물리방어력_신규.png|width=20]]({{{[[파일:롤아이콘-물리방어력_신규.png]]}}}), [[파일:롤아이콘-마법저항력_신규.png|width=20]]({{{[[파일:롤아이콘-마법저항력_신규.png]]}}})을 사용합니다. 차이에 유의해주세요. ==== [[애니(리그 오브 레전드)#s-4.5|소환수 생성 스킬 (애니R)]] ==== ||
<:>[[파일:annie_R1.png]] || {{{#f0f0e7 티버를 소환해 대상 위치의 모든 적에게 {{{#deepskyblue 마법 피해}}}를 입힙니다. 티버는 45초간 근처의 적에게 매 초 {{{#deepskyblue 마법 피해}}}를 입히고 적을 공격해 {{{#deepskyblue 마법 피해}}}를 입힙니다. 이 스킬을 재사용하면 티버를 조종할 수 있습니다.[br][br] 애니가 죽으면 티버가 {{{#lemonchiffon 분노}}}하여 공격 속도가 275%, 이동 속도가 100% 상승한 뒤 3초에 걸쳐 원래대로 돌아옵니다.}}} || ||<:> [[파일:annie_R2.png]][br]{{{#f0f0e7 '''명령: 티버'''}}} || {{{#f0f0e7 이 스킬을 재사용하거나 alt 키를 누른 채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 티버를 조종할 수 있습니다.[br][br] 티버가 살아있는 동안 적 챔피언을 방화광 스킬로 기절시키면 티버의 공격 속도와 이동 속도가 크게 증가합니다.}}} || ||
[[파일:롤아이콘-마나.png|width=20]] {{{#F0F0E7 100}}} || [[파일:롤아이콘-사거리_신규.png|width=20]] {{{#F0F0E7 600 / 300[* 각각 시전 사거리 및 피해 범위]}}} || [[파일:롤아이콘-쿨타임감소_신규.png|width=20]] {{{#F0F0E7 120 / 100 / 80}}} || ||<-3> [[파일:롤아이콘-마법피해.png|width=20]] {{{#F0F0E7 150 / 275 / 400 {{{#mediumslateblue (+0.65 주문력)}}}}}} || ||<-3><:> [include(틀:video, src=http://d28xe8vt774jo5.cloudfront.net/abilities/videos/0001_05.mp4, width=320, height=180)] || ---- ||
<:><-2> [[파일:TibbersSquare.png]] [br] {{{#F0F0E7 '''티버'''}}} || ||<-2> {{{#F0F0E7 티버는 적들을 추격하며 주변 적들에게 매 초마다 마법 피해를 줍니다.[br][br] {{{#F0E68C '''분노''':}}} 티버는 소환됐을 때, 애니가 적 챔피언에게 방화광 효과를 적용시켰을 때, 애니가 죽었을 때 유닛 충돌을 무시하고 공격 속도가 275%, 이동 속도가 100% 증가하여 3초에 걸쳐 정상으로 돌아옵니다.}}} || || [[파일:롤아이콘-스킬가속.png|width=20]] {{{#F0F0E7 '''지속시간'''}}} ||<:> {{{#F0F0E7 45 }}} || || [[파일:롤아이콘-체력_신규.png|width=20]] {{{#F0F0E7 '''체력'''}}} ||<:> {{{#F0F0E7 1200 / 2100 / 3000 }}} || || [[파일:롤아이콘-마법피해.png|width=20]] {{{#F0F0E7 '''기본 공격'''}}} ||<:> {{{#F0F0E7 50 / 75 / 100 {{{#mediumslateblue (+0.15 주문력)}}}}}} || || [[파일:롤아이콘-사거리_신규.png|width=20]] {{{#F0F0E7 '''공격 사거리'''}}} ||<:> {{{#F0F0E7 150 }}} || || [[파일:롤아이콘-마법피해.png|width=20]] {{{#F0F0E7 '''범위 피해'''}}} ||<:> {{{#F0F0E7 10 / 15 / 20 {{{#mediumslateblue (+0.1 주문력)}}}}}} || || [[파일:롤아이콘-사거리_신규.png|width=20]] {{{#F0F0E7 '''피해 범위'''}}} ||<:> {{{#F0F0E7 200 }}} || || [[파일:롤아이콘-공격속도_신규.png|width=20]] {{{#F0F0E7 '''공격 속도'''}}} ||<:> {{{#F0F0E7 0.625 }}} || || [[파일:롤아이콘-물리방어력_신규.png|width=20]] {{{#F0F0E7 '''방어력'''}}} ||<:> {{{#F0F0E7 30 / 50 / 70 }}} || || [[파일:롤아이콘-마법저항력_신규.png|width=20]] {{{#F0F0E7 '''마법 저항력'''}}} ||<:> {{{#F0F0E7 30 / 50 / 70 }}} || || [[파일:롤아이콘-이동속도_신규.png|width=20]] {{{#F0F0E7 '''이동 속도'''}}} ||<:> {{{#F0F0E7 350 }}} || || [[파일:롤아이콘-골드.png]] {{{#F0F0E7 '''처치 시 골드'''}}} ||<:> {{{#F0F0E7 50 }}} || 스킬 설명 문구를 입력합니다. [clearfix] ---- * 위의 스킬은 애니의 '소환: 티버'(R)입니다. * 유닛의 능력치가 있고 타겟팅이 가능해야 합니다. 타겟팅은 가능하나 실질 능력치가 없는 [[자르반 4세]]의 깃발이나, 타겟팅이 불가능한 [[아지르]]의 모래 병사 등은 예시에 속하지 않습니다. * 소환수를 소환/조종이 둘 다 가능한 경우, 이미지와 스킬 설명 테이블의 색을 다르게 해야합니다. 예시에서는 {{{[[파일:annie_R1.png]]}}}, {{{[[파일:annie_R2.png]]}}}로 두 개의 이미지를 사용했고, 조종 스킬 설명 테이블의 색을 {{{}}}로 다르게 나타냈습니다. * 소환수의 능력치를 나타내는 테이블이 따로 있습니다. 해당 테이블은 우측으로 정렬됩니다. 자연히 문단의 스킬 설명 문구는 테이블의 좌측에 입력됩니다. 위키를 사용하는 기기의 화면 크기에 따라 테이블이 나타나는 모습이 달라질 수 있다는 것에 주의하세요. * 또한, 반드시 문단 가장 마지막에 {{{[clearfix]}}}을 써주셔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소환수 능력치 테이블이 다른 스킬 문단을 침범해서 문서가 엉망이 됩니다. ==== [[룰루(리그 오브 레전드)#s-4.4|다중 효과 스킬1 (룰루E)]] ==== ||
<:>[[파일:lulu_E.png]] ||<:>{{{#f0f0e7 {{{#palegreen 아군에게 사용:}}} 픽스가 룰루 대신 대상에게 점프한 다음 6초 동안 따라다니며 공격을 돕습니다. 이 아군이 챔피언일 경우, 픽스는 2.5초 동안 피해를 흡수하는 보호막을 씌워 줍니다.}}} [br][br] {{{#f0f0e7 {{{#lightcoral 적에게 사용:}}} 픽스가 대상 적 유닛에게 마법 피해를 줍니다. 그 후 픽스가 4초 동안 대상을 따라다녀 {{{#violet 절대 시야}}}가 생깁니다.}}} || ||
[[파일:롤아이콘-마나.png|width=20]] {{{#F0F0E7 60 / 65 / 70 / 75 / 80}}} || [[파일:롤아이콘-사거리_신규.png|width=20]] {{{#F0F0E7 650}}} || [[파일:롤아이콘-쿨타임감소_신규.png|width=20]] {{{#F0F0E7 8}}} || ||<-3><:> [[파일:롤아이콘-보호막_신규.png|width=20]] {{{#F0F0E7 80 / 120 / 160 / 200 / 240 {{{#mediumslateblue (+0.6 주문력)}}} }}} || ||<-3><:> [[파일:롤아이콘-마법피해.png|width=20]] {{{#F0F0E7 80 / 120 / 160 / 200 / 240 {{{#mediumslateblue (+0.4 주문력)}}} }}}|| ||<-3><:> [include(틀:video, src=http://d28xe8vt774jo5.cloudfront.net/abilities/videos/0117_04.mp4, width=320, height=180)] || * 위의 스킬은 룰루의 '도와줘, 픽스!'(E)입니다. * 해당 예시 스킬은 아군/적에게 사용하면 효과가 달라집니다. 하지만 발동 시점이 같고, 동시에/순차적으로 다른 효과를 쓸 수 없으므로 테이블의 색을 변경하지 않습니다. 아군 대상 효과의 경우 {{{#palegreen 옅은 연두색}}}(#palegreen)을, 적 대상 효과의 경우 {{{#lightcoral 옅은 주홍색}}}(#lightcoral)을 사용하여 나타냅니다. * 단, 스킬 설명셀은 가독성을 위해 분리된 테이블을 사용합니다. 위의 예시에서는 보호막과 마법 피해를 나타내는 테이블이 분리되어 있습니다. ==== [[니달리#s-4.2|다중 효과 스킬2 (니달리Q)]] ==== ||
<:>[[파일:nidalee_Q1.png]] [br] {{{#F0F0E7 '''창 투척'''}}}|| {{{#f0f0e7 니달리가 창을 던져 마법 피해를 입힙니다. 창 투척이 니달리의 기본 공격 사거리를 넘어가면 피해량이 늘기 시작하여, 최대 거리에서의 총 피해량은 세 배까지 올라갑니다.}}} || ||<:>[[파일:nidalee_Q2.png]] [br] {{{#F0F0E7 '''숨통 끊기'''}}} || {{{#f0f0e7 니달리가 다음 공격에서 상대가 잃은 체력에 비례해 추가 피해를 줍니다. {{{#yellow 사냥}}} 당하는 대상들은 숨통 끊기로 40%의 추가 피해를 입습니다.}}} || ||
[[파일:롤아이콘-마나.png|width=20]] {{{#F0F0E7 50 / 60 / 70 / 80 / 90 }}} || [[파일:롤아이콘-사거리_신규.png|width=20]] {{{#F0F0E7 1500}}} || [[파일:롤아이콘-쿨타임감소_신규.png|width=20]] {{{#F0F0E7 6}}} || ||<-3><:> [[파일:롤아이콘-마법피해.png|width=20]] {{{#F0F0E7 70 / 85 / 100 / 115 / 130 {{{#mediumslateblue (+0.4 주문력)}}} (최소 피해)}}} [br] [[파일:롤아이콘-최대마법피해_신규.png|width=20]] {{{#F0F0E7 210 / 255 / 300 / 345 / 390 {{{#mediumslateblue (+1.2 주문력)}}} (최대 피해)}}}|| || [[파일:롤아이콘-마나.png|width=20]] {{{#F0F0E7 0 }}} || [[파일:롤아이콘-사거리_신규.png|width=20]] {{{#F0F0E7 +75}}} || [[파일:롤아이콘-쿨타임감소_신규.png|width=20]] {{{#F0F0E7 6}}} || ||<-3><:> [[파일:롤아이콘-마법피해.png|width=20]] {{{#F0F0E7 5 / 30 / 55 / 80 {{{#orange (+0.75 총 공격력)}}} {{{#mediumslateblue (+0.4 주문력)}}} (최소 피해)}}} [br] {{{#F0F0E7 '''피해량 증폭''': 잃은 체력 1%당 1 / 1.25 / 1.5 / 1.75% 증가 }}} [br] {{{#F0F0E7 '''최대 피해량''': 최소 피해량의 200 / 225 / 250 / 275%}}} || ||<-3><:> [include(틀:video, src=http://d28xe8vt774jo5.cloudfront.net/abilities/videos/0076_02.mp4, width=320, height=180)] || * 위의 스킬은 니달리의 '창 투척 / 숨통 끊기'(Q)입니다. * 스킬 문단명 작성 시에는 꼭 아래 예시처럼 각 스킬의 이름 사이를 /를 이용하여 띄어 써 주세요. 예) 창 투척 / 숨통 끊기(Javelin Toss / Takedown) '''O''' 창 투척/숨통 끊기(Javelin Toss/Takedown) '''X''' * 해당 스킬들은 '''변신'''이나 '''연계''', '''강화''' 등으로 한 개의 단축키에 스킬이나 스킬 효과가 2개 있는 경우입니다. * 일단 각 스킬의 이미지 아래에 스킬명을 써주세요. 각 스킬의 특정 조건도 이미지 아래에 써서 서술할 수 있습니다. 강화형 스킬의 경우, 기본 스킬명은 쓰지 않아도 무방합니다. * 베이스가 되는 스킬은 그대로 {{{#5C4A2D}}}을 사용하시면 되고, 추가/강화 스킬은 테이블색을 {{{#133C3F}}}로 다르게 합니다. * 니달리 이외에 변신형 스킬셋을 가진 챔피언은 [[엘리스(리그 오브 레전드)|엘리스]], [[제이스(리그 오브 레전드)|제이스]] 등이 있습니다. * 연계형 스킬을 가진 챔피언은 [[리 신]]이 있습니다. * 강화형 스킬을 가진 챔피언은 [[카직스]], [[빅토르(리그 오브 레전드)|빅토르]] 등이 있습니다. ==== [[카밀#s-4.2|다중 효과 스킬3 (카밀Q)]] ==== ||
<:> [[파일:camille_Q1.png]] [br] {{{#F0F0E7 '''첫 번째 공격'''}}} || {{{#f0f0e7 카밀이 다음 기본 공격 시 {{{#darkorange 추가 물리 피해}}}를 입히고 1초 동안 {{{#lemonchiffon 이동 속도}}}가 증가합니다. }}} || ||<:> [[파일:camille_Q2.png]] [br] {{{#F0F0E7 '''두 번째 공격'''}}} || {{{#f0f0e7 이 스킬은 사용 후 3.5초 안에 소모값 없이 {{{#coral 재사용}}}할 수 있습니다. }}} || ||<:> [[파일:camille_Q3.png]] [br] {{{#F0F0E7 '''두 번째 강화 공격'''}}} ||<:> {{{#f0f0e7 첫 번째 정확성 프로토콜 공격 후 1.5초가 지난 뒤 두 번째 정확성 프로토콜 공격 시 추가 피해량이 100% 증가하고, 이 중 {{{#F0F0E7 일부[[파일:롤아이콘-레벨.png|width=20]]}}}는 {{{#lightcyan 고정 피해}}}로 적용됩니다. {{{#khaki 정확성 프로토콜}}} {{{#gray ''공격에는 치명타가 적용되지 않습니다.''}}}}}} || ||
[[파일:롤아이콘-마나.png|width=20]] {{{#F0F0E7 25}}} || [[파일:롤아이콘-사거리_신규.png|width=20]] {{{#F0F0E7 +50}}} || [[파일:롤아이콘-쿨타임감소_신규.png|width=20]] {{{#F0F0E7 9 / 8.25 / 7.5 / 6.75 / 6}}} || ||<-3><:> [[파일:롤아이콘-물리피해.png|width=20]] {{{#orange 0.2 / 0.25 / 0.3 / 0.35 / 0.4 총 공격력}}} [br] [[파일:롤아이콘-이동속도_신규.png|width=20]] {{{#F0F0E7 + 20 / 25 / 30 / 35 / 40% }}} || ||<-3><:> [[파일:롤아이콘-치명타피해.png|width=20]] {{{#orange 0.4 / 0.5 / 0.6 / 0.7 / 0.8 총 공격력}}} [br] {{{#F0F0E7 [[파일:롤아이콘-고정피해.png|width=20]]고정 피해 비율: (36 + 4 × 레벨[[파일:롤아이콘-레벨.png|width=20]])%}}} || ||<-3><:> {{{#!wiki style="width: 320px; margin: 0px auto;" [youtube(beTkkUM4A5s?rel=0&showinfo=0, width=320, height=180)]}}} || * 위의 스킬은 카밀의 정확성 프로토콜(Q)입니다. * 해당 스킬은 각기 다른 조건을 2개 이상 가져서 한 개의 단축키에 스킬이나 스킬 효과가 3가지 이상 있는 경우입니다. * 해당 스킬들은 기본{{{#5C4A2D}}}, 1차{{{#162c2d}}}, 2차{{{#0f3e42}}} 등으로 각기 다른 테이블색을 사용합니다. * 해당 스킬을 가진 챔피언은 [[카밀]], [[케인(리그 오브 레전드)|케인]] 등이 있습니다. ==== [[람머스#s-4.3|레벨 계수 스킬 (람머스W)]] ==== ||
<:>[[파일:rammus_W.png]] || {{{#f0f0e7 람머스가 최대 6초 동안 몸을 말아 웅크려 자신의 방어력과 마법 저항력을 증가시킵니다. 이동 속도는 30% 감소합니다.}}} {{{#f0f0e7 몸 말아 웅크리기를 사용하는 동안 가시박힌 껍질 효과가 150%로 강화되며, 자신에게 기본 공격을 하는 대상에게도 동일한 피해를 입힙니다.}}} {{{#gray ''다시 사용하면 몸 말아 웅크리기가 원래 지속시간보다 더 빨리 종료되며, 재사용 대기시간이 시작됩니다. [br][br]몸 말아 웅크리기를 사용하면 대회전이 취소되며 재사용 대기시간이 시작됩니다.''}}} || ||
[[파일:롤아이콘-마나.png|width=20]] {{{#F0F0E7 40}}} || [[파일:롤아이콘-사거리_신규.png|width=20]] {{{#F0F0E7 -}}} || [[파일:롤아이콘-쿨타임감소_신규.png|width=20]] {{{#F0F0E7 6}}} || ||<-3> [[파일:롤아이콘-마법피해.png|width=20]] {{{#F0F0E7 12 ~ 30[[파일:롤아이콘-레벨.png|width=20]][* 틀 입력]{{{#gold (+ 0.15 방어력)}}}}}} || ||<-3> {{{#f0f0e7 [[파일:롤아이콘-물리방어력_신규.png|width=20]] + 30 {{{#gold (+ 0.6 / 0.7 / 0.8 / 0.9 / 1.0 방어력)}}} }}} {{{#f0f0e7 [[파일:롤아이콘-마법저항력_신규.png|width=20]] + 10 {{{#lightskyblue (+ 0.3 / 0.35 / 0.4 / 0.45 / 0.5 마법 저항력)}}} }}} || ||<-3><:> [include(틀:video, src=http://d28xe8vt774jo5.cloudfront.net/abilities/videos/0033_03.mp4, width=320, height=180)] || * 위의 스킬은 람머스의 몸 말아 웅크리기(W)입니다. * 해당 스킬은 스킬의 레벨 뿐만 아니라 '''챔피언의 레벨'''에 따라 성능이 올라가는 경우입니다. * 수치가 모든 레벨에서 고르게 증가한다면 10 × [[파일:롤아이콘-레벨.png|width=20]] 처럼 나타냅니다. ex) [[럭스(리그 오브 레전드)#s-4.1|럭스]]의 패시브. * 수치가 불규칙하게 증가한다면 위와 같이 셀에서는 '최소~최대'로 나타내고, 세부 수치는 주석과 [[틀:리그 오브 레전드/레벨 비례 증가표]]로 나타내주십시오. 람머스의 경우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레벨 비례 증가표, n1=12, n2=13.5, n3=15, n4=16.5, n5=18, n6=19.5, n7=21, n8=22.5, n9=24, n10=25.5, n11=27, n12=28.5, n13=30, n14=30, n15=30, n16=30, n17=30, n18=30)] ] }}}로 나타냅니다. 그럼 주석에 각 수치를 나타낸 테이블이 나타납니다. [[분류:템플릿/게임]]